第二九回. 晉惠公大誅群臣, 管夷吾病榻論相.
話說里克主意,原要奉迎公子重耳,因重耳辭不肯就,夷吾又以重賂求入,因此只得隨眾行事。誰知惠公即位之後,所許之田,分毫不給,又任用虢射、呂飴甥、郤芮一班私人,將先世舊臣,一概疏遠,里克心中已自不服。及勸惠公畀地於秦,分明是公道話,郤芮反說他爲己而設,好生不忿,忍了一肚子氣,敢怒而不敢言。出了朝門,顔色之間,不免露些怨望之意。及丕鄭父使秦,郤芮等恐其與里克有謀,私下遣人窺瞰。鄭父亦慮郤芮等有人伺察,遂不別里克而行。里克使人邀鄭父說話,則鄭父已出城矣。克自往追之,不及而還。早有人報知郤芮。芮求見惠公,奏曰:「里克謂君奪其權政,又不與汾陽之田,心懷怨望。今聞丕鄭父聘秦,自駕往追,其中必有異謀。臣素聞里克善於重耳,君之立非其本意,萬一與重耳內應外合,何以防之?不若賜死,以絶其患。」
肚 : 배 두. 배, 위, 밥통. 一肚子氣 : 잔뜩 화가 나다. 慪氣, 鬧脾氣, 發脾氣. 間 : 다르다. 구별됨. 바뀌다.
私下(里) : 몰래, 비공식으로, 살짝.
이극의 주된 뜻은 원래 공자 중이를 받들어 맞이해 오는 것이었으나 중이가 사양하며 나서지 않았고, 이오는 후하게 뇌물을 쓰며 귀국하려고 했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따르게 하여 일을 이룰 수 있었다. 그러나 누가 알았으랴. 혜공은 즉위한 후 이극과 비정보에게 약속한 땅은 전혀 주려고 하지 않았고 괵석(虢射), 여이생(呂飴甥), 극예(郤芮)등 측근들만 기용하고 선대의 신하들은 모두 멀리하니 이극이 이미 불복하고 있었다. 혜공에게 섬진에 주기로 약속한 땅을 주도록 권한 일은 분명히 공적으로 도리에 맞는 말이었으나, 극예가 자신의 땅을 받기 위한 말이라고 반박하자 분노하지 않을 수 없었고 참자니 분노가 치밀어 올랐지만 감히 노하거나 말할 수도 없었다.
조문을 나서자 안색이 벌겋게 변해 원망의 뜻을 조금도 숨길 수가 없었다.
비정보가 섬진에 사자로 가게 되자 극예등은 비정보가 이극과 더불어 모의나 하지 않을까 두려워하여 은밀히 사람을 보내 살피게 하였다. 비정보도 극예등이 사람을 시켜 자신을 염탐하리라 염려하고 이극을 만나 작별인사도 하지않고 떠났다. 이극은 사람을 보내 비정보를 만나 대화를 하려고 하였으나 비정보는 이미 성을 떠난 후였다. 이극이 스스로 쫒아 갔으나 만나지 못하고 돌아갔는데 탐색꾼이 이를 재빨리 극예에게 알렸다.
극예가 혜공에게 알현을 청하여 아뢰었다.
"이극은 주군께서 그의 실권을 빼앗고 분양(汾陽)의 땅을 주지 않으신 것에 원망을 품고 있습니다. 지금 듣자니 비정보가 섬진에 사신으로 가게 되자 스스로 수레를 몰고 그를 뒤쫒아 갔으니 반드시 그 둘 사이에 다른 음모가 있을 것입니다. 신등은 평소 이극이 중이와 친하게 지냈으며 주군을 옹립한 것은 그의 본 뜻이 아니었다고 들었습니다. 만일 중이와 내응한다면 어떻게 막습니까? 죽음을 내려 후환을 끊는 것만 못합니다."
惠公曰:「里克有功於寡人,今何辭以戮之?」 郤芮曰:「克弑奚齊,又弑卓子,又殺顧命之臣荀息,其罪大矣!念其入國之功,私勞也。討其弑逆之罪,公義也。明君不以私勞而廢公議,臣請奉君命行討!」 惠公曰:「大夫往矣!」 郤芮遂詣里克之家,謂里克曰:「晉侯有命,使芮致之吾子。晉侯云:『微子,寡人不得立,寡人不敢忘子之功。雖然,子弑二君,殺一大夫,爲爾君者難矣!寡人奉先君之遺命,不敢以私勞而廢大義,惟子自圖之!』」 里克曰:「不有所廢,君何以興?欲加之罪,何患無辭?臣聞命矣!」 郤芮復迫之,克乃拔佩劍躍地大呼曰:「天乎冤哉!忠而獲罪,死若有知,何面目見荀息乎?」 遂自刎其喉而死。郤芮還報惠公,惠公大悅。
髯仙有詩云:
纔入夷吾身受兵,
當初何不死申生?
方知中立非完策,
不及荀家有令名。
혜공이 물었다. "이극은 과인에게 공을 세운 자인데 지금 무슨 핑계로 그를 죽여야 합니까?"
극예가 대답했다.
"이극은 해제와 탁자를 시해하였으며 또 선군으로부터 고명을 받은 신하인 순식을 죽였으니 그 죄가 큽니다. 그가 주군을 입국하시도록 도운 공은 사사로운 일이며, 그가 두 주군을 시역한 죄를 꾸짖는 것은 공의(公義)입니다. 명군께서는 사적인 일로 공적인 의견을 물리치지 마시고 신이 군명을 받들어 그를 처벌하게 하십시오!"
혜공이 말했다. "대부가 가서 처리하시오."
극예는 마침내 이극의 집에 가서 이극에게 말했다.
"당진 군주의 명으로 내가 왔노라. 당진 군주께서 이르시기를 '그대가 아니었다면 과인이 즉위하지 못했을 것이니 과인이 감히 그대의 공을 잊을 수 있겠는가? 그렇다 해도 그대가 두 군주를 시해했고 대부 한 사람을 죽였으니 그대 때문에 군주 노릇하기가 어렵도다. 과인이 선군의 유명을 받들자니 감히 사사로운 일로 대의를 어길 수 없도다. 오직 그대 스스로 자결하는 일 뿐이로다!' 라고 하셨노라."
이극이 말했다.
"두 군주를 폐하지 않았더라면 주군이 어찌 즉위할 수 있었겠는가? 벌을 내리려고 한다면 무슨 핑계가 없겠는가? 신은 군주의 명을 알아들었도다!"
극예가 다시 재촉하자 이극이 허리에 찬 검을 빼들고 발을 구르며 외쳤다.
"원통하도다! 충성으로 한 일이 죄가 되었으니 죽음에 임해서야 알 것 같구나. 무슨 면목으로 순식을 볼까?"
마침내 스스로 목을 베어 죽었다. 극예가 돌아가 혜공에게 보고하니 혜공이 크게 기뻐했다.
염선이 시를 지었다.
가까스로 이오를 입국시켜 군주로 세우고도 죽임을 당했으니,
당초에 어찌 신생을 따라 죽지 않았던가?
중립이 완벽한 생존책이 아님을 알게 되었지만,
순식이 얻은 평판에는 미치지 못했구나.
