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漢詩/李奎報

折花行 - 李奎報

by 柳川 2021. 4. 9.

                                                        折花行

 

 

                                                                                                              李奎報

 

 

牡丹含露眞珠顆、                            진주 이슬 머금은 모란꽃을,

美人折得窓前過。                            새댁이 꺾어들고 창 앞을 다가가.

含笑問檀郞、                                    웃음을 머금고 신랑에게 묻기를

花强妾貌强。                                   "꽃이 더 낫나요 제 모습이 더 낫나요"

檀郞故相戱、                                    신랑이 일부러 희롱하며,

强道花枝好。                                   "꽃의 아름다움이 더 낫소."

美人妬花勝、                                    새댁은 꽃이 더 낫다는 말에 샘이 나서,

踏破花枝道。                                    꽃을 밟아 짓뭉개며 말했네.

花若勝於妾、                                   "꽃이 저보다 낫다고 하시니,

今宵花同宿。                                    오늘밤은 꽃과 함께 주무세요."

 

 

 

李奎報(1168 ~ 1241)

 

본관은 황려(黃驪). 자는 춘경(春卿), 초명은 인저(仁低), 호는 백운거사(白雲居士)·지헌(止軒)·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

9세 때 이미 신동으로 알려졌으며 14세 때 성명재(誠明齋)의 하과(夏課)에서 시를 지어 기재(奇才)라 불렸다. 소년시절 술을 좋아하며 자유분방하게 지냈는데, 과거지문(科擧之文)을 하찮게 여기고 이인로(李仁老), 오세재(吳世才), 임춘 (林春), 조통 (趙通), 황보항 (皇甫抗), 함순 (咸淳), 이담지(李潭之)등 강좌칠현(姜左七賢)의 시회에 드나들었다. 이로 인해 16, 18, 20세 3번에 걸쳐 사마시에서 낙방했다.

 

23세 때 진사에 급제했으나 이런 생활을 계속함으로써 출세의 기회를 얻지 못했다. 개성 천마산에 들어가 백운거사를 자처하고 시를 지으며 장자(莊子)사상에 심취했다. 26세 때 개성에 돌아와 궁핍한 생활을 하면서 당시 문란한 정치와 혼란한 사회를 보고 크게 각성하여 〈동명왕편 東明王篇〉·〈개원천보영사시 開元天寶詠史詩〉 등을 지었다. 그뒤 최충헌 정권에 시문으로 접근하여 문학적 재능을 인정받고 32세부터 벼슬길에 오르게 되었다. 

 

당시 계관시인과도 같은 존재로 문학적 영예와 관료로서의 명예를 함께 누렸다. 권력에 아부한 지조 없는 문인이라는 비판이 있으나 대 몽골 항쟁에 강한 영도력이 필요하다는 판단으로 정권에 협조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그는 우리 민족에 대해 커다란 자부심을 갖고 외적의 침입에 대해 단호한 항거정신을 가졌다.     <다음백과>

'우리 漢詩 > 李奎報' 카테고리의 다른 글

蓼花白鷺 - 李奎報  (0) 2022.02.23
題楞迦山 元曉房 幷序  (0) 2021.12.29
東明王篇 幷序  (0) 2021.12.24
醉歌行。贈全履之。  (0) 2021.12.23
晩望  (0) 2021.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