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漢詩/李仁老

和歸去來辭 - 李仁老

by 柳川 2021. 11. 27.

                                                和歸去來辭

 

                                                                                              李仁老(1152  1220)

歸去來兮。                                      돌아가리라,
陶潛昔歸吾亦歸、                           도잠이 옛날 돌아간 것처럼, 나도 전원으로 돌아가려네.
得隍鹿而何喜、                              해자에서 사슴을 얻은 것을 어찌 기뻐하며,
失塞馬而奚悲?                              변방에서 말을 잃었다고 어찌 슬퍼하랴?

蛾赴燭而不悟、                              나방은 촛불에 날아들며 죽을 줄도 모르고,
駒過隙而莫追。                              인생은 망아지가 작은 틈을 지나가듯 빨라 좇을 수 없다네.
纔握手而相誓、                              손 잡고 맹세했는데도,
未轉頭而皆非。                              머리를 돌리기도 전에 모두 아니라고 하네.

摘殘菊而爲飡、                              시든 국화 따서 밥을 짓고
緝破荷而爲衣。                              해진 연꽃잎 엮어 옷을 만든다.
旣得反於何有、                              이미 無何有鄕(이상향)에 돌아왔는데
誰復動於玄微?                              누가 다시 그윽하고 미묘한 세계에 있는 나를 동요시키겠나?

 

隍 : 해자 황. 해자. 산골짜기. 비다. 공허함.

 

隍鹿: 정나라 나무꾼이 사슴을 잡아 해자에 감춰 두고 기뻐했으나 감춘 곳을 잊어버리고 꿈이 아니었던가 중얼거렸는데 이웃사람이 그 말을 듣고 사슴을 찾아 집으로 가져가서 자기 아내에게 그 사실을 말하자 그 아내가 말하길, 「당신이 꿈 속에서 그 사람을 만났으며 진짜 참 꿈을 꾼 것이오.」 라고 하였다. 나무꾼은 꿈에 그 사람을 찾아내 송사를 일으킴. 판관은 절반씩 나눠 갖게 함. <列子 周穆王》

駒過隙 : 白駒過隙.  흰 망아지가 빨리 달리는 것을 본다는 뜻으로세월과 인생이 덧없이 짧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人生天地之間, 若白駒之過卻, 忽然而已. <莊子 知北遊(5)>

無何有鄕 : 아무것도 없는 곳. 어디에도 있지 않은 곳. 장자가 말하는 이상향을 말함. 無何有는 ‘어떤 것도 없는 것’, 鄕은 ‘곳’을 가리킴.

        天根遊於殷陽, 至蓼水之上, 適遭無名人而問焉. 曰, 請問爲天下. 無名氏曰, 去. 汝鄙人也. 何問之不豫也. 予方將與造物者爲人厭,

        則又乘夫莽之鳥, 以出六極之外, 而遊無何有之鄕, 以處壙垠之野. 汝又何以治天下感予之心爲. <莊子 應帝王>

       

 

 

蝸舍雖窄、                                      달팽이집 비록 좁지만
蟻陣爭奔、                                      개미떼 다투어 달려오고,
蛛絲網扉、                                      사립문에 거미줄 치며,
雀羅設門。                                      참새 그물을 대문에 쳤도다.
藏穀俱亡、                                      장과 곡은 모두 양을 잃었고
荊凡孰存?                                        형군과 범군,누가 살아 남았나?
以神爲馬、                                      정신으로 말을 삼고,
破瓠爲樽。                                      박을 켜서 띄움박 하리라.
身將老於菟裘、                              몸이 토구에서 늙어가더라도,
樂不減於商顔。                              그 즐거움이 상안보다 못하지 않으리라.
遊於物而無忤、                            만물의 이치에 자적(自適)하니 거스름이 없고,
在所寓而皆安。                              사는 것이 모두 편안하도다.
鱗固潛於尺澤、                              물고기는 본래 한 자의 못에도 잠기는데,
翅豈折於天關。                              새가 날아도 어찌 하늘의 관문에서 날개가 꺾이겠는가.
矜逐情而外獲、                              뜻을 구하는데 밖에서 얻으려 하는가,
方收視而內觀。                              시선을 거두고 안을 보아야 하네.
途皆觸而無礙、                              길은 닿는 곳마다 막힘이 없어,
興苟盡而方還。                              흥이 다하면 바로 돌아오리라.
鵬萬里而奚適、                              붕새가 만리를 간다 해도 어디로 가겠는가.
鷦一枝而尙寬。                              뱁새는 나무가지 위에서도 여유롭다네.
信解牛之悟惠、                              포정은 소잡는 도(道)로 문혜군을 깨우쳤고,
知斲輪之對桓。                              목수는 수레바퀴 깎는 도로 제환공에게 답했다네.

