畏賦
有獨觀處士、杜門端居、 독관처사란 자가, 두문불출하고 살면서,
常若有畏、 항상 두려워 하는 것이 있는 것 같았는데,
顧形而畏、顧影而畏、 자기 모습 돌아보고 두려워하며, 그림자를 보고도 두려워하고,
擧手動足、無一不畏。 일거수 일투족을, 모조리 두려워 했다.
沖默先生造、問其所以、 충묵 선생이 찾아가 그 까닭을 물었더니,
處士曰、堪輿之內、物孰無畏? 처사가 대답했다. 천지간에 어느 것인들 두렵지 않은 것이 있습니까?
戴角揷牙、翼翍足趡、 뿔 달린 짐승, 이가 날카로운 짐승, 날짐승, 들짐승,
蠕蠕蠢蠢、厥種繁熾、 꿈틀대는 온갖 벌레들도 그 종족이 번창하는데,
慳生嗇命、各讋非類、 모두 제 생명을 아껴, 딴 족속을 무서워하니,
鳥畏鷹於天、魚畏獺於水、 하늘에서 새는 매를 두려워하고, 물에서 물고기는 수달을 두려워하며,
兎畏獹、狼畏兕、 토끼는 사냥개를 이리는 들소를 두려워하고
鹿脅于?、蛇?于豕、 사슴은 살쾡이를 두려워하며 뱀은 멧돼지를 무서워하고
猛莫猛兮虎豹、遇狻猊而奔避。 사납기론 범ㆍ표범이 으뜸이지만 사자를 만나면 도망쳐 피합니다.
何玆類之孔多兮、羗難覼縷而備記。 이런 부류는 어찌 그리도 많은지, 아 ! 모두 자세히 적을 수도 없습니다.
物固然矣、人亦有焉。 짐승이야 본래 그렇지만, 사람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莫尊者君、猶畏上天、 임금이 제일 높아도, 하늘을 두려워하며
祗栗齊肅、夙夜以䖍。 공경하고, 엄숙하여 밤낮으로 정성을 다합니다.
惟君惟臣、若堂陛陞然、 임금과 신하 사이는 대청과 섬돌 같아
由陛及地、窊崇亦懸、 섬돌에서 땅까지는 높낮이 또한 현격(懸隔)하여
卑者畏高、後者畏先。 낮은 사람은 윗 사람을 두려워하고 뒤에 선 자는 앞선 자를 두려워합니다.
揆尺計寸、莫不畏旃。 자로 재고 치로 따져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 없습니다.
胡世路之嶮嶬兮、紛理緖之倒顚、 그러나 세상길이 험악하니 차례가 뒤집혀,
冠茸履兮在底、甈先鼎兮居前、 갓이 밟혀 신 밑에 있고 깨진 항아리가 솥보다 앞에 놓이며,
跛驢踸踔兮、將白蟻共軶、 절룩거리는 당나귀가, 혹 周穆王의 준마인 백희와 함께 멍에 매고
犨麋??兮、與子都同筵。 주미의 추한 얼굴이 자도(子都)와 자리를 함께 하는 격입니다.
下慢而凌上、佞近而踈賢、 아랫 사람 방자하여 윗사람 능멸하고, 아첨꾼 바싹 붙어 어진 이 멀리하니,
鑚皮之謗日熾、射影之毒遐羶。 가죽을 뚫는 듯 비방이 날로 성하여 그림자를 쏘는 독기가 멀리 번집니다.
矧予瑣屑之微質兮、跡有衆之攸寰、 하물며 나 같이 보잘 것 없는 작은 존재가 뭇 사람 사는 세상에 섞여 있어
彼巧我拙、我一彼千、 저들은 재주가 있으나 나는 쓸모가 없으며, 내 가진 것이 하나인데 저들은 천이며,
踏地生梗、皆成畏途、 땅 밟으면 가시가 돋아 모두 무서운 길이 되니
苟縱驅而不懼兮、殆十步而九擠、 두려움 없이 막 달리면 열 걸음에 아홉은 넘어질 것이니,
慄乎懼乎、能不畏乎? 오싹하여 소름이 끼치니 두렵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吾將介立高蹈、背耦離徒、 나는 이제부터 오뚝 높이 혼자 서서 짝과 무리를 떠나
遊乎壙垠之墟、子以爲何如? 아득히 빈 터에 노닐까 하노니, 선생님은 어찌 생각하십니까?
沖默先生、傲然憑几而笑曰、 충묵 선생이, 오만하게 안석에 기대어 웃으며 말했노라.