惠公殺了里克,群臣多有不服者。祁擧、共華、賈華、騅遄輩,俱口出怨言。惠公欲誅之,郤芮曰:「丕鄭在外,而多行誅戮,以啟其疑叛之心,不可。君且忍之。」 惠公曰:「秦夫人有言,托寡人善視賈君,而盡納群公子。何如?」 郤芮曰:「群公子誰無爭心,不可納也。善視賈君,以報秦夫人可矣。」 惠公乃入見賈君。時賈君色尙未衰,惠公忽動淫心,謂賈君曰:「秦夫人屬寡人與君爲歡,君其無拒。」 即往抱持賈君,宮人皆含笑避去。賈君畏惠公之威,勉强從命。事畢,賈君垂淚言曰:「妾不幸事先君不終,今又失身於君。妾身不足惜,但乞君爲故太子申生白冤,妾得復於秦夫人,以贖失身之罪!」 惠公曰:「二豎子見殺,先太子之冤已白矣。」 賈君曰:「聞先太子尙藳葬新城,君必遷冢而爲之立諡,庶冤魂獲安,亦國人之所望於君者也。」 惠公許之。乃命郤芮之從弟郤乞,往曲沃擇地改葬。使太史議諡,以其孝敬,諡曰「共世子」。再使狐突往彼設祭告墓。
白冤 : 不白之冤. 억울한 누명.
혜공이 이극을 죽이자 많은 신하들이 불만을 갖게 되었다. 기거(祁擧), 공화(共華), 가화(賈華), 추천(騅遄)의 무리가 이구동성으로 원망하는 말을 드러냈다.
혜공이 그들을 죽이려고 하지 극예가 말했다.
"비정보가 외국에 나가 있는데 그와 한 패인 자들을 많이 죽인다면 그에게 반역할 마음이 있다고 의심하는 것을 알리는 것이 되니 불가합니다. 주군께서는 잠시 참으십시오."
혜공이 물었다.
"섬진의 부인이 과인에게 가군(賈君)을 잘 보살피고 외국에 나가 있는 공자들을 모두 귀국시켜 돌보라는 부탁을 하였소. 어찌하면 좋겠소?"
극예가 대답했다.
"공자들 중 주군과 군주의 지위를 놓고 다투지 않을 자는 없으니 받아들여서는 안됩니다. 가군을 잘 보살피시는 것은 섬진 부인의 은혜에 보답하는 것이니 괜찮습니다."
그리하여 혜공은 과군이 머무르고 있는 궁으로 들어가 만나 보았다. 당시 과군은 아직 미색이 쇠하지 않아 아름다웠는데 혜공은 갑자기 음심(淫心)이 발동하여 가군에게 말했다.
"섬진의 부인이 과인에게 부탁하기를 가군을 기쁘게 해 주라고 하였으니 가군은 거역하지 마시오."
바로 가군을 품에 안으니 궁인들이 모두 웃음을 머금고 피해 물러났다. 가군은 혜공의 위력을 두려워 하여 명에 따를 수 밖에 없었다.
일을 마치자 가군이 눈물을 흘리며 말했다.
"첩은 불행히도 선군을 섬기다가 함께 죽지 못했는데 이제 주군에게 지조를 지키지 못했습니다. 첩이 지조를 지키지 못한 것은 애석해 할 바가 못되지만 주군께 부탁이 있습니다. 옛 태자 신생의 억울한 누명을 벗겨 주신다면 섬진 부인의 은혜에 보답할 수 있게 될 것이고 정조를 지키지 못한 죄를 갚게 될 것입니다."
혜공이 물었다. "두 어린 군주가 살해되었으니 전 태자 신생의 억울한 누명은 이미 밝혀졌소."
가군이 말했다.
"듣기로 선태자 신생은 아직 신성에 가매장되어 있다고 합니다. 주군께서 반드시 이장하시고 시호를 내리신다면 원혼들이 안식을 찾게 될 것이고 백성들도 주군께 바라던 바를 이루게 될 것입니다."
혜공이 허락하였다. 그리하여 극예의 종제 극걸(郤乞)에게 명을 내려 곡옥으로 가서 좋은 곳을 택하여 신생의 묘를 이장하게 하였다. 또 태사로 하여금 시호를 의논하게 하였는데 그의 효성과 공경스러움을 기려 시호를 공세자(共世子)라 하였다.
다시 호돌로 하여금 곡옥에 가서 제단을 설치하여 태묘에 고하게 했다.
先說郤乞至曲沃,別製衣衾棺槨,及冥器木偶之類,極其整齊。掘起申生之屍,面色如生,但臭不可當。役人俱掩鼻欲嘔,不能用力。郤乞焚香再拜曰:「世子生而潔,死而不潔乎?若不潔,不在世子,願無駭眾!」 言訖,臭氣頓息,轉爲異香。遂重殮入棺,葬於高原。曲沃之人,空城來送,無不墮淚。葬之三日,狐突賷祭品來到,以惠公之命,設位拜奠,題其墓曰「晉共太子之墓。」 事畢,狐突方欲還國。忽見旌旗對對,戈甲層層,簇擁一隊車馬,狐突不知是誰,倉忙欲避。只見副車一人,髮發斑白,袍笏整齊,從容下車,至於狐突之前,揖曰:「太子有話奉迎,請國舅那步。」 突視之,太傅杜原款也。恍惚中忘其已死,問曰:「太子何在?」 原款指後面大車曰:「此即太子之車矣。」 突乃隨至車前。見太子申生冠纓劍佩,宛如生前,使御者下引狐突升車,謂曰:「國舅亦念申生否?」 突垂淚對曰:「太子之冤,行道之人,無不悲涕。突何人,能勿念乎?」 申生曰:「上帝憐我仁孝,已命我爲喬山之主矣。夷吾行無禮於賈君,吾惡其不潔,欲卻其葬,恐違眾意而止。今秦君甚賢,吾欲以晉畀秦,使秦人奉吾之祀,舅以爲何如?」 突對曰:「太子雖惡晉君,其民何罪?且晉之先君又何罪?太子舍同姓而求食於異姓,恐乖仁孝之德也。」 申生曰:「舅言亦是。然吾已具奏於上帝矣。今當再奏,舅爲姑留七日。新城之西偏有巫者,吾將託之以復舅也。」 杜原款在車下喚曰:「國舅可別矣!」 牽狐突下車,失足跌仆於地,車馬一時不見。
冥器 : 제를 올릴 때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기 위해 제물을 담아 태우는 종이 그릇. 부장품(副葬品). 부장물.
副車 : 예전에, 임금이 거둥할 때 여벌로 따라가는 수레를 이르던 말.
극걸은 곡옥에 도착하자 따로 수의와 이불, 관곽을 제작하고 부장품과 나무인형 등속에 이르기까지 모두를 갖추었다. 신생의 시신을 발굴하자 얼굴 색은 살아있을 때와 같은데 악취를 감당할 수 없었다. 일꾼들이 모두 코를 막으며 구토를 하려고 해 힘을 쓸 수가 없었다.
극걸이 분향하며 두번 절하고 기도했다.
"세자께서는 살아생전에 고결하셨는데 돌아가신 후에는 어찌 정결하지 않으십니까? 정결하지 않으시다면 세자의 영혼이 계시지 않은 것입니다. 바라건대 사람들을 놀라게 하지 마옵소서."
기도를 마치자 냄새가 순식간에 사라지고 기이한 향으로 바뀌어졌다. 다시 시신을 염하고 입관하여 고원(高原)에 안장했다. 곡옥의 백성들은 모두 성을 비운채 장례에 참석하였으며 눈물을 흘리지 않는 자가 없었다.
