慵諷
慵諷 李 奎報 居士有慵病, 語於客曰, 「世倐忽而猶慵寓, 身微眇而猶慵持。有宅一區, 草穢而慵莫理。有書千卷, 蠹生而慵莫披, 頭蓬慵掃, 體疥慵醫。慵與人嬉笑, 慵與人趨馳, 口慵語, 足慵步, 目慵顧, 踏地觸事, 無一不慵。若此之病, 胡?而攻?」 客無以對, 退而圖所以解其慵者, 歷旬日而復詣曰, 「間闊不面, 不勝眷戀, 願承英眄。」 倐 : 갑자기 숙. 倏의 俗字. 갑자기. 문득. 잠깐. 언뜻. 빛. 빛나다. 眇 : 애꾸눈 묘. 애꾸눈. 짝눈. 눈을 가늘게 뜨고 보다. 희미하다. 작다. 가늘다. 천하다. 멀다. 높다. 넓다. 다하다. 눈이 귀여운 모양. 蠹 : 좀 두. 좀. 책, 옷 따위를 해치는 해충. 좀먹다. 나무굼벵이. 해치다. 쐐기. 볕에 쬐다. 嬉 : 즐길 희. 즐기다. 기쁨. 놀다. 어울려 장난함. 아름답다. 거사..
2022. 1. 5.
麴先生傳
麴先生傳 李 奎報 麴聖字中之, 酒泉郡人也。少爲徐邈所愛, 邈名而字之。遠祖本溫人, 恒力農自給, 鄭伐周獲以歸, 故其子孫或布於鄭。曾祖史失其名, 祖牟徙酒泉因家焉, 遂爲酒泉郡人。至父醝始仕爲平原督郵, 娶司農卿穀氏女生聖。聖自爲兒時, 已有沉深局量, 客詣父目愛曰, 「此兒心器當汪汪若萬頃之波, 澄之不淸, 撓之不濁, 與卿談不若與阿聖樂。」 醝 : 술 차. 술. 백주, 흰 빛깔나는 술. 곡식이름. 平原督郵 : 맛없는 술 또는 탁주의 은어, 국성(麴聖)의 자는 중지(中之)이며, 주천군(酒泉郡)의 사람이다. 어려서 서막(徐邈)으로부터 사랑을 받아, 서막이 이름과 자를 지어 주었다. 그의 먼 조상은 온(溫) 땅 사람으로 항상 힘써 농사지어 자급(自給)하였는데, 정(鄭) 나라가 주(周) 나라를 칠 때에 포로로 잡혀왔기 때문에 그 자손이 ..
2021. 12. 21.
麴醇傳
麴醇傳 林 椿 麴醇字子厚, 其先隴西人也。九十代祖牟, 佐后稷粒蒸民有功焉。 『詩』所謂『貽我來牟。』 是也。 牟始隱不仕曰, 「吾必耕而後食矣。」 乃居畎畝。上聞其有後, 詔以安車徵之, 下郡縣所在敦遣。命下臣親造其廬, 遂定交杵臼之間, 而和光同塵矣。薰蒸漸漬, 有醞籍之羨。牟乃喜曰: 「成我者朋友也, 豈不信然。」 旣而以淸德聞, 乃表旌其閭焉。從上祀圓丘, 以功封中山侯, 食邑一萬戶, 食實封五千戶, 賜姓爲麴氏。五世孫輔成王, 以社稷爲己任, 致大平旣醉之盛。康王卽位, 漸見疎忌, 使之禁錮, 著於誥令。是以後世無顯著者, 皆藏匿於民間。至魏初, 醇父酎, 知名於世。與尙書郞徐邈, 偏汲引於朝. 每說酎不離口。時有白上者, 「邈與酎私交, 漸長亂階矣。」 上怒召邈詰之, 邈頓首謝曰, 「臣之從酎, 以其有聖人之德, 時復中之耳。」 上乃責之。及晉受禪, 知將亂無仕進意, 與..
2021. 12. 19.
孔方傳
孔方傳 林 椿 孔方字貫之, 其先嘗隱首陽山, 居窟穴中, 未嘗出爲世用。始黃帝時稍採取之, 然性强硬, 未甚精鍊於世事。 帝召相工觀之, 工熟視良久曰, “山野之質, 雖藞苴不可用, 若得遊於陛下之造化爐錘間, 而刮垢磨光則其資質當漸露矣。王者使人也器之, 願陛下無與頑銅同棄爾.” 由是顯於世。後避亂徙江滸之炭鑪步, 因家焉。 父泉, 周大宰, 掌邦賦。方爲人, 圓其外方其中, 善趨時應變, 仕漢爲鴻臚卿。時吳王濞驕僭專擅, 方與之爲利焉。虎帝時海內虛耗, 府庫空竭。上憂之, 拜方爲富民侯, 與其徒充鹽鐵丞僅同在朝, 僅每呼爲家兄不名。 藞 : 물놀이할 약. 물놀이하다. 맞지 않는 모양. 苴 : 속창 저/거친거적 조/마름 차/두엄 자/얕볼 사/나라이름 파. 臚 : 벌일 려. 벌이다. 진열(陳列)함. 살갗. 가죽. 아랫배. 하복부. 펴다. 차례대로 늘어놓음. ..
2020. 10.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