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漢詩/杜甫

登高

by 柳川 2022. 1. 8.

                                                           登         高

 

 

                                                                                                                                杜甫

 

 

風急天高猿嘯哀、                           바람이 급하고 하늘은 높은데 원숭이 구슬피 우네.

渚淸沙白鳥飛廻。                           물 맑고 모래는 흰데 새는 빙빙 돌고 있구나.           

無邊落木蕭蕭下、                           끝없이 지는 낙엽 우수수 떨어진다.                      

不盡長江滾滾來。                           장강은 도도하게 한없이 흘러오네.                          

 

萬里悲秋常作客、                           만리 타향에서 가을을 맞는 객은 항상 서글픈데.

百年多病獨登臺。                           한평생 시름이 많아 홀로 대에 오른다.  

艱難苦恨繁霜鬢、                           온갖 고초로 괴로운 중에 흰머리 느는 것이 한이네,            

燎倒新停濁酒杯。                           늙고 쇠하여 새로이 술도 끊었다네.            

 

登高 : 음력 9월 9일 重陽節에, 높은 곳에 오르는[登高] 풍속이 있었다.

猿嘯哀 : 巫峽에 원숭이가 많으므로 그 울음소리가 처량하고 슬프게 들리는 것이다.

無邊落木蕭蕭下 : ‘無邊’은 無邊無際로서, 즉 끝이 없다는 뜻이다. ‘落木’은 落葉과 같으며, ‘蕭蕭’는 잎이 떨어지는 소리를 형용한 것.

不盡 : 無窮無盡과 같은 의미이다.      

萬里悲秋常作客 : 杜甫가 만리타향에서 가을을 맞이하여 경물을 대함에 슬픔이 생겨나고 오랜 객지 생활로 인해 더욱 상심함을 나타낸

        구절이다. ‘客’은 杜甫 자신.

百年多病獨登臺 : ‘百年’은 일생을 의미. 옛사람들은 일생이 백년을 넘지 못한다고 여겼다. ‘獨登臺’는 중양절에 가족과 함께하지 못하고

        홀로 높은 곳에 올라 먼 곳을 조망하는 것.

潦倒新停濁酒杯 : ‘潦倒’는 失意, 혹은 衰頹의 의미이다. ‘新停濁酒杯’는 시인이 폐병으로 인해 요사이 술을 끊었다는 뜻이다.

 

 

[翻譯]
風急天高猿猴啼叫顯得十分悲哀,水清沙白的河洲上有鳥兒在盤旋。
無邊無際的樹木蕭蕭地飄下落葉,望不到頭的長江水滾滾奔騰而來。  
悲對秋景感慨萬里漂泊常年為客,一生當中疾病纏身今日獨上高台。  
歷盡了艱難苦恨白髮長滿了雙鬢,衰頹滿心偏又暫停了澆愁的酒杯。

 

 

[集評]
 

○ 七律爲格調所拘 欲寓神明于矩矱 殊非易事    排奡 便 便              穿 便 調仿   -  , 

○ 杜陵詩云 萬里悲秋常作客 百年多病獨登臺              多     也    -  , 

○ 上四 登高聞見之景 下四 登高感觸之情  應    者  以上聯多用實字寫景 下聯多用虛字摹神 - 淸 仇兆鰲, 《杜詩詳注》 

○ 八句皆對 起二句 對擧之中 仍復用韻 格奇而變 - 淸 沈德潛, 《唐詩別裁集》 卷13

    -  ,  17

 

 

排奡 : 강하고 힘이 있어 호탕(豪宕)한 것을 말한다.

卽從巴峽穿巫峽 便下襄陽向洛陽 : 杜甫의 〈聞官軍收河南河北〉 마지막 구절이다.    <以上  (注)및 집평은 東洋古典綜合DB 참고및 인용>

'중국의 漢詩 > 杜甫'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絶句 二首  (0) 2022.01.08
江村  (0) 2022.01.06
乾元中寓居同谷縣作歌七首  (0) 2022.01.05
飮中八仙歌  (0) 2022.01.04
石壕吏  (0) 2020.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