장례를 치른지 3일이 지나자 호돌이 제수용품을 가지고 도착하여 혜공의 명에 따라 위패를 설치하고 제사를 지냈는데 묘지명을 「당진 공태자의 묘(晉共太子之墓)」라 하였다.
임무를 마치자 호돌은 바로 도성으로 돌아가려고 하였다. 그런데 갑자기 무수한 깃발이 짝을 이뤄 펄럭이고 창을 든 병사들이 겹겹으로 빼곡히 둘러싼 일대의 군마가 나타났다. 호돌은 누군지 몰라 황급히 피하려고 했는데 그때 부거(副車)를 타고 한 사람이 나타났는데 머리는 반백이고 단정한 관복차림이었다.
조용히 수레에서 내려 호돌의 앞으로 오더니 읍하며 말했다.
"태자께서 뵙고 하실 말씀이 있으시다 하시니 국구께서는 따라 오십시오."
호돌이 바라보니 태부 두원관(杜原款)이었다.
얼떨떨한 가운데 그가 이미 죽은 사람인 줄도 잊고 물었다.
"태자께서는 어디에 계십니까?"
두원관이 뒤에 있는 큰 수레를 가리키며 말했다.
"저 수레가 바로 태자께서 타고 계신 수레입니다."
호돌이 두원관을 따라 수레앞으로 가서 태자 신생을 보니 관을 단정히 쓰고 검을 차고 있는 모습이 완연한 생전의 모습이었다.
마부로 하여금 수레에서 내려 호돌을 수레에 태우게 하고는 물었다.
"국구께서도 신생을 생각하고 계십니까?"
호돌이 눈물을 흘리며 대답했다.
"태자의 원통함은 길가는 사람이라도 슬퍼하며 눈물을 흘리지 않는 자가 없습니다. 제가 누구인데 가히 생각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신생이 말했다.
"상제께서 나의 어질고 효성스러움을 불쌍히 여기시고 이미 명을 내리시어 나를 교산(喬山)의 주인이 되게 하셨습니다. 이오가 가군께 무례한 짓을 범하였기 때문에 나는 그의 불결함을 싫어하여 그가 장례를 치르는 것을 물리치려고 하였으나 백성들의 뜻을 거스를까 두려워 그만 두었습니다. 지금 섬진의 군주가 매우 현명하여 나는 당진을 섬진에게 주고 섬진 사람으로 하여금 나의 제사를 받들게 하려고 하는데 국구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호돌이 대답했다.
"태자께서 당진의 군주를 미워하시더라도 당진의 백성이 무슨 죄입니까? 또 당진의 선군들께서 무슨 죄가 있습니까? 태자께서 동성(同姓)을 버리시고 타성(異姓)에게서 제사를 받으려고 하신다면 태자의 인효(仁孝)의 덕에 어긋날까 두렵습니다."
신생이 말했다.
"국구의 말씀이 옳습니다. 그러나 내가 이미 상제에게 모두 아뢰었습니다. 이제 상제께 다시 아뢸 것이니 국구께서는 7일동안 더 머무시기 바랍니다. 신성 서쪽 외딴 곳에 무당이 있는데 내가 그에게 부탁하여 국구께 결과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두언관이 수레에서 내리며 큰소리로 말했다.
"국구께서는 이제 가셔야 합니다!"
호돌을 수레에서 끌어내리는 순간 호돌은 발을 헛디뎌 땅에 넘어졌는데 거마가 순식간에 사라졌다.
突身乃臥於新城外館。心中大驚,問左右:「吾何得在此?」 左右曰:「國舅祭奠方畢,焚祝辭神,忽然仆於席上,呼喚不醒。吾等扶至車中,載歸此處安息。今幸無恙。」 狐突心知是夢,暗暗稱異。不與人言,只推抱恙,留車外館。至第七日未申之交,門上報:「有城西巫者求見。」 突命召入,預屛左右以待之。巫者入見,自言 : 「素與鬼神通語。今有喬山主者,乃晉國故太子申生,託傳語致意國舅:『今已覆奏上帝,但辱其身,斬其胤,以示罰罪而已,無害於晉。』」 狐突佯爲不知,問曰:「所罰者,何人之罪?」 巫曰:「太子但命傳語如此,我亦不知所指何事也。」 突命左右以金帛酬巫者,戒勿妄言。巫者叩謝而去。狐突歸國,私與丕鄭父之子丕豹言之。豹曰:「君擧動乖張,必不克終。有晉國者,其重耳乎?」 正敘談間,閽人來報:「丕大夫使秦已歸,見在朝中復命。」 二人遂各別而歸。
乖張 : 어긋나다. 성질이 비뚤어지다. 순조롭지 않다. 克終 : 善其終也. 마무리를 잘하는 것.
호돌이 깨어나니 신성 밖의 관사였다. 크게 놀라 좌우에 물었다. "내가 어찌 이곳에 있나?"
좌우에서 대답했다.
"국구께서는 제사를 마치고 축문을 불사르시며 신과 작별하시다가 갑자기 자리 위에서 쓰러지셨는데 아무리 불러도 깨어나지 못하셨습니다. 저희들이 부축하여 수레 안으로 모셔다가 이곳으로 와서 편히 쉬시게 하였습니다. 지금은 다행하게도 아무 탈이 없으십니다."
호돌은 이것이 꿈인 줄 알았으며 매우 괴이하게 여겼다. 남에게 일체 말하지 않고 병이 있는체 하며 성밖 관사에 머물렀다.
7일째가 되는 날 미시(未時)와 신시(申時)가 교차할 때 문에서 보고가 올라왔다. "성의 서쪽에서 온 무당이 뵙기를 청합니다."
호돌이 들어오게 하라고 명을 내리고는 미리 좌우를 물린채 무당을 기다렸다.
무당이 들어와 말했다.
"저는 본래 귀신과 말이 통합니다. 이번에 교산의 주인이 바로 당진의 전 태자 신생인데 국구께 다음 말을 전해달라는 부탁을 받았습니다. '지금 상제께 다시 아뢰었으며 다만 현 당진의 군주는 가군의 몸을 욕보였기 때문에 그 후손을 참하여 죄에 대한 벌을 받고 있음을 보일 뿐이고 당진에는 아무 해가 없을 것이다.'"
호돌은 모르는체 하고 물었다. "벌을 받는 것은 누구의 죄 때문인가?"
무당이 대답했다. "태자께서는 단지 이와 같은 말만 전해달라는 명을 내렸을 뿐이라 저도 무슨 일을 가리키는지 알지 못합니다."
호돌은 좌우에 명을 내려 금과 비단을 가져다가 무당에게 보수로 지급하게 하고 무당에게는 함부로 말을 하지 않도록 주의를 주었다.
무당은 절을 하며 사례하고 떠났다. 호돌이 귀국하자 은밀히 비정보의 아들 비표(丕豹)에게 꿈이야기를 하였다.
비표가 말했다. "주군의 거동을 보면 도리에 맞지 않아 명대로 살지 못할 것 같습니다. 당진의 주인은 중이가 되지 않겠습니까?"
대화를 하고 있는데 문지기가 와서 알렸다. "비대부께서 섬진에서 이미 귀국하시어 조정에서 주군을 알현하시고 복명중이십니다."
두 사람은 각각 헤어져 귀가했다.
