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古文學/散文, 小說

盧克淸傳 - 李奎報

by 柳川 2022. 7. 27.

                                                                                    盧克淸傳 

 

 

                                                                                                                                                                                                                                                                                                                                                               李奎報

 

予修明宗實錄。立此傳。有可激貪競故附之。

盧克淸者, 不知何許人也。官止散官直長同正。家貧將賣宅未售, 而方因事之外郡, 其婦與郞中玄德秀受白銀十二斤賣之。及克淸還京師, 見其直多剩。遂持三斤詣德秀曰, 「予實賈此宅, 只給九斤耳。居數年無所加修, 而剩得三斤, 理也。請還之。」 德秀亦義士也, 拒而不納曰, 「爾何獨守公理而予不爾也。」 遂不受。克淸曰, 「予平生義不爲非。豈可賤賈貴賣? 黷于化乎。設閣下不從。請盡納其直。復受吾家也。」 德秀不得已受之。因謂曰, 「予豈不逮克請者耶!」 遂納其銀於佛寺。聞者莫不嘆息曰, 「末俗奔競之時。亦有如此人者乎!」 予恨記事者不詳其家世及餘所行而已。

 

                                                                                     [한국고전종합DB 東國李相國集 第20卷] 

 

黷 : 더럽힐 독. 더럽히다. 더러워짐. 욕을 당하다. 친압(親押)하다. 자주 행하여 사물을 소홀히 하게 . 검다. 검게 됨. 검푸른 모양,

 

 

 

 

내가 《명종실록(明宗實錄)》을 찬수할 때 이 전을 짓게 되었는데, 탐경(貪競)을 격려시킬 만한 것이므로 이를 붙인다.

 

노극청(盧克淸)이 어떠한 사람인지는 알 수 없다. 벼슬은 산관(散官)인 직장 동정(直長同正)에 이르렀을 뿐이다. 집이 가난하여 그 집을 팔려다가 미처 팔지 못하고 마침 일이 생겨서 외군(外郡)에 갔었는데, 그의 아내가 낭중(郎中)인 현덕수(玄德秀)에게 백은(白銀) 12근(斤)을 받고 집을 팔았다. 극청이 서울에 돌아와서 그 집값을 너무 많이 받은 것을 알고 백은 3근을 가지고 덕수에게 가서 말했다.

“내가 과거에 이 집을 살 때에 9근밖에 주지 않았는데, 수년 동안 살면서 아무것도 수리한 것이 없으면서 3근을 더 받는 것은 경우가 아니므로 이를 돌려 주겠소.”

그러나 덕수 또한 의사(義士)인지라, 거절하며 받지 않고 말했다.

“어찌 당신 혼자만 경우를 지키고 나는 그렇지 못하게 하시오?”

그리고  끝내 받지 않았다.

극청이 말했다.

“내가 평생 의리에 그른 일을 하지 않았는데, 어찌 싸게 사가지고 비싸게 팔아서 재물을 탐내는 짓을 할 수 있겠소? 만일 각하(閣下)가 나의 말을 듣지 않으면 그 값을 다 돌려 줄 터이니, 다시 나의 집을 반환하시오.”

덕수는 할 수 없이 그것을 받고 탄식했다.

“내가 극청만 못한 사람이 될 수가 있겠는가?”

마침내 그 은을 절에다 바치고 말았다.

이 말을 들은 사람들은 모두 감탄하였다.

“말세의 풍속이 이득만을 추구하는 시대에도 이런 사람이 있단 말인가?”

나는 이 사실을 기록한 사람이 그 집안의 세계(世系)와 그 밖의 다른 행적을 상세히 기록하지 않은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우리古文學 > 散文, 小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桂陽望海志 - 李奎報  (0) 2022.07.27
桂陽草亭記 - 李奎報  (0) 2022.07.27
桂陽自娛堂記 - 李奎報  (0) 2022.07.27
論走筆事略言 - 李奎報  (0) 2022.07.27
白雲居士語錄, 白雲居士傳 - 李奎報  (0) 2022.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