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漢詩/其他

題梁州客舍壁 - 鄭誧

by 柳川 2022. 2. 23.

                                                        題梁州客舍壁 

 

 

                                                                                                                          鄭誧

 

 

五更燈影照殘粧、                                새벽 등불이 지워진 화장 비추는데,

欲語別離先斷腸。                                이별하려니 먼저 단장이 에인다.

落月半庭推戶出、                                지는 달 반쯤 비친 마당에 문 열고 나오니,

杏花踈影滿衣裳。                                살구꽃 큰 그림자가 옷에 가득하구나.

 

 

誧 : 도울 포. 돕다. 말이 크다. 간하다. 꾀하다. 

 

 

 

鄭誧(1309 ~ 1345)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중부(仲孚), 호는 설곡(雪谷). 

정포는 1326년(충숙왕 13) 과거에 급제하였다. 얼마 뒤에 예문수찬으로 원나라에 표(表)를 올리러 가다가 마침 원나라에서 귀국 중이던 충숙왕을 배알하게 되어 총애를 받게 되었다. 충혜왕 때에 전리총랑(典理摠郎)에서 좌사간대부(左司諫大夫)가 되었다.

당시의 잘못된 정치를 바로잡고자 상소하였다가 도리어 파면 당하였다. 이때에 어떤 이가 정포가 원나라로 망명하려 한다는 참언을 하여 끝내 울주(蔚州 : 지금의 울산)로 유배당하였다. 유배 중에도 오히려 태연자약하여 활달한 장부의 기질을 잊지 않고 풍류생활을 즐겼다.

정포는 유배지에서 풀리자 다시 출세의 의지를 가지고 원나라에 건너갔다. 원나라 승상인 별가불화(別哥不花, 別哥普化)가 그를 한번 보고 매우 호감을 가지게 되어 원나라 임금에게 추천하였다. 그 뒤에 얼마 안 되어 37세의 나이로 죽었다.

'우리 漢詩 >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擬戍婦擣衣詞 - 偰遜  (0) 2022.02.23
詠菊 - 鄭誧  (0) 2022.02.23
山有魚矣 - 申欽  (0) 2022.02.18
擬故 - 成俔  (0) 2022.01.05
囉嗊曲 - 成侃  (0) 2022.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