卻說丕鄭父同秦大夫冷至,賷著禮幣數車,如晉報聘。行及絳郊,忽聞誅里克之信,鄭父心中疑慮,意欲轉回秦國,再作商量。又念其子豹在絳城:「我一走,必累及豹。」 因此去住兩難,躊躇不決。恰遇大夫共華在於郊外,遂邀與相見。鄭父叩問里克緣由,共華一一敘述了。鄭父曰:「吾今猶可入否?」 共華曰:「里克同事之人尙多,如華亦在其內,今止誅克一人,其餘並不波及。況子出使在秦,若爲不知可也。如懼而不入,是自供其罪矣。」 鄭父從其言,乃催車入城。鄭父先復命訖,引進冷至朝見,呈上國書禮物。
惠公啟書看之,略曰:
晉秦甥舅之國,地之在晉,猶在秦也。諸大夫亦各忠其國,寡人何敢曰必得地,以傷諸大夫之義。但寡人有疆場之事,欲與呂郤二大夫面議。幸旦暮一來,以慰寡人之望!
書尾又一行云:「原地券納還。」惠公是見小之人,看見禮幣隆厚,又且繳還地券,心中甚喜,便欲遣呂飴甥郤芮報秦。
비정보는 섬진의 대부 냉지(冷至)와 함께 귀국했는데 냉지는 예물을 여러 수레에 싣고 당진에 답례차 방문하게 되었다. 당진의 도읍인 강성(絳城)의 교외에 이르자 홀연히 이극이 주살당했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는데 비정보는 의혹이 일어 섬진으로 되돌아 갈까 했지만 다시 헤아렸다.
또 그의 아들 비표(丕豹)가 강성에 있는 것을 생각했다.
"내가 섬진으로 도망친다면 반드시 표에게 화가 미치리라."
이로 인하여 진퇴양난에 빠져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있던 차에 때마침 대부 공화(共華)가 교외에 머무르고 있어 불러 만나게 되었다. 비정보가 이극이 죽게된 연유를 묻자 공화는 일일히 설명해 주었다.
비정보가 물었다. "내가 지금 당진에 입국하는 것이 좋겠습니까?"
공화가 대답했다. "이극과 함께 일을 도모한 사람들이 아직 많은데 저와 마찬가지로 모두 도성안에 있으며 지금 이극 한 사람만 죽임을 당했을 뿐 그 나머지 사람에게는 그 여파가 미치지 않았습니다. 대부께서는 사신으로 섬진으로 출국중이셨으니 모르는 것 처럼 행동하시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두렵다고 도읍에 들어가시지 않는다면 이것은 스스로 죄가 있음을 공술하시는 것입니다."
비정보가 그 말에 따라 수레를 독촉하여 도읍인 강성에 들어갔다.
비정보가 먼저 들어가 복명하고 냉지를 인도하여 알현하게 하였는데 냉지는 혜공에게 국서와 예물을 바쳤다.
혜공이 국서를 펼쳐보니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았다.
"당진과 섬진은 사위와 장인의 나라라 땅이 당진에 있어도 섬진에 있는 것과 마찬가지 입니다. 대부들도 각 그의 나라에 충성을 바치는 것인데 과인이 어찌 감히 꼭 땅을 받으려 하여 대부들의 의로움을 상하게 하겠습니까? 단지 과인은 변경에 변고가 있어 여이생과 극예 두 대부와 얼굴을 맞대고 논의하고자 합니다. 다행히도 빠른 시일내에 온다면 과인의 바램에 위안이 될 것입니다."
서찰의 말미에 또 한 줄이 덧붙여졌다.
"원래의 지권(地券)을 돌려드립니다."
혜공은 본시 소인배라 예물이 후하고 지권을 돌려주자 매우 기뻐하며 곧장 여이생과 극예를 섬진에 보내려고 하였다.
郤芮私謂飴甥曰:「秦使此來,不是好意。其幣重而言甘,殆誘我也。吾等若往,必劫我以取地矣。」 飴甥曰:「吾亦料秦之懽晉,不至若是。此必丕鄭父聞里克之誅,自懼不免,與秦共爲此謀,欲使秦人殺吾等而後作亂耳。」 郤芮曰:「鄭父與克,同功一體之人,克誅,鄭父安得不懼?子金之料是也。今群臣半是里丕之黨,若鄭父有謀,必更有同謀之人。且先歸秦使而徐察之。」 飴甥曰:「善。」 乃言於惠公,先遣冷至回秦,言:「晉國未定,稍待二臣之暇,即當趨命。」 冷至只得回秦。呂郤二人使心腹每夜伏於丕鄭父之門,伺察動靜。鄭父見呂郤全無行色,乃密請祁擧、共華、賈華、騅遄等,夜至其家議事,五鼓方回。心腹回報所見,如此如此。郤芮曰:「諸人有何難決之事?必逆謀也。」 乃與飴甥商議,使人請屠岸夷至,謂曰:「子禍至矣,奈何?」 屠岸夷大驚曰:「禍從何來?」 郤芮曰:「子前助里克弑幼君,今克已伏法,君將有討於子。吾等以子有迎立之功,不忍見子之受誅,是以告也。」 屠岸夷泣曰:「夷乃一勇之夫,聽人驅遣,不知罪之所在。惟大夫救之!」 郤芮曰:「君怒不可解也。獨有一計,可以脫禍。」 夷遂跪而問計。郤芮慌忙扶起,密告曰:「今丕鄭父黨於里克,有迎立之心,與七輿大夫陰謀作亂,欲逐君而納公子重耳。子誠僞爲懼誅者,而見鄭父,與之同謀。若盡得其情,先事出首,吾即以所許鄭父負葵之田,割三十萬以酬子功。子且重用,又何罪之足患乎?」 夷喜曰:「夷死而得生,大夫之賜也。敢不效力!但我不善爲辭,奈何?」 呂飴甥曰:「吾當敎子。」 乃擬爲問答之語,使夷熟記。
懽 : 기뻐할 환. 기뻐하다. 기뻐서 좋아함. 맞다. 들어맞음. 합당함. 伏法 : 벌을 받아 죽임을 당함.
극예가 은밀히 여이생에게 말했다.
"섬진에서 이렇게 사자를 보낸 것은 좋은 뜻이 아닐 것입니다. 예물이 후하고 언사가 달콤한 것은 아마 우리를 유인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가 간다면 반드시 우리를 겁박하여 땅(5城)을 취하려고 할 것입니다."
여이생도 말했다.
"저도 헤아리건대 섬진이 당진의 환심을 사려고 이렇게 오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이것은 비정보가 이극이 주살된 사실을 알고 자신도 벌을 면하지 못할까 두려워하여 섬진과 함께 이러한 계책을 꾸민 것으로 섬진 사람으로 하여금 우리를 죽이게 한 후에 난을 일으키려고 한 것일 뿐입니다."
극예가 말했다.
"비정보와 이극은 공도 함께 세워 한몸인 사람과 같은데 이극이 주살당했으니 비정보가 어찌 두렵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자금(子金 : 여이생의 字)이 헤아린 것이 옳습니다. 지금 군신의 반이 이극과 비정보의 편이니 비정보가 모략을 꾸몄다면 반드시 또 함께 하는 자들이 있을 것입니다. 우선 섬진의 사자를 돌아가게 한 후서서히 살펴봅시다."
여이생이 대답했다. "좋습니다.
마침내 혜공에게 말하여 혜공은 먼저 섬진의 사신인 냉지(冷之)를 섬진으로 돌아가도록 하며 말했다.
"당진의 나랏일이 아직 안정되지 못하였으니 두 신하는 잠시 틈이 나기를 기다렸다가 명을 따라 보내겠습니다."
