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詩經/國風

周南 · 桃夭

by 柳川 2019. 2. 10.

                                                    周南

 

 

桃夭

 

桃之夭夭, 灼灼其華。         복숭아 나무 싱그럽고   그 꽃도 화사하네.

之子于歸, 宜其室家。         아가씨 시집가면  그 집안이 화목하리라.

 

灼 : 불사를 작. 불사르다. 태우다. 밝다. 명백하다. 선명하다. 밝히다. 밝게 비치다. 성하다. 화상을 입다. 굽다. 놀라다. 두려워하다. 

     성한 모양. 화상.  灼灼 : 화사한 모양. 

之子是子.  이 아이.

 

桃之夭夭,  其實。         복숭아나무 싱그럽고   복숭아도 주렁주렁

之子于歸,  宜其家室。         아가씨 시집가면  그 집안이 화목하리라.

 

蕡 : 들깨 분. 들깨. 삼의 씨. 삼. 잡초의 향기. 열매가 많이 나는 모양. 나무가 우거진 모양. 성의 하나. 열매가 많다.

 

桃之夭夭,  其葉蓁          복숭아나무 싱그럽고   그 잎도 무성하네.

之子于歸,  宜其家人。          아가씨 시집가면  그 집안사람들 화목하리라.

 

蓁 : 우거질 진. 우거지다. 많다. 숲. 무성한 모양. 

 

[註]

 

桃之夭夭,灼灼其華。之子于歸,宜其室家。

도지요요, 작작기화。지자우귀, 의기실가。

 

복숭아의 싱싱하고 싱싱함이여, 곱고 고운 그 꽃이로다. 지자의 시집감이여, 그 집안을 마땅하게 하리로다.

 

○ 興也. 桃 木名. 華紅實可食. 夭夭 少好之貌. 灼灼 華之盛也. 木少則華盛. 之子 是子也. 此 指嫁者而言也. 婦人謂嫁曰歸. 周禮仲春令, 

  會男女, 然則桃之有華, 正婚姻之時也. 宜者 和順之意. 室 謂夫婦所居. 家 謂一門之內. 

○文王之化. 自家而國, 男女以正, 婚姻以時. 故 詩人, 因所見以起興, 而歎其女子之賢, 知其必有以宜其室家也.

 

○흥이라. 도는 나무 이름이니 꽃이 붉고 열매는 가히 먹느니라. 요요는 어리고 좋은 모양이고, 작작은 꽃의 성함이니 나무가 어리면 꽃이

  성하니라. 지자는 이 여자이니, 이는 시집가는 자를 가리켜 말함이라. 『주례』에 중춘 때에 남녀를 모으니 그렇다면 복숭아에 꽃이 있는 

  것은 정히 혼인하는 때라. 의라는 것은 화순하는 뜻이라. 실은 부부가 거하는 곳을 이름이오, 가는 한 집안을 이름이라. 

○문왕의 덕화가 집으로부터 온 나라에 미쳐 남녀가 써 바르고, 혼인을 때로써 하니라. 그러므로 시인이 보는 바로 인하여 써 흥기하고, 

  그 여자의 어짊을  탄식하여 그 반드시 써 그 실가를 화순케 할 것을 앎이라. 

 

桃之夭夭,有蕡其實。之子于歸,宜其家室。

도지요요, 유분기실。지자우귀, 의기가실。

 

복숭아의 싱싱하고 싱싱함이여, 그 열매가 주렁주렁 맺으리로다. 지자의 시집감이여, 그 가실을 마땅하게 하리로다.

 

○興也. 蕡 實之盛也. 家室 猶室家也.

 

○흥이라. 분은 열매의 성함이라. 가실은 실가와 같음이라.

 

桃之夭夭,其葉蓁蓁。之子于歸,宜其家人。

도지요요, 기엽진진。 지자우귀,  의기가인。

 

복숭아의 싱싱하고 싱싱함이여, 그