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漢詩/李仁老

碁局

by 柳川 2022. 3. 3.

                                                           碁局

 

 

玉石交飛紅日晩、                                               옥 돌이 번갈아 행마하다 붉은 해가 저무니,
遊人也宜樵柯爛。                                               나무꾼이 구경하다가 도끼 자루가 썩을만 하였도다.
苒苒蛛絲籠碧虛、                                               시간이 흐를수록 거미줄은 푸른 하늘을 에워 싸고, 
翩翩雁影倒銀漢。                                               훨훨 날아가는 기러기의 모습 은하수에 거꾸로 비친다
鼠穴纔通趙將鬪、                                               쥐구멍을 조나라 장수가 겨우 통과하여 싸웠고
鶴唳已覺秦兵散。                                               학이 울자 이미 진나라 군사의 흩어졌음을 알았도다.
兀坐凝神百不聞、                                               오똑히 앉아 정신을 집중하니 아무 것도 들리지 않아 
座中眞得巢由隱。                                               그 자리에서 진실로 소보와 허유의 숨은 뜻을 얻었도다 

 

                                                                                                <東文選  第6卷>

 

樵柯爛 : 진(晉)나라 때 왕질(王質)이 석실산(石室山)에 나무하러 가서 동자 몇 명이 바둑두는 것을 구경하다가 동자가 대추씨 같은

           것을 주어서 받아 먹었는데 배고픈 줄 몰랐다. 동자가 '어찌 돌아가지 않느냐?' 고 하여 일어나 돌아보니 그 동안에 세월이

           얼마나 오래 되었는지 옆에 놓아 두었던 도끼 자루가 벌써 썩어 있었다 한다. (述異記 卷上)

苒 : 풀 우거질 염.  풀이 우거진 모양. 부드럽고 약한 모양. 차츰 자라는 모양.                唳 : 울 려.

苒苒 : 초목이 무성한 모양. 가볍고 부드러운 모양. 시간이 점점 흘러가는 모양.

鼠穴纔通趙將鬪 : 진(秦)나라와 한(韓)나라가 연여(閼與)에서 싸우면서 한(韓)나라가 조(趙)나라에 구원을 청하니 조사(趙奢)가 말하

         기를, “길이 험하고 좁아서 두 쥐가 구멍에서 싸우는 것 같아서 장수가 용맹한 자 이길 것입니다.” 하였다.

鶴唳 : 오호 16국때의 전진왕(前秦王) 부견(苻堅)이 진(晋)을 치다가 패하여 군사들이 달아날 때 바람 소리와 학(鶴)의 울음을 듣고도 진

         (晋)의 군사가 추격하는 줄 알고 놀래었다.

巢由隱 : 바둑을 좌은(坐隱)이라 하는데, 그것은 앉아서 세상 일을 잊는다는 뜻이며, 소보(巢父)와 허유(許由)는 요(堯)가 임금의 자리를

         사양하여 주는 것을 받지 않고 기산(箕山)에 숨어서 살았다.

巢由 : 바둑을 좌은(坐隱)이라 하는데, 그것은 앉아서 세상 일을 잊는다는 뜻이며, 소보(巢父)와 허유(許由)는 요(堯)가 임금의 자리를 사

         양하여 주는 것을 받지 않고 기산(箕山)에 숨어서 살았다.

 

'우리 漢詩 > 李仁老'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半月城  (0) 2022.03.03
讀韓信傳 - 李仁老  (0) 2022.03.03
續行路難 - 李仁老  (0) 2022.02.23
和歸去來辭 - 李仁老  (0) 2021.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