냉지는 섬진으로 귀국할 수 밖에 없었다. 여이생과 극예 두 사람은 매일 밤마다 비정보의 집 대문 주변에 심복을 잠복시켜 비정보의 동정을 염탐하게 하였다. 비정보는 여이생과 극예가 움직이는 기색이 전혀 없는 것을 보고 은밀히 기거(祁擧), 공화(共華), 가화(賈華), 추천(騅遄)등을 밤에 자기 집으로 초청하여 일을 논의하고 오경에 돌아가게 하였다. 심복이 돌아가 자신들이 본대로 여차여차 보고했다.
극예가 말했다.
"사람들이 무슨 결정하기 어려운 일이 있겠는가? 반드시 역모일 것이다."
이리하여 여이생과 상의하고 사람을 시켜 도안이(屠安夷)를 불러오게 하여 물었다.
"그대에게 재앙이 닥치는데 어찌하겠는가?"
도안이가 크게 놀라 물었다.
"재앙이 어디에서 옵니까?"
극예가 대답했다.
"그대는 전에 이극을 도와 어린 군주를 시해하였다. 이극은 이미 벌을 받아 죽임을 당했으니 군주께서는 다음에 그대에게 벌을 내리게 될 것이다. 우리는 그대에게 주군을 맞이해온 공이 있어 차마 그대가 죽임을 당하는 것을 볼 수 없어 이렇게 알려주는 것이다. "
도안이가 울며 말했다. "저는 일개 용사일 뿐이라 남의 말을 듣고 시키는대로 하였고 죄가 되는지도 몰랐습니다. 오직 대부께서 살려주시기만 바랄 뿐입니다."
극예가 말했다.
"주군의 노여움을 풀 방도가 없다. 오로지 하나의 계책이 있으니 재앙에서 벗어날 수 있으리라."
도안이가 무릎을 꿇고 계책을 물으니 극예가 황망히 부축하여 일으키며 은밀히 말했다.
"지금 비정보는 이극과 같은 편인데 칠여대부와 더불어 은밀히 난을 일으키려고 음모를 꾸미고 있으며 주군을 몰아내고 공자 중이를 영입해 옹립하려고 하고 있는 중이다. 그대가 거짓으로 전일의 잘못으로 주륙당할까 두렵다고 하면서 비정보를 만나 그들과 함께 음모를 꾸미도록 해라. 만약 그들의 뜻을 모두 알게 되어 사전에 자수한다면 우리는 바로 비정보에게 주기로 약속한 규구의 땅 중 30만 전을 그대가 공을 세운데 대한 대가로 할양해 줄 것이다. 또 그대를 중용할 것이니 또 무슨 죄를 근심할 것인가?"
도안이가 기뻐하며 말했다.
"제가 죽다가 살아난 것은 대부의 덕택입니다. 감히 힘을 다하지 않겠습니까? 다만 저는 말에 능하지 못한데 어찌합니까?"
여이생이 말했다.
"내가 그대에게 가르쳐 줄 것이다."
이리하여 예상문답을 만들어 도안이에게 숙지하도록 했다.
是夜,夷遂叩丕鄭父之門,言有密事。鄭父辭以醉寢,不與相見。夷守門內,更深猶不去。乃延之入。夷一見鄭父,便下跪曰:「大夫救我一命!」 鄭父驚問其故。夷曰:「君以我助里克弑卓子,將加戮於我,奈何?」 鄭父曰:「呂郤二人爲政,何不求之?」 夷曰:「此皆呂郤之謀也。吾恨不得食二人之肉,求之何益?」 鄭父猶未深信,又問曰:「汝意欲何如?」 夷曰:「公子重耳仁孝,能得士心,國人皆願戴之爲君。而秦人惡夷吾之背約,亦欲改立重耳。誠得大夫手書,夷星夜往致重耳,使合秦翟之眾,大夫亦糾故太子之黨,從中而起,先斬呂郤之首,然後逐君而納重耳,無不濟矣。」 鄭父曰:「子意得無變否?」 夷即嚙一指出血,誓曰:「夷若有貳心,當使合族受誅!」 鄭父方纔信之。約次日三更,再會定議。至期,屠岸夷復往。則祁擧、共華、賈華、騅遄皆先在,又有叔堅、累虎、特宮、山祈四人,皆故太子申生門下,與鄭父屠岸夷共是十人,重復對天歃血,共扶公子重耳爲君。
後人有詩云:
只疑屠岸來求救,
誰料奸謀呂郤爲?
强中更有强中手,
一人行詐九人危。
이날 밤 도안이는 비정보의 집 문을 두드려 긴한 일이 있다고 하면서 보기를 청했다. 비정보는 술에 취해 잔다고 하며 만나주지 않았다. 도안이는 대문 안으로 들어가 밤이 깊어도 돌아가지 않았다. 그리하여 그를 안으로 들어오게 하였다.
도안이는 비정보를 만나자 곧 무릎을 꿇고 말했다.
"대부께서는 제 목숨을 살려 주십시오!"
비정보가 놀라 그 까닭을 물으니 도안이가 대답했다.
"주군께서 제가 이극을 도와 탁자를 시해했다고 하여 저를 죽인다고 합니다. 어찌 해야 합니까?"
비정보가 말했다.
"여이생과 극예 두 사람이 국정을 맡고 있는데 어찌 그들에게 부탁하지 않소?"
도안이가 대답했다.
"이것은 모두 여이생과 도안이의 음모입니다. 저는 두사람의 살점을 씹지 못해서 한인데 그들에게 부탁한다 해서 무슨 보탬이 되겠습니까?"
비정보가 아직 믿지 못하고 또 물었다.
"그대의 뜻은 어찌할 생각인가?"
도안이가 대답했다.
"공자 중이는 어질고 효성스러우며 선비의 마음을 능히 얻을 수 있어 나라 사람들이 모두 그를 군주로 추대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섬진 사람들은 이오가 약속을 어긴 것을 미워해 당진의 군주를 중이로 바꿔 옹립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대부의 친필 서찰이 있다면 밤새워 공자 중이에게 달려가 전할 것이니 공자 중이는 섬진과 적(翟)나라의 병사들과 연합하고 대부께서는 옛 태자 신생의 무리를 규합하여 안에서 일어나 먼저 여야생과 극예의 머리를 참하고 연후에 혜공을 쫒아내고 공자 중이를 맞아들인다면 이루지 못할 것이 없습니다. "
비정보가 말했다.
"그대의 뜻에 변함이 없겠는가?"
도안이는 손가락 하나를 깨물어 피를 내게 하고 맹세했다.
"제가 다른 마음을 가지고 있다면 일족이 몰살당해야 마땅할 것입니다."
비정보가 겨우 그를 믿게 되었다.
다음날 삼경에 다시 만나 의논하기로 약속했다. 약속한 날이 되자 도안이가 다시 갔다. 가서 본 즉, 기거(祁擧)、공화(共華)、가화(賈華)、추천(騅遄)은 모두 먼저 와 있었고, 또 숙견(叔堅)、누호(累虎)、특궁(特宮)、산기(山祈)의 네 사람은 모두 옛 태자 신생의 문하에 있던 자들이며 비정보와 도안이를 함께 하면 10명이 되어 다시 하늘을 향해 삽혈하여 맹세하고 함께 공자 중이를 군주로 삼기로 하였다.
후인이 시를 지었다.