僕則異於是、上天之威、吾不畏矣、 나는 그와 다르도다. 하늘의 위엄도, 나는 두렵지 않고,
萬乘之貴、吾不畏矣、 만승천자의 부귀도, 두렵지 않으며,
暴客攘臂、吾不畏矣、 폭력배가 휘두르는 팔도, 두렵지 않고
猛虎切齒、吾不畏矣。 맹호가 성을 내도, 두렵지 않노라.
堪輿 : 만물을 포용하며 싣고 있는 물건이라는 뜻으로, 하늘과 땅을 이르는 말.
翍 : 날개펼 피/날 파. 날개를 펴다. 터놓다. 열어 놓음. 披의 古字. 날가. 나는 모양. 날개짓.
趡 : 움직일 추/달릴 유. 움직이다. 달리다. 땅의 이름. [유] 달리다. 달리는 모양. 蠕 : 꿈틀거릴 연. 蠢 : 꿈틀거릴 준.
熾 : 성할 치. 성하다. 횃불이 활활 유난히 타오름. 맹렬하게 일어남. 또는, 그 모양. 불을 피우다. 불을 붙여 이글이글 피게 함.
慳 : 아낄 간. 아끼다. 망설이다. 머무적거림. 굳다. 단단히 감춤. 쩨쩨함. 讋 : 두려워할 섭. 두려워하다. 떠는 목소리. 꺼리다. 겹치다.
獹 : 개이름 로. 개 이름. 전국 시대 한(韓)의 준견(駿犬). ? : 스라소니 추/큰범 처. 貙와 同字. ? : 두려울 송(상).
狻 : 사자 산(순). 猊 : 사자 예. 사자. 부처가 앉는 자리. 사자좌(獅子座). 뜻이 바뀌어, 고승(高僧)이 앉는 자리.
羗 : 羌. 오랑캐. 중국 서쪽의 오랑캐 이름. 티베트족(族). 아아. 발어사. 탄식하는 소리. 고달프다. 새새끼가 굶주려 괴로워하는 모양.
覼 : 자세할 라(란). 䖍 : 뜻을 알 수 없어 虔으로 해석함. 窊: 우묵할 와. 嶮 : 險과 同字 嶬 : 산높을 의.
甈 :항아리 계/위태할 올. (깨진) 항아리. 위태하다. 불안하다. 깨지다. 금가다. 마르다.
踸 : 앙감질할 침. 앙감질하다. 절룩거리며 가는 모양. 일정하지 아니한 모양. 無常한 모양. 또는, 머뭇거리는 모양. 갑자기 자라는 모양.
踔 : 달릴 초. 달리다. 질주함. 멀다. 아득함. 뛰다. 도약함. 멀리 떨어짐 뛰어나다. 탁월함. 절다. 절름발이.
軶 : 멍에 액. 軛의 本字.
白蟻 : 白羲. 주목왕(周穆王)의 팔준마(八駿馬)중의 하나. 팔준마는 적색의 준마라는 뜻의 화류(驊騮), 속도가 빠른 말이라는 뜻의 녹이
(騄耳), 붉은 천리마의 뜻을 가진 적기(赤驥), 흰색 좋은 말이라는 뜻의 백희(白羲), 커다란 황마라는 거황(渠黄), 돌궐어로 은백색의
좋은 말이라는 뜻의 유륜(逾輪), 목이 가늘고 옅은 검은색 좋은 말이라는 도려(盗驪), 고대 좋은 말을 가리키는 산자(山子).
犨 : 소헐떡거리는 소리 주. ? : 추할 혈. 추하다. 싫어하는 모양. ? : 눈길 나쁜 모양 절.
子都 : 시경(國風/鄭風/山有扶蘇)에 男子之美者也라 하였고, 맹자(告子<上) 第7章)에도 보인다.
射影之毒 : 물 속에 있던 역(蜮)이라는 조그만 여우가 입에 머금은 모래로 사람의 그림자에 뿜으면 헌데가 낫거나 앓는다고 한다. <說文>
寰 : 기내 환. 기내(畿內). 천자(天子)가 직할하던 영지(領地). 천하. 인간세상.
擠 : 밀 제. 밀다. 밀침. 밀어 떨어뜨림. 배척하다. 해치다. 상하게 함. 꺾다. 기세를 누름. 다가서다.
壙 : 광 광. 광. 무덤. 구덩이. 들, 들판. 넓다. 공허함. 垠 : 끝 은. 끝, 가장자리. 기슭, 낭떠러지. 형상, 모양.
