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漢詩/李白

行路難

by 柳川 2016. 7. 23.

 

                                             行     路     難

 

 

 其 一.

 金樽淸酒斗十千、                     금 술잔에 맑은 술 한 말에 일만 냥.

 玉盤珍羞直萬錢。                     옥쟁반에 맛있는 안주도 일만 냥이라네.

 停杯投箸不能食                     잔 멈추고 젓가락 던져 먹을 수 없네.

 拔劍四顧心茫然                     칼 뽑아 동서남북을 둘러봐도 마음은 아득하다

 欲渡黃河冰塞川                     황하를 건너려니 얼음이 내를 막고

 將登太行雪滿山                     태항산을 오르려니 눈이 산에 가득하다.

 閑來垂釣碧溪上                     한가롭게 맑은 강물위에서 낚시를 드리우고  

 忽復乘舟夢日邊                     홀연히 배에 올라 서울가기를 꿈꾼다.

 行路難行路難                     살아가기 어렵구나, 살아가기 어렵구나

 多歧路今安在                     갈림길도 많았는데 지금 어디에 있는가

 長風破浪會有時                     거센바람 파도를 부수는 때가 오리니

 直掛雲帆濟滄海                     돛 높이 달고 창해를 건너리라

 

  [註] 

 

 邊 : 제왕의 도읍 곧 서울. 동진()의 원제()가 장안()에서 사신이 왔을 때, 태자『, 후의 명제帝』에게 『장안과 

           해는 어느 곳이 먼고? 하고 물으니, 장안이 가깝습니다. 해돋는 곳에서 왔다는 사람을 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하고 답했는데, 

         이튿날 잔치 때 원제가 다시 물으니 해가 더 가깝다 하므로 왜 어제와 말이 다른가고 하니까,  (고개를 들면 해

           는 보이지만 장안은 보이지 않습니다.)이라 대답하므로 총명하다 했다.

 

 

 

  

其 二.

大道如青天                          세상의 큰 길 푸른 하늘과도 같은데

我獨不得出                           나 홀로 나아가지 못했구나.

羞逐長安社中兒                      장안의 귀공자 따르기는 부끄러워 하나니

赤雞白狗賭梨栗                      개달리기 닭싸움에 배와 밤 내기나 건다.

彈劍作歌奏苦聲                      풍훤(馮喧)처럼 칼두드리며 노래불러 고충을 토로할거나

曳裾王門不稱情                      왕문(王門)에 옷자락 끌어감은 내 뜻이 아닌 것을.

陰市井笑韓信                      회음(淮陰)의 시정배(市井輩)들 한신(韓信)을 조롱했고

漢朝公卿忌賈生                      한나라 조정의 공경들은 가생(賈生)을 시기했다.

君不見                                그대는 보지못했는가

昔時燕家重郭隗                      옛날에 연나라에서 곽외가 중용되었음을

擁篲折節無嫌猜                      빗자루 잡은 듯 수그리며 꺼리고 시기함이 없었거니.

辛樂毅感恩分                      극신(劇辛)과 악의(樂毅)는 은혜에 감격하여

輸肝剖膽效英才                      정성 다해 그 재주를 다 바쳤건만

昭王白骨縈蔓草                      소왕(昭王)의 백골도 잡초에 묻혔으니

誰人更掃黃金臺                      누구 있어 또다시 황금대를 쓸거나?

行路難                                 살아가기 어려워라

歸去來                                 돌아갈지어다.

 

  [註]

  諼(풍훤) : 제()나라의 모사로 맹상군의 식객 출신이다. 맹상군이 정치적 위기에 봉착했을 때 대책을 마련해준 인물로 유명하다.

  淮陰 : 강소성 회음현. 한 나라 때 한신의 고향이면서 실각()한 뒤의 봉지()여서, 한신을 회음후()라고도 한다.

          이 때, 한신이 읖조린 兎死狗烹이란 말이 유명하다.

          한신이 어릴 때 회음의 시정 잡배(, 깡패)들에게서 그들의 가랑이 밑으로 기어나가는 치욕을 당했다.

          

​  賈生 : ​낙양사람으로 서한 시대의 정치가이자 문학가이다. 가의(賈誼)라고도 불렸다.

  郭隗(곽외) : 燕의 재상.

  擁篲(옹수) : 존귀한 사람을 맞이할 때 비를 가지고 앞길을 쓸며 인도하여 敬意를 표하고 예절을 다 한다는 말.

  折節(절절) : 자기(自己)를 굽히고 의지(意志)를 꺾음.

  劇辛(극신) : 전국시대 조() 나라 승상. 어진 재주가 있었음.

  樂毅(악의) : 전국시대에 활약한 연()나라의 무장. 조·초·한·위·연의 군사를 이끌고 당시 강대국이던  제를 토벌했다.