 

雀羅: 漢 翟公이 正尉가 되었을 때 빈객이 문전성시를 이루었으나 파직되자 문에 참새 그물을 칠 만큼 한산함.   <史記 汲鄭列傳>

       始翟公為廷尉,賓客闐門;及廢,門外可設雀羅。翟公復為廷尉,賓客欲往,翟公乃人署其門曰:「一死一生,乃知交情。

       一貧一富,乃知交態。一貴一賤,交情乃見。」 汲、鄭亦云,悲夫!

       처음에 책공이 정위()가 되었을 때에는 왕래하고자 하는 빈객들로 대문 밖이 가득 메워질 정도였다. 그가 벼슬에서 물러

       나자 대문 밖에서 참새 그물을 쳐도 될 정도로 한가했었다. 책공이 다시 정위가 되자 빈객들이 다시 왕래하려고 했는데,

       이에 책공은 대문에다 다음과 같은 글을 크게 써 붙였다.

       ‘한 번 죽고 한 번 살아나니, 비로소 사귀는 정을 알게 되고, 한번 가난하고 한 번 부유해지니 비로소 사귀는 태도를 알게 되었

       으며, 한 번 귀해지고, 한 번 천해지니 비로소 사귀는 정이 드러났네.’  

藏·穀 : 장곡구망[臧穀俱亡] 장()과 곡() 두 사람이 함께 양(羊)을 치다가 모두 양을 잃었는데, 장은 책을 끼고 글을 읽었고, 곡은 쌍륙

       (雙六)을 치며 놀았으니, 두 사람의 所業은 같지 않았으나 양을 잃어버린 것은 같다는 말. <莊子 騈拇>

荊凡孰存 : 楚王이 凡君과 환담할 때 신하가 凡나라가 망했다고 세 번 외치자, 凡君이 말했다. 「凡이 망한 것이 나의 存한 바를 상실시

       키지 못하며 楚의 存한 것도 王의 存한 바를 存하게 하지 못할 것이니 이로써 본다면 凡나라가 망한 것도 楚나라가 존한 것도

       아니다.」  <莊子 田子方>

以神爲馬 : 나를 변화시켜 엉덩이를 수레바퀴로 삼고 神을 말로 삼아서 내가 탈 것이다.  <莊子 大宗師>

破瓠爲樽 : 惠子가 장자에게「내가 큰 박의 씨를 심었더니 열매가 열렸는데 닷 섬을 담을 만큼 크고, 물을 담자니 찌그러들까 봐 들 수도

        없으니 쓸모가 없네.」 장자왈 「그런 큰 바가지가 있다면 왜 띄움박을 만들어 江湖에 띄우지않는가?」  <莊子 逍遙遊>

菟裘 : 노나라 은공(隱公) 息은 惠公의 庶子였는데 성장하자 宋나라 여인을 아내로 맞이해 왔는데 미색이라 혜공이 취하여 아들 윤(允)이

        태어나자 세자로 삼았다. 혜공이 죽은 후 윤이 너무 나이가 어려 식이 섭정하였는데 바로 은공이다, 은공은 토구(菟裘)에 별궁을 지

        어 윤이 성장하면 군주위를 물려주고 은퇴하려고 하였으나 公子 揮의 간계로 謀殺당했다.

商顔 : 상산(商山)의 꼭대기. 진(秦) 나라 말기에 은사(隱士)인 상산사호(商山四皓)가 은거했던 곳.

