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詩經/國風

周南 · 樛木

by 柳川 2019. 2. 8.

                                        周南

 

 

樛木

 

南有樛木, 之。                     남산에 늘어진 나무,   칡넝쿨로 휘감겼네.

樂只君子, 福履綏之。                     즐겁구나! 군자여.  복록이 편안케 하리라.

 

樛 : 휠 규. 휘다. 돌고 돌다. 구불구불하다. 묶다. 동여매다. 구하다. 엉겨붙다.

藟 : 등나무덩쿨 류(유). 등나무. 덩쿨. 꽃봉오리. 얽히다. 감기다.

纍 : 맬 류(유)/여러 루(누)/자주 루(누). 累와 同.  

 

南有樛木, 葛藟荒之。                      남산에 늘어진 나무,   칡넝쿨로 휘덮였네.

樂只君子, 福履將之。                      즐겁구나! 군자여.   복록이 도우리라.

 

 

南有樛木, 葛藟縈之。                      남산에 늘어진 나무.   칡넝쿨에 휘감겨 있네.

樂只君子, 福履成之。                      즐겁도다! 군자여.   복록이 이루어지리라.

 

縈 : 얽힐 영. 얽히다. 감기다. 굽다. 두르다. 둘러싸다.

 

[註]

 

南有樛木,葛藟累之。樂只君子,福履綏之。

남유규목, 갈류류지。 낙지군자, 복리수지。

 

남산에 구부정한 나무가 있으니 칡넝쿨이 휘감겼도다. 즐거우신 군자여, 복록이 편안하리로다.

 

○興也. 南 南山也. 木下曲曰樛. 藟 葛類.  猶繫也. 只 語助辭. 君子 自衆妾而指后妃, 猶言小君內子也. 履 祿. 綏 安也.

○后妃 能逮下而無嫉妬之心. 故 衆妾樂其德 而稱願之曰 南有樛木 則葛藟纍之矣. 樂之君子 則福履綏之矣.

 

○흥이라. 남은 남산이라. 나무가 아래로 구부러진 것을 규라 하니라. 류는 칡 종류라. 류는 맴과 같음이라. 지는 어조사라. 군자

  는 여러 첩들이 스스로 후비를 가르친 것이니, 소군 내자라 함과 같음이라. 리는 녹이고, 수는 편안함이라.

○후비가 능히 아래로 이르러서 질투의 마음이 없느니라. 그러므로 여러 첩들이 그 덕을 즐거워하여 축원하여 가로대 남산에 구

  부러진 나무가 있으니 갈류가 휘감겼고 즐거우신 군자(후비)가 복록이 편안했으면 하는 것이라

 

 南有樛木,葛藟荒之。樂只君子,福履將之。

남유규목, 갈류황지。 낙지군자, 복리장지。

 

남산에 구부러진 나무가 있으니 칡넝쿨이 덮였도다. 즐거우신 군자여, 복록이 장차 하리로다.

 

興也. 荒 奄. 將 猶扶助也.

○흥이라. 황은 가림이라. 장은 부조와 같음이라.

 

南有樛木,葛藟縈之。樂只君子,福履成之。

남유규목, 갈류영지。 낙지군자, 복리성지。

 

남산에 구부러진 나무가 있으니 칡넝쿨이 얽혔도다즐거우신 군자여복록이 이뤄지리로다. 

 

○興也. 縈 旋. 成 就也. (樛木三章)

○흥이라. 영은 두루함이라. 성은 나아감이라. (규목 3장이라)

 

 

'詩經 > 國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周南 · 桃夭  (0) 2019.02.10
周南 · 螽斯  (0) 2019.02.08
周南 · 卷耳  (0) 2019.02.08
周南 · 葛覃  (0) 2019.02.08
周南 · 關雎  (0) 2019.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