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漢詩/李仁老

讀韓信傳 - 李仁老

by 柳川 2022. 3. 3.

                                                       讀韓信傳

 

 

                                                                                                                       

                                                                                                                             李仁老

 

 

王孫朝飢依漂母、                                           왕손이 아침을 굶고 표모에게 끼니를 의지하면서도 
國士無雙心自許。                                           스스로 나라의 선비중 가장 뛰어난 자로 여겼도 
不將一劍輕少年、                                           불량소년의 모욕을 가볍게 여기고 칼 한 번 휘두르지 않았으나, 
還把千金購降虜。                                           도리어 천 금을 써서 항복한 포로를 찾았도다
當時破齊足自王、                                           당시 제나라를 격파한 후 스스로 제나라 왕이 되었었는데, 
可憐與噲終爲伍。                                           가엽게도 마침내 번쾌와 같은 반열에 서게 되었구나
從來鳥盡弓必藏、                                           원래 새가 사라지면 활은 치워지는 법이니,
不用追思蒯生語。                                           괴생의 말을 듣지 않았던 일을 후회하였으리라. 

 

                                                                                                 <東文選 第6卷>

 

王孫 : 표모가 한신이 굶주린 모습을 보고 수십일간 밥을 먹였는데 한신이 후일 후하게 은혜를 갚겠다고 하자 표묘가 한신을 칭했던

        말.

        信釣於城下,諸母漂,有一母見信飢,飯信,竟漂數十日。信喜,謂漂母曰:「吾必有以重報母。」 母怒曰:「大丈夫不能自食,

        吾哀王孫而進食,豈望報乎!」 <史記 卷九二. 淮陰侯列傳 이하 인용문은 모두 같다.>

國士無雙 : 소하가 한고조에게 한신을 추천하면서 한 말중에 나온 문구이다. 何曰:「諸將易得耳。至如信者,國士無雙。.... 」

少年 : 고향의 백정중 젊은 사람이 가랭이 밑으로 기어가도록 한 고사를 말함.

         淮陰屠中少年有侮信者,曰:「若雖長大,好帶刀劍,中情怯耳。」眾辱之曰:「信能死,刺我;不能死,出我袴下。」於是信孰

         視之,俛出袴下,蒲伏。一市人皆笑信,以為怯。

千金購降虜 : 한신이 漢의 대장군이 된 후 조(趙)나라를 치는데 광무군(廣武君) 이좌거(李左車)가 성안군(成安君)에게 한신을 격파할 계

         책을 건의했으나 듣지 않아 한신이 승리했다. 한신은 이좌거를 높이 평가하여 조나라에 승리한 후 '이좌거를 죽이지 말라.'고

         영을 내리고 사로잡아 오는 자에게 1000금을 내리겠다고 하였다.         「信乃令軍中毋殺廣武君,有能生得者購千金。」

破齊足自王 : 한신이 제나라를 평정한 후 한고조에게 자신을 제나라 가왕으로 삼아줄 것을 요청하여 마침내 제나라 왕이 되었다.

         漢四年,遂皆降平齊。使人言漢王曰:「齊偽詐多變,反覆之國也,南邊楚,不為假王以鎮之,其勢不定。願為假王便。」

與噲終爲伍 : 한신이 초왕(楚王)이 된 후 한신이 모반했다는 밀고가 있어 한고조가 운몽에서 제후들과 회동한다는 핑계로 한신을 사로

         잡아 낙양에 가서 한신을 회음후(淮陰侯)로 강등시켰다. 그 후 한신이 번쾌의 집에 들른 일이 있었는데 스스로 자조하면서 뇌까

         린 말이다. 

         信知漢王畏惡其能,常稱病不朝從。信由此日夜怨望,居常鞅鞅,羞與絳、灌等列。信嘗過樊將軍噲,噲跪拜送迎,言稱臣,曰:

         「大王乃肯臨臣!」 信出門,笑曰:「生乃與噲等為伍!」

鳥盡弓必藏 : 한신이 운몽지회(雲夢之會)에서 사로잡혔을 때 탄식했던 말이다.  토끼가 죽으면 사냥개가 삶아지고, 새가 없어지면 활도

         치워버린다. 「狡兔死,良狗亨;高鳥盡,良弓藏;敵國破,謀臣亡。」

蒯生語 : 한신이 제왕(齊王)이 되었을 때 제나라 사람 괴통(蒯通)이 한고조 유방, 초패왕 항우와 천하를 셋으로 나누도록 원한다. 그렇지

         않으면 한신의 재주로 보아 종말이 좋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예고했으나 한신은 듣지 않았다. 

'우리 漢詩 > 李仁老' 카테고리의 다른 글

碁局  (0) 2022.03.03
半月城  (0) 2022.03.03
續行路難 - 李仁老  (0) 2022.02.23
和歸去來辭 - 李仁老  (0) 2021.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