信解牛之悟惠 : 庖丁의 道. 포정 이라는 요리사가 문혜군(文惠君)을 위하여 소를 잡았다. 그 솜씨가 너무 좋은 것을 본 문혜군(文惠君 :

        梁惠王)이 칭찬하자 포정이 소잡는 도를 말하여 양생법을 깨우쳤다. <莊子 養生主>

斲輪 : 齊桓公이 목수 輪扁으로부터 방법을 가르칠 수 있으나 도는 가르칠 수 없으며 깨우치는 것밖에 없다는 말을 들었다.

        <莊子 天道>  <孟子 盡心 第5章>

   

 

             

歸去來兮。                                    돌아가리라,
問老聃之所遊。                              노자가 노닌 곳을 물어 보리라.
用必期於無用、                              쓰려고 한다면 반드시 쓰이지 않는 것에서 찾고,
求不過於無求。                              구한다면 남들이 구하지 않는 곳을 지나치지 말아야 한다.
化蝶翅而猶悅、                              이 몸이 나비로 변하여 날아도 오히려 기쁘고
續鳧足則可憂。                              오리 다리 짧아도 이어줄까 염려한다.
閱虛白於幽室、                              그윽한 방안에서 빈 방안의 흰 빛을 보고,
種靈丹於良疇。                              좋은 밭에다 영단을 심는다.
幻知捕影、                                    환영은 그림자를 잡는 것이라는 것을 알겠고,
癡謝刻舟。                                    어리석은 자는 배에다 표시하라고 한다.

保不材於櫟社、                              사당 앞의 상수리나무는 재목감이 되지 못해 보존되었고,
安深穴於神丘。                              들쥐는 신단 밑에 깊이 굴을 뚫어 안전을 기한다..
功名須待命、                                 공명을 이루려면 모름지기 천명을 기다려야 하고
遲暮宜歸休。                                 날이 저물면 마땅히 돌아가 쉬어야 한다.
任浮雲之無迹、                              뜬 구름에 맡기고 행적도 없이,
若枯槎之泛流。                              뗏목처럼 둥둥 떠서 흘러가리라.

 

 

化蝶 : 胡蝶夢에 나오는 나비를 말함.  

        莊周夢爲胡蝶, 栩栩然胡蝶也. 自喩適志與! 不知周也. 俄然覺, 則蘧蘧然周也. 不知周之夢爲胡蝶與. 胡蝶之夢爲周與? 周與蝴蝶

        則必有分矣. 此之謂物化.    <莊子 齊物論 (7)>

續鳧足則可憂。鳧脛雖短, 續之則憂, 鶴脛雖長, 斷之則悲. 故性長非所斷, 性短非所續, 無所去愚也.   <莊子 騈拇>

虛白 : 虛室生白.   瞻彼闚者, 虛室生白, 吉祥止止, 夫且不止, 是之謂坐馳. 저 뚫린 벽을 보면 빈 방안에 흰 빛이 있고 거기에는 반드시

        길한 징조가 깃들어 있다. 대저 마음이 정지하고 있지 않으면 이를 좌치라고 한다.   <莊子 人間世>

種靈丹於良疇 : 仙家의 양생법에 단전에 結丹한다는 말이 있다.  

刻舟 : 刻舟求劍.  배를 타고 강을 건너다가 칼을 떨어뜨렸는데 그 자리에 표시를 해놓고 그 자리 밑 물속에서 칼을 찾는다는 것을 말함.   

        楚人有涉江者, 其劍自舟中墜於水, 遽契其舟曰, 是吾劍之所從墜. 舟止, 從其所契者, 入水求之. 舟己行矣而劍不行, 求劍若此, 不亦惑

        乎. 以古法爲其國與此同. 時己徙矣, 以法不徙. 以此爲治, 豈不難哉.   <呂氏春秋 察今>

櫟社 : 사당 앞의 상수리나무는 재목감이 되지 못해 보존되어 한없이 지란 것이다. <莊子 人間世 (4)>

深穴於神丘 : 且鳥高飛, 以避矰弋之害, 鼷鼠深穴乎神丘之下, 以避熏鑿之患. 새가 높이 나는 것은 주살의 해를 피하기 위해서이며, 들쥐가 신단아래에 깊은 굴을 파는 것은 불길을 피하거나 파내버리는 우환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莊子 應帝王(2)> 

 

 