도안이가 와서 구원을 청하는 것을 의심했는데,
여이생과 극예의 간계였음을 누가 상상이나 했겠는가?
뛰는 자 위에 나는 자가 있었나니,
한 사람의 속임수로 9인이 위태로워졌도다.
丕鄭父款待眾人,盡醉而別。屠岸夷私下回報郤芮。芮曰:「汝言無據,必得鄭父手書,方可正罪。」 夷次夜再至鄭父之家,索其手書,往迎重耳。鄭父已寫就了,簡後署名,共是十位,其九人俱先有花押,第十屠岸夷也。夷亦請筆書押。鄭父緘封停當,交付夷手,囑他:「小心在意,不可漏泄。」 屠岸夷得書,如獲至寶,一逕投郤芮家,呈上芮看。芮乃匿夷於家,將書懷於袖中,同呂飴甥往見國舅虢射,備言如此如此:「若不早除,變生不測。」 虢射夜叩宮門,見了惠公,細述丕鄭父之謀:「明日早朝,便可面正其罪,以手書位證。」
次日,惠公早朝,呂郤等預伏武士於壁衣之內。百官行禮已畢,惠公召丕鄭父問曰:「知汝欲逐寡人而迎重耳,寡人敢請其罪!」 鄭父方欲致辯。郤芮仗劍大喝曰:「汝遣屠岸夷將手書迎重耳,賴吾君洪福,屠岸夷已被吾等伺候於城外拿下,搜出其書。同事共是十人。今屠岸夷已招出,汝等不必辯矣。」 惠公將原書擲於案下。呂飴甥拾起,按簡呼名,命武士擒下。只有共華告假在家未到,另行捕拿。見在八人,面面相覷,眞個是有口難開,無地可入。惠公喝敎:「押出朝門斬首!」 內中賈華大呼曰:「臣先年奉命伐屈,曾有私放吾君之功,求免一死,可乎?」 呂飴甥曰:「汝事先君而私放吾主,今事吾主,復私通重耳,此反覆小人,速宜就戮。」 賈華語塞。八人束手受刑。
花押 : 수결(手決)과 함자(銜字). 압(押). 문서 끝에 자기 이름을 쓰고 그 밑에 自筆로 쓴 標識로, 印章 대신 독특한 字體로 쓰는 것.
停當 : 일을 적절하게 처리함. 사리에 합당함. ※ 여기에서는 停의 뜻인 '끝내다. 마무리하다'는 뜻으로 보임.
告假 : 휴가를 얻다. 휴가를 신청하다.
비정보는 참석자들에게 정성껏 대접하니 모두 취하여 헤어졌다. 도안이는 은밀하게 극예에게 경과를 보고했다.
극예가 말했다. "그대의 말은 근거가 없다. 반드시 비정보의 친필 서찰을 취하여야 죄로 다스릴 수 있다."
도안이는 다음날 밤 다시 비정보의 집에 가서 비정보의 친필을 요구하며 중이에게 가서 중이를 맞이해 오겠다고 하였다. 비정보는 이미 써놓은 서간 뒤에 서명이 되어 있었는데 모두 10명으로 9명이 모두 먼저 수결했으며 10번째가 도안이였다. 도안이도 수결하겠다고 청하여 수결을 마쳤다.
비정보는 서찰을 봉한 다음 도안이에게 넘겨주며 부탁했다.
"조심하게. 누설되어서는 안된다."
도안이는 서찰을 얻자 지극한 보배를 얻은 것처럼 곧장 극예의 집으로 가서 극예에게 바쳤다.
극예는 자신의 집에 도안이를 숨겨둔채 서찰을 소매 속에 넣고 여이생과 함께 국구 괵석(虢射)에게 가서 사건 전말을 상세히 전했다.
"빨리 제거하지 않으면 변란이 언제 일어날지 예측할 수 없습니다."
괵석은 밤중에 궁문을 두드려 혜공을 알현하고 비정보의 음모를 상세히 설명했다.
"내일 아침 조회시 바로 면전에서 죄를 다스리십시오. 이 친필 서찰이 그 증거입니다."
다음날 혜공이 일찍 조회를 열자 여이생과 이극등은 미리 무사들을 벽의 장막 안에 매복시켰다.
백관의 예가 끝나자 혜공이 비정보에게 물었다.
"네가 과인을 쫒아내고 중이를 맞이하려고 한다고 들었다. 과인이 그 죄를 물으리라!"
비정보가 막 변명하려고 하는데 극예가 장검을 들고 큰 소리로 외쳤다.
"너는 도안이에게 친필 서찰을 가지고 가서 중이를 맞이해 오게 하였다. 우리 주군의 홍복덕분에 도안이는 이미 성밖에서 잡혀 처분을 기다리고 있는 중인데 그 서찰을 찾아냈다. 그 일의 공모자는 10명이며 지금 도안이는 이미 적발되었으니 너희들은 변명할 필요 없다."
혜공이 원 서찰을 탁자 아래로 던졌다. 여이생이 서찰을 주워 서찰을 보며 호명하며 무사들에게 묶으라고 명했다. 다만 공화는 휴가중이라 집에 있어 따로 체포하였다. 포박을 당한 8명은 서로 얼굴을 쳐다보며 참으로 입을 열기가 어려웠고 어찌할 수가 없었다.
혜공이 명을 내렸다.
"끌고나가 조문에서 참하라!"
그중에서 가화가 큰 소리로 외쳤다.
"신은 옛날 선군의 명을 받들어 굴읍성을 칠 때 은밀히 주군께 알려 도운 공을 생각하시고 죽음만은 면해주실 수 없겠습니까?"
여이생이 말했다.
"너는 선군을 섬기면서 은밀히 우리 주군을 도왔고, 이제는 우리 주군을 섬기면서도 또 은밀히 중이와 통하고 있는데 이것은 줏대없이 이랬다 저랬다 하는 반복소인의 행태라 속히 죽어야 마땅하다."
가화는 말문이 막혔다. 8인은 속수무책으로 형을 받았다.
卻說共華在家,聞鄭父等事洩被誅,即忙拜辭家廟,欲赴朝中領罪。其弟共賜謂曰:「往則就死,盍逃乎?」 共華曰:「丕大夫之入,吾實勸之。陷人於死,而己獨生,非丈夫也!吾非不愛生,不敢負丕大夫耳!」 遂不待捕至,疾趨入朝,請死。惠公亦斬之。丕豹聞父遭誅,飛奔秦國逃難。惠公欲盡誅里丕諸大夫之族。郤芮曰:「『罪人不孥』,古之制也。亂人行誅,足以儆眾矣。何必多殺,以懼眾心?」 惠公乃赦各族不誅。進屠岸夷位中大夫,賞以負葵之田三十萬。
孥 : 자식 노. 자식. 종. 처자.
공화는 집에 있다가 일이 누설되어 비정보등이 주살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집안의 황망히 사당에 들어가 절하여 작별하고 조정에 들어가 죄를 청하려고 했다.
동생 공사(共賜)가 말렸다.
"가면 죽는데 어찌 도피하지 않습니까?"
공화가 대답했다.
"비대부가 섬진에서 들어올 때 사실은 내가 들어오라고 권했다. 남을 함정에 빠뜨려 죽게 하고 자기 혼자 살려고 하는 것은 장부가 할 일이 아니다! 나에게 삶에 대한 애착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감히 비대부를 배반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이에 체포하러 오기를 기다리지 않고 조정으로 달려가 죽기를 청했다. 혜공도 그를 참했다.