言未旣、處士愕然起曰、 말이 채 끝나기도 전에, 처사가 깜짝 놀라 일어나며,
過矣子之不自揆也、何談之容易哉? 선생님께서 스스로 헤아리지 못함이 지나칩니다, 어찌 그리 말을 쉽게 하십니까?
於皇上帝、降監善惡、 높이 계신 저 하늘이, 선ㆍ악을 굽어 살피나니
設或震怒、雷霆暴作、 어쩌다 진노하면, 뇌성벽력이 갑자기 일고
烈風閒之、飛沙走石、 세찬 바람이 섞여 불어, 모래와 돌을 마구 날리며
盲海聾山、激薄忽霍、 바다가 장님되고 산이 귀가 먹어, 세차게 밀어닥치며, 우지끈 뚝딱,
電刃所掣、遺光儵爚、 번개가 칼날을 길게 번뜩여, 빛이 번쩍이면
劃若天裂、剨似地拆、 하늘이 찢어지고 땅이 쩍쩍 갈라지 듯 하는데,
擊大丁以增威、雖周成猶褫魄、 무을을 쳐서 위엄을 보였고, 주성왕(周成王)도 넋을 잃었으며,
皆失匕以罔圖、孰倚柱而自若? 숫가락을 떨어뜨리고 어쩔 줄 몰라 했고, 누가 기둥을 의지하여 태연했습니까?
是上天之威赫赫也、子言無畏何? 이렇게 하늘의 위엄이 무섭거늘, 선생님은 어찌 두려울 것 없다고 하십니까?
先生曰、守正不欺、 선생이 말하기를, 바른 것을 지키고 속이지 않으면
則天不吾威、吾何畏于兹? 하늘이 내게 위엄을 부리지 않을 것인데, 내 어이 하늘을 두려워하겠는가?
掣 : 억누를 철(체). 억누르다. 길게 늘리다. 빼다. 뽑음. 당기다. 儵 : 빠를 숙. 빠르다. 매우 짧은 시간. 잿빛. 검푸른 빛.
爚 : 빛날 약. 빛나다. 빛을 발함. 빛. 번개, 전광. 흩어지다. 剨 : 자끈할 괵. 자끈하다. 단단한 것이 부러지거나 깨어지는 소리.
大丁 : 太丁으로 武乙의 子. 武乙을 指稱한 것으로 보이며 무을은 무도해 우인(偶人)을 만들어 天神이라 부르고 천신과 내기를 하면서 옆
사람에게 심판을 보게 하고는 천신이 지면 천신을 모욕했다. 가죽 주머니를 만들어 그 속에 피를 가득 채우고 높이 매달아 활로
쏘면서 ‘사천(射天)’이라 부르게 했다. 무을은 황하와 위수 사이로 사냥을 갔다가 갑자기 치는 천둥 소리에 놀라 죽었다.
<史記 殷本記>
周成 : 周 成王. 주 성왕(周成王) 때에 큰 바람이 불고 폭우(暴雨)가 쏟아지고 우레가 쳐서 큰 나무가 뿌리채 뽑아지고 들에 벼가 모두
쓰러지니, 성왕이 놀래어 쫓겨 나가 있던 주공(周公)을 도로 맞아 들였다 한다.
褫 : 옷 벗길 치. 옷을 벗기다. 옷을 벗겨 빼앗음. 벗다. 빼앗다.
罔圖 : 失匕罔圖. 유비(劉備)가 조조에게 가 있을 때 조조(曹操)와 술을 마시며 천하의 영웅을 논하다가 “지금 천하 영웅은 그대와 나뿐."
이라는 말을 듣고 놀라 숫가락을 떨어뜨렸는데 때마침 번개가 쳐서 그 핑계를 대고 상황을 모면했다는 고사.
操曰:「夫英雄者,胸懷大志,腹有良謀;有包藏宇宙之機,吞吐天地之志者也。」 玄德曰:「誰能當之?」 操以手指玄德,
後自指曰:「今天下英雄,惟使君與操耳。」 玄德聞言,吃了一驚,手中所執匙箸,不覺落於地下。時正值天雨將至,雷聲大作。
玄德乃從容俯首拾箸曰:「一震之威,乃至於此。」 操笑曰:「丈夫亦畏雷乎?」 玄德曰:「聖人迅雷風烈必變,安得不畏?」
將聞言失箸緣故,輕輕掩飾過了。操遂不疑玄德。<三國志演義 第21回>
倚柱 : 위(魏)나라 하후현(夏侯玄)은 당시 황제 조방과 함께 권신 사마사를 도모하려다가 처형당했다. 하후현은 기둥에 기대어 글을 짓
는데, 벼락이 기둥을 때려 옷에 불이 붙었는데도 하후현은 안색이 태연자약하여 글짓기를 그치지 않았다 한다.