已矣乎。                                       그만두자.
天地盈虛自有時。                            천지간에 가득 차고 비는 것은 때가 있는 법.
行身甘作賈胡留、                            서역 장사꾼이 제 몸을 길라 보석 감춘 것을 본받겠는가.
遑遑接淅欲安之。                            서둘러 쌀을 일어 어디로 가려는가?
風斤思郢質、                                  바람소리 내는 도끼는 영(郢) 사람의 기질을 생각하게 하고,
流水憶鍾期。                                  물 흐르듯 하는 거문고 소리는 종자기(鍾子期)를 기억나게 한다.
尿死灰兮奚暖、                               불 꺼진 재에 오줌을 눈다고 어찌 따뜻해지며,
播焦穀兮何耔。                               불타버린 곡식을 파종한다 해도 어찌 싹이 나겠는가.
第寬心於飮酒、                               다만 술을 마시며 편한 마음으로,
聊遣興於作詩。                               에오라지 시(詩) 지어 시름 달래며 흥을 내리라.
望紅塵而縮頭、                               속세를 바라보면 목이 움츠려 드니
人心對面眞九疑。                            사람의 마음이란 얼굴을 마주하고서도 진정 알 수 없도다.

 

 

賈胡留 : 당태종이 신하들과 대화중 한 말.  <資治通鑒. 唐太宗貞觀元年)

           「吾聞西域賈胡得美珠, 剖身以藏之。내가 듣건대 서역 상인이 아름다운 구슬을 취득하여 몸을 갈라 감췄다고 했소.」

接淅 : <맹자, 萬章(下)第 1章,  진심 (下) 第11章>     孔子之去齊接淅而行, 去魯曰, 『遲遲。吾行也。』

風斤 : 風斤亡質. 초나라 영(郢)에 사는 사람이 자신의 코 끝에 흰 흙을 파리 날개처럼 얇게 바른 후, 장석(匠石 : 石手)를 불러 그 흙을

        닦아내게 했다. 장석은 바람소리가 날 정도로 도끼를 휘둘렀고 영 사람은 꼼짝도 않고 서있었는데 결국 상처하나 없이 코의 흙은

        깨끗이 지워졌다. 송나라 원군(元君)이 그 말을 듣고 자신에게도 해보라고 하자 장석은 꼼짝도 않던 영 사람이 이미 죽어 할 수

        없다고 거절하였다. 솜씨도 솜씨지만 믿고 꼼짝도 않았던 영 사람의 담력도 있어야 솜씨가 빛나는 법이다.  <莊子 徐無鬼(6)>

鍾子期 : 鐘子期와 伯牙의 故事. 

        伯牙善鼓琴, 鍾子期善聽. 伯牙鼓琴, 志在登高山, 鍾子期曰 : 「善哉! 峨峨兮若泰山.」 志在流水, 鍾子期曰 : 「善哉! 洋洋兮若江河.」

        伯牙所念, 鍾子期必得之. 伯牙游於泰山之陰, 卒逢暴雨, 止於巖下. 心悲, 乃援琴而鼓之. 初爲「霖雨」之操, 更造「崩山」之音. 曲每

        奏, 鍾子期輒窮其趣. 伯牙乃舍琴而嘆曰 : 「善哉! 善哉! 子之聽夫. 志想象猶吾心也. 吾於何逃聲哉?」  <列子. 湯問> 

耔 : 북돋울 자. 북돋우다. 돋우어 가꾸다. 

九疑 : 九疑山. 구의는 중국 호남성(湖南省) 영원현(寧遠縣) 남쪽에 있는 구의산(九疑山)을 이른다. 아홉 개의 봉우리가 모두 모양이

      같아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혼동을 일으켜 九疑라고 하였다 함. 이것인지 저것인지 알수 없어 李白은 箜篌謠라는 시를 지었다 함.

      순임금이 강남을 순시하다가 창오(蒼梧)의 들에서 구의에 묻혔는데 이곳을 영릉(零陵)이라고 하였다.  일명 창오산(蒼梧山)이라고도

      하는데 순 임금의 이 비(二妃)가 그 옆의 소상강에서 빠져 죽었다. 

 

'우리 漢詩 > 李仁老' 카테고리의 다른 글

碁局  (0) 2022.03.03
半月城  (0) 2022.03.03
讀韓信傳 - 李仁老  (0) 2022.03.03
續行路難 - 李仁老  (0) 2022.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