비표(丕豹)는 부친이 주살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나는듯이 섬진으로 망명하여 난을 피했다. 혜공은 이극과 비정보등 대부들의 일족을 모두 주살하려고 했다.
그러자 이극이 말했다.
"'죄는 처자에게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 옛부터의 규범입니다. 난을 일으키려고 한 자를 죽였으니 백성들에게 경계한 것으로 족합니다. 하필이면 많은 사람을 죽여 백성들의 마음을 두렵게 합니까?"
혜공이 마침내 그 가족들을 용서하고 죽이지 않았다. 도안이는 진급시켜 중대부로 삼고 상으로 부규의 땅 30만전을 내렸다.
卻說丕豹至秦,見了穆公,伏地大哭。穆公問其故,丕豹將其父始謀,及被害緣由,細述一遍。乃獻策曰:「晉侯背秦之大恩,而修國之小怨,百官聳懼,百姓不服。若以偏師往伐,其眾必內潰,廢置惟君所欲耳。」 穆公問於君臣。蹇叔對曰:「以丕豹之言而伐晉,是助臣伐君,於義不可。」 百里奚曰:「若百姓不服,必有內變,君且俟其變而圖之。」 穆公曰:「寡人亦疑此言。彼一朝而殺九大夫,豈眾心不附,而能如此?況兵無內應,可必有功乎?」 丕豹遂留仕秦位大夫。時晉惠公之二年,周襄王之三年也。
聳 : 솟을 용/두려워할 송. 솟다. 솟게 하다. 배냇 귀머거리. [송] 두려워하다. 권하다. 공경하다.
비표는 섬진에 도착하여 목공을 알현하자 땅에 엎드려 크게 통곡했다. 목공이 그 까닭을 물어 보니 비표는 그 부친 비정보가 모의를 시작하여 피해를 당한 연유까지 세세하게 설명하고 계책을 바쳤다.
"당진의 제후가 섬진으로부터 받은 큰 은혜를 배신하여 수교국으로서 작은 원한을 샀으며 백관들이 두려워하고 백성들이 복종하지 않고 있습니다. 만약 소규모 부대를 보내 친다면 당진의 군사들은 반드시 안에서 무너질 것이니 당진의 군주를 폐하고 옹립하는 것은 오직 군주의 뜻에 달려있게 될 것입니다."
목공이 신하들의 의견을 물으니 건숙이 대답햇다.
"비표의 말대로 하신다면 이는 신하를 도와 군주를 치는 것이라 의로 보아 불가합니다."
백리해가 대답했다.
"백성들이 불복한다면 반드시 안에서 변고가 일어나게 될 것이니 주군께서는 변고가 일어나기를 기다리셨다가 도모하십시오."
목공이 말했다.
"과인도 그 말에 의심이 갑니다. 당진에서 하루 아침에 대부들을 아홉 명이나 죽였는데 어찌 민심이 붙어 있지 않다면 이와 같은 일이 일어날 수 있겠습니까? 군대를 일으켜도 내응이 없다면 어찌 승리하겠습니까?"
비표를 머무르게 하고 대부의 직을 제수했다.
이때는 당진의 혜공 2년이고 주 양왕 3년(BC648)이었다.
是年周王子帶,以賂結好伊雒之戎,使戎伐京師,而己從中應之。戎遂入寇,圍王城。周公孔與召伯廖悉力固守。帶不敢出會戎師。襄王遣使告急於諸侯。秦穆公晉惠公皆欲結好周王,各率師伐戎以救周。戎知諸侯兵至,焚掠東門而去。惠公與穆公相見,面有慚色。惠公又接得穆姬密書,書中數晉侯無禮於賈君,又不納群公子,許多不是。敎他速改前非,不失舊好。惠公遂有疑秦之心,急急班師。丕豹果勸穆公夜襲晉師,穆公曰:「同爲勤王而來此,雖有私怨,未可動也。」 乃各歸其國。
王子帶 : 주 혜왕의 아들이고, 주 양왕의 이복동생이다. 태숙 대(太叔 帶), 숙대(叔帶)라고도 한다. 감(甘, 현재의 뤄양 시 남쪽)을 식읍으로 받았고, 감공(甘公)에 봉해졌다. 시호는 감 소공(甘 昭公)이다.
이 해에 주나라 왕자 대(帶)가 이(伊)와 낙(雒) 지방의 융(戎)족과 뇌물을 주고 우호조약을 맺은 다음 융족으로 하여금 경사에 쳐들어오게 하고 자신은 안에서 내응하려고 하였다. 융족이 마침내 쳐들어와 왕성을 포위했다. 주공 공(孔)과 소백 료(廖)가 힘을 다해 지켰다. 왕자 대는 감히 나가서 융(戎)의 군대와 호응하지 못했다. 양왕은 제후들에게 사자를 보내 위급을 알렸다.
섬진의 목공과 당진의 혜공은 모두 주나라 왕과 우호조약을 맺으려고 하였기 때문에 각각 군대를 인솔하고 융을 정벌하여 주나라를 구하려고 하였다. 융족은 제후들의 군대가 도착한 것을 알고 동문쪽을 방화하고 약탈하다가 돌아갔다.
당진의 혜공은 섬진의 목공과 마주치게 되었는데 만면에 부끄러운 기색이 짙었다. 혜공은 또 목희(穆姬)의 밀서를 받았는데 서찰에는 당진의 혜공이 가군에게 무례를 범한 것과 외국에 망명중인 공자들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등 많은 옳지 않은 행실을 꾸짖었다. 그에게 속히 이전의 잘못을 뉘우치고 섬진과 예전의 우호관계를 앓지 말라고 경고했다. 혜공은 마침내 섬진의 마음을 의심하고 서둘러 반사했다.
비표가 과연 목공에게 강진의 군대를 야습하도록 권했으며 목공이 대답했다.
"함께 왕을 지키기 위해 여기에 왔기 때문에 사사로운 원한이 있다 해도 군대를 움직일 수 없다."
마침내 각각 자신의 나라로 귀국했다.
時齊桓公亦遣管仲將兵救周,聞戎兵已解,乃遣人詰責戎主。戎主懼齊兵威,使人謝曰:「我諸戎何敢犯京師?爾甘叔招我來耳!」 襄王於是逐王子帶。子帶出奔齊國。戎主使人詣京師,請罪求和,襄王許之。襄王追念管仲定位之功,今又有和戎之勞,乃大饗管仲,待以上卿之禮。管仲遜曰:「有國高二子在,臣不敢當。」 再三謙讓,受下卿之禮而還。是冬,管仲病,桓公親往問之。見其瘠甚,乃執其手曰:「仲父之疾甚矣。不幸而不起,寡人將委政於何人?」 時甯戚賓須無先後俱卒。管仲嘆曰:「惜哉乎,甯戚也!」桓公曰:「甯戚之外,豈無人乎?吾欲任鮑叔牙,何如?」仲對曰:「鮑叔牙,君子也。雖然,不可以為政。其人善惡過於分明。夫好善可也,惡惡已甚,人誰堪之?鮑叔牙見人之一惡,終身不忘,是其短也。」 桓公曰:「隰朋何如?」 仲對曰:「庶乎可矣。隰朋不恥下問,居其家不忘公門。」 言畢,喟然嘆曰:「天生隰朋,以爲夷吾舌也。身死,舌安得獨存?恐君之用隰朋不能久耳!」
당시 제환공(齊桓公)은 관중을 보내 군사를 이끌고 가서 주나라를 구원하게 하였는데 융병(戎兵)이 이미 왕성의 포위망을 풀었다는 소식을 듣고 융주(戎主)에게 사람을 보내 힐책했다.