處士曰、金床晃晃、幄坐密勿、 처사가 말했도다, 금상이 번쩍번쩍, 어좌의 장막이 깊숙한데
嚴更巡于徼道、羽林列於雙闕、 요도를 순라꾼이 지키고, 대궐문 앞에 늘어선 우림군들
參旗井鉞、出警入蹕、 참성 깃발, 정성 도끼로, 출입에 경필하며
左憲臺兮凜鐵冠、右執法兮秉丹筆、 왼편엔 철관 쓴 헌대(憲臺 사헌부 어사대), 오른편엔 붉은 붓 든 집법관들
肅肅詻詻、百辟咸秩。 쉬쉬, 예예, 백관이 늘어섰네
於是振雪霜於威怒、馳風雷於咄叱、 이에 노하면 갑자기 눈 서리가 내리고, 꾸짖으면 금방 벽력이 일어나
一有不恪、族赤禍溢、 한 번 불경이 있으면, 멸족의 무서운 재앙
是天子之威栗栗也、子亦無畏耶? 이렇듯 천자의 위엄이 무섭거늘, 그대 또한 두려움이 없는가?
先生曰、夫君尊臣卑勢若冠屨、 선생이 말하기를, 임금과 신하의 높낮음이 마치 갓과 신발같으니
居下事上、趨蹌中矩、 아래서 위 섬길 제, 빠른 걸음으로 추창함이 법에 맞고
望則跽脚、拜則頓首、 바라보고 무릎 꿇고, 절하면 머리를 조아리고
聞命益僂、當局善守、 명령 받곤 더욱 굽실, 맡은 구실 잘 지킬지니
若此則君何威爲、臣何畏有? 이러하면 임금이 어찌 위협이 되며, 신하가 어찌 두려움이 있으리?
晃晃 : 번쩍번쩍하는 모양. 반짝반짝한 모양. 晃 : 밝을 황. 幄 : 휘장 악. 휘장. 장막, 커튼. 천막, 군막. 막을 쳐놓은 곳.
密勿 : 예전에, 임금과의 사이가 가까운 관직을 이르던 말. 노력하다. 기밀(機密). 애쓰다.
徼 : 구할 요(교). 구하다. 훔치다. 빼앗음. 순찰하다. 순라꾼. 변방의 경계. 막다. 차단함. 샛길, 교외의 길. 미묘. 심원한 경지.
更巡 : 예전에, 도둑이나 화재 따위를 경계하기 위하여 도성 안을 순찰하던 군졸을 이르는 말.
羽林 : 우림군. 고대(古代) 금위군(禁衛軍)의 별칭. 별이름 천군(天軍)을 주관하는 큰 별.
雙闕 : 옛날 궁전, 사묘(祠廟), 능묘(陵墓) 등의 앞 양쪽 높은 대 위에 세웠던 누관(樓觀). 參旗
處士曰、若夫賁育之輩、怒而狼顧、 처사가 말하기를, 저 분육 같은 장사배가 성이 나서 늑대마냥 돌아보면
一啑一㖃、風激雲䳱、 ‘흥’ 소리, ‘에끼’ 소리에, 풍운이 갑자기 일어
白日刺人、血流市路、 대낮에 살인이요, 저자에 피바다라.
餘威未滯、飛揚跋扈、 그러고도 성 안 풀리면, 날치며 으스대니,
目欲裂兮星迸、髮直衝兮棘竪、 찢어질 듯한 눈에 별이 쏟아지고, 머리칼 곤두서 가시덤불
足踏虎兮截皮、手拉熊兮裂服、 발로 호랑이를 밟아 가죽을 벗기고, 손으로 곰을 잡아 다리를 찢는다
小項莊之劒舞、卑藺生之睨柱、 항장의 칼춤을 하찮게 보고, 인상여의 기둥 흘김을 우습게 보나니
此刺客之强暴也、子亦無畏耶? 이는 자객의 강포함이라, 그대 또한 두려움이 없는가?
先生曰、唾面待乾、 선생이 말하기를, 낯에 뱉은 침은 그대로 말리고
出胯俛就、虛心而行乎世、 가랑이 밑으로 숙이고 나가, 허심하게 세상을 살아가면
我不彼忤、彼何自怒哉? 내가 저를 안 건드리매, 저들이 어이 성날 것인가?