  昭王 : ​본명은 희직()이고, 정식명칭은 연소양왕()이다. 연나라 39대 군주로 연왕 쾌()의 아들이자 연태자 의 아우이다. 

          역사서에서  혹은 , 등으로 일컬어진다.

  黃金臺 : 중국 베이징 부근에 있던 높은 臺. 전국 시대에 연나라의 소왕이 구축하여 그 건물 안에 千金을 두고 천하의 賢者를 불러들였다.

 

            

 

其三

有耳莫洗潁川水                      귀 있어도 영천 물에 씻지를 말고

有口莫食首陽蕨                      입 있어도 수양산의 고사리 먹지를 말지니.

含光混世貴無名                      빛을 감추고 세상에 섞이어 이름 없음 귀하거니

何用孤高比雲月                      무엇하러 고고하게 구름에다 달에다 나를 비기리?

吾觀自古賢達人                      내 보니 옛날부터 현달한 사람

功成不退皆殞身                      공 이루고 물러나지 않다가 모두 다 그 몸을 죽였나니

子胥旣棄吳江上                      오자서(吳子胥)는 오강에 버려지고

屈原終投湘水濱                      굴원(屈原)은 상수(湘水)에다 몸 던졌다.

陸機雄才豈自保?                      육기(陸機)의 웅재(雄才)도 어찌 제몸이나 지켰던가?

李斯稅駕苦不早                      이사(李斯)는 은퇴를 꺼리어 일찍 물러나지 못했으니,

亭鶴唳詎可聞                      화정(華亭)에 학 우는 소리 어찌 들을 수 있으며,

上蔡蒼鷹何足道?                      상채(上蔡) 하늘을 나는 매를 어찌 말할 수 있겠는가?

君不見?                                그대는 보지못했는가

吳中張翰稱達生                      나라의 張翰, 達生이라 칭찬됨을

忽憶江東                      가을바람 홀연히 江東 그려 돌아갔다.

且樂生前一杯酒                      살아 생전 한 잔 술을 즐길지니

何須身後千載名                      죽고 나서 천 년 뒤에 그 이름을 무엇하리.

 

  

耳莫洗潁川水 :  영천 냇물에 귀를 씻지 말라. 堯임금이 許由에게 왕위를 물려주려 하니 허유가 거절하고 귀가 더러워졌다며 영천의 물에 귀를 씻고 箕山에

                   들어가 숨어살았다.

[출

 : 수양산의 고사리를 먹지 말라. 西 에 있는 산으로 고대 나라 제후 의 두 아들 와 (주무왕)이 은 나라를                         정벌하려는 것을 말리다가 무왕이 듣지 않으니,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어 먹으며 살다가 굶어 죽었다.

 : 가진 지혜를 감추고 세상과 섞여 살아감. (화광동진).                  : 혼자만 유달리 고상(高尙)함.

 : 현인과 달인. 현명하고 사물의 이치에 통하여 있는 사람.

 : (오) 나라 (명사)로 西(서진)에 가서 벼슬한 시인. 참소를 받아 죽음을 당했다고 함.

 : 말을 수레에서 풀어냄. 정착하는 곳. 벼슬을 그만둠.  이사가 말하기를 “사물이 극대로 커지면 쇠퇴하는 법인데, 나는 탈가할 바를 아직 모르겠구나.”라 

        하였다.

亭鶴唳 : 화정의 학 울음소리. 육기가 참소를 당해 죽을 때 “고향의 화정에서 우는 학의 울음소리를 다시는 들을 수 없구나.”  하고 탄식했다 한다.

上蔡 : (나라 이사(李斯)가 사형장으로 끌려나간 때의 고사사형을 받기 직전에 이사가 그의 아들을 돌아보며 사냥개와 매를

          몰고 상채(上蔡)의 동문을 나가 토끼 사냥을 하고 싶어도 이제 어떻게 하겠는가?

          吾欲與若複牽黃犬俱出上蔡東門逐狡免可得乎? 라고 말한 고사가 전한다.   上蔡는 이사의 고향.     <史記列傳 李斯傳>

張翰 : 계응(季鷹)은 진(나라 때 깨끗한 지조로 이름 높았던 장한(張翰)의 자이다

       장한이 가을바람이 부는 것을 보고는 자신의 고향인 오중(吳中)의 순채국과 농어회가 생각나서 말하기를 인생살이에 있어서는

       뜻에 맞게 사는 것이 귀한 법인데어찌 벼슬에 얽매여서 수천 리 밖을 떠돌면서 명예와 관작을 노리겠는가.”라 하고는드디어

       수레를 타고 고향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晉書 92 文苑列傳 張翰>                  

'중국의 漢詩 > 李白'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春思  (0) 2019.03.07
秋浦歌  (0) 2016.09.02
蜀道難  (0) 2016.06.29
將進酒  (0) 2016.06.16
子夜吳歌  (0) 2016.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