융주는 제나라 군대의 위세를 두려워하여 사람을 보내 사죄했다.
"우리 융족이 어찌 감히 경사를 범할 수 있겠습니까? 그대 쪽의 감숙(甘叔)이 우리를 초대하여 왔을 뿐입니다."
양왕은 이리하여 왕자 대를 축출했다. 왕자 대는 제나라로 망명했다. 융주는 사람을 경사로 보내 죄를 청하며 강화를 요청하였는데 양왕이 허락했다. 양왕은 지난 날 관중이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켰던 공적을 생각하고 또 이번에 융주와 강화를 체결하게한 공로가 있어 관중에게 연회를 크게 베풀고 상경의 예로 대하려고 하였다.
관중이 겸손하게 사양하며 말했다.
"제나라에 국씨(國氏)와 고씨(高氏) 두 사람이 상경으로 있어 신이 감당치 못합니다."
그리고 재삼 겸양하여 하경(下卿)의 예로 대접받고 제나라로 돌아갔다.
이해 겨울 관중이 병을 얻게 되었는데 환공이 친히 가서 문병했다. 그 모습이 매우 파리해서 그 손을 잡고 말했다.
"중부께서 병환이 깊습니다. 불행하게도 일어나지 못하신다면 과인이 누구에게 정사를 맡겨야 합니까?"
그때 영척과 빈수무가 모두 사망한 뒤였다.
관중이 탄식했다.
"애석하게도 영척이 먼저 갔구나!"
환공이 물었다.
"영척외에 어찌 사람이 없습니까? 나는 포숙아에게 맡기려고 하는데 어떻습니까?"
관중이 대답했다.
"포숙아는 군자입니다. 그랗다 해도 정사를 맡길 수는 없습니다. 그 사람은 선악을 지나치게 구분합니다. 선한 자를 좋아하는 것은 좋지만 악한 자를 싫어하는 것이 너무 심하니 어떤 사람이 그를 감당해 내겠습니까? 포숙아는 남이 악행을 한 번 행한 것을 보면 죽을 때까지 잊지 않으니 그것이 그의 단점입니다."
환공이 물었다.
"습붕은 어떻습니까?"
관중이 대답했다.
"습붕은 괜찮습니다. 습붕은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도 부끄럽게 여기지 않습니다. 또 그는 집에 있을 때에도 공무를 잊지 않습니다."
말을 마치자 한숨을 쉬며 탄식했다.
"하늘이 습붕을 내어 이오의 혀로 삼았습니다. 몸이 죽고나면 혀가 어찌 홀로 남을 수 있겠습니까? 두려운 것은 주군께서 습붕을 기용하시더라도 오래 갈 수가 없는 것입니다."
桓公曰:「然則易牙何如?」 仲對曰:「君即不問,臣亦將言之。彼易牙、豎刁、開方三人,必不可近也!」 桓公曰:「易牙烹其子,以適寡人之口,是愛寡人勝於愛子,尙可疑耶?」 仲對曰:「人情莫愛於子。其子且忍之,何有於君?」 桓公曰:「豎刁自宮以事寡人,是愛寡人勝於愛身,尙可疑耶?」 仲對曰:「人情莫重於身。其身且忍之,何有於君?」 桓公曰:「衛公子開方,去其千乘之太子,而臣於寡人,以寡人之愛幸之也。父母死不奔喪,是愛寡人勝於父母,無可疑矣。」 仲對曰:「人情莫親於父母。其父母且忍之,又何有於君?且千乘之封,人之大欲也。棄千乘而就君,其所望有過於千乘者矣。君必去之勿近,近必亂國!」 桓公曰:「此三人者,事寡人久矣。仲父平日何不聞一言乎?」 仲對曰:「臣之不言,將以適君之意也。譬之於水,臣爲之隄防焉,勿令泛溢。今隄防去矣,將有橫流之患,君必遠之!」 桓公默然而退。
환공이 물었다. "그렇다면 역아(易牙)는 어떻습니까?"
관중이 대답했다.
"주군께서 묻지 않으셔도 신이 말씀드리려고 했습니다. 그 역아, 수조(豎刁), 개방(開方)의 세 사람은 반드시 가까이 하지 마셔야 합니다."
환공이 물었다.
"역아는 그 아들을 삶아 과인의 입맛이 돌아오게 했습니다. 이것은 과인을 사랑하는 것이 자식을 사랑한 것보다 더한데도 오히려 의심해야 합니까?"
관중이 대답했다.
"인정상 자식을 사랑하는 것보다 더한 것은 없습니다. 그 자식에게도 그렇게까지 잔인한 짓을 하였는데 주군께는 어찌 하겠습니까?"
환공이 물었다.
"수조는 스스로 거세하여 과인을 섬겼습니다. 이것은 과인을 사랑한 것이 자신의 신체보다 더 한 것인데 오히려 의심해야 합니까?"
관중이 대답했다.
"인정상 자신의 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습니다. 자신의 몸에도 그렇게 잔인한 짓을 했는데 주군께는 어찌하겠습니까?"
환공이 물었다.
"위(衛)나라 공자 개방은 천승지국의 태자라는 지위도 버리고 과인의 신하가 되었으며, 과인으로부터 사랑받는 것을 행운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부모가 죽었을 때에도 달려가 장례를 치르지 않았는데 이것은 과인을 사랑하는 것이 부모보다 더한 것이니 의심할 것이 없습니다."
관중이 대답했다.
"인정상 부모보다 가까운 사람은 없습니다. 그 부모에게도 그렇게 잔인했는데 주군께는 어찌하겠습니까? 또 천승의 봉국은 사람이 크게 욕심내는 것입니다. 그런데도 천승의 나라를 버리고 주군께 왔으니 그가 바라는 것은 천승을 넘는 것입니다. 주군께서는 반드시 그를 제거하시고 가까이 하지 마십시오. 가까이 하시면 반드시 나라를 어지럽힐 것입니다."
환공이 말했다.
"이 세 사람은 과인을 오랫동안 섬겨온 자들입니다. 중부께서는 평시에 어찌 한 마디도 알려주지 않으셨습니까?"
관중이 대답했다.
"신이 말씀드리지 않은 것은 주군의 뜻을 따랐기 때문입니다. 물에 비유하자면 신은 제방이 되어 넘치지 않게 한 것입니다. 이제 제방이 없어지면 물이 범람하는 재앙이 있을 것이니 주군께서는 반드시 그들을 멀리 하십시오!"
환공은 말없이 물러갔다.
畢竟管仲性命如何,且看下回分解。
필경 관중의 생명은 어찌될 것인가? 다음 회를 보라.
'中國歷史와文學 > 列國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第三一回. 晉惠公怒殺慶鄭, 介子推割股啖君. (0) | 2021.03.22 |
---|---|
第三十回. 秦晉大戰龍門山, 穆姬登臺要大赦. (0) | 2021.03.22 |
第二八回. 里克兩弑孤主, 穆公一平晉亂. (0) | 2021.03.22 |
第二七回. 驪姬巧計殺申生, 獻公臨終囑荀息. (0) | 2021.03.22 |
第二六回. 歌扊扅百里認妻, 獲陳寶穆公證夢. (0) | 2021.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