此亦無足畏也。 이 또한 두려울 것 없으리
處士曰、乳虎出穴、擇肉䑛血、 처사가 말하되, 새끼 밴 범이 굴을 나와 고기를 골라 피를 빨제
淬牙磨爪其聲鎗䶪、一嘯兮風生、 이를 갈고 발톱을 가니 그 소리 쩌렁쩌렁, 한 번 으흥 소리에 바람이 일고
一䂄兮電瞥、不翼而飛、萬里一輟、 한 번 할퀴자 번개가 번쩍, 날개 없이 휙 날아 순식간에 만 리 길
雖馮婦之善搏、亦神喪而氣奪、 제 아무리 범 잘 잡는 풍부로도, 기가 질려 얼빠지니
此猛虎之咆勃也、子其何如? 이는 사나운 범의 으르렁댐이라, 그대는 어찌하겠는가?
先生曰、有挾有設、此不足愕也。 선생이 말하기를, 끼워 잡고 함정이나 그물을 놓으면 족할 것이로다.
處士曰、然則子之所畏、 처사가 말하기를, 그렇다면 선생님이 두려워하시는 것은
果何物乎?有乎無乎? 과연 무엇입니까? 있습니까, 없습니까?
先生曰、僕亦安得而無乎? 선생이 말하기를, 나 역시 어찌 없을 수 있겠는가?
僕之所畏、不在諸物、 내가 두려워하는 것은, 외물에 있지 않고,
特關於己、俯頷戴鼻、 나에게 있으니, 턱 위 코 아래에
中齟外哆、一闔一闢、 속에는 이, 밖에는 입술, 열렸다 닫혔다,
維門之似、物入由是、 문과도 같은 것으로, 물건이 이로 들고 나서
誠不可不有、而亦不可不畏之地也。 진실로 없어선 안 될 것이로되, 안 두려울 수 없는 곳일세.
銘可鑒兮、金緘口、 옛 명을 거울삼을지니 사람의 입을 봉함이고,
詩可觀兮、垣屬耳、 시를 볼 것이니, 담에 붙은 귀
一語一默、榮辱所自。 한 마디 말, 한 순간 침묵이, 영욕의 원인이라
食其以之而烹、伍被以之而死、 역이기가 그로써 삶아졌고, 오피가 그로써 죽었으며
襧衡以之而敗身、灌夫以之而棄巿。 예형이 그 때문에 몸을 망쳤고, 관부가 그 때문에 저자에서 처형됐네.
是以聖人不畏於人、唯畏於口、 그러므로 성인들이 사람을 두려워 않고, 오직 입을 두려워 했으니
苟愼於其口、於行世乎何有? 입을 삼가하면, 세상을 살아감에 무슨 탈이 있겠는가?
今處士騁舌吐辭、鋒攢屑霏、 지금 처사는 혀 놀리고 사설 벌여, 칼끝이 찌르는 듯 가루가 출출 쏟아지듯
談世路之險易、議人閒之是非、 세상 길의 험하고 쉬움을 말하고, 인간의 시비를 의논하니
誠辨則辨矣、奇而又奇、 능변은 능변이고, 기특하긴 기특하나
然口能覆身、言出禍隨。 입은 몸을 망치는 것, 말이 나가면 화가 따르는 법,
子以此求免於時、亦猶擊鼓而求亡者也。 자네가 이러고도 시세에 탈 없길 원한다면, 마치 북치며 도망자 찾는 격이로다.
何其益於迅馳哉? 무슨 이익이 있겠는가?
僕竊笑處士聲其畏而實無有也、 나는 그윽히 처사가 두려웁다 말하나 기실 두려움이 없으며
惡其禍而祇自招之。 그 화를 싫어하면서 화를 스스로 부르는 게 우습구나
處士聞之、避席逡廵、聳然作貌曰、 처사가 듣고, 자리를 옮겨 머뭇거리며 낯빛을 고치고 말했도다.
小子不肖、今聞先生之敎、 제가 어리석었는데, 이제 선생님의 가르침 듣자오니
曉然若披盲而見大曜也。 멀었던 눈을 뜨고 해를 환히 봄 같습니다.
'우리 漢詩 > 李奎報' 카테고리의 다른 글
祖江賦 (0) | 2022.03.05 |
---|---|
釣名諷 (0) | 2022.02.26 |
違心 (0) | 2022.02.24 |
蓼花白鷺 - 李奎報 (0) | 2022.02.23 |
題楞迦山 元曉房 幷序 (0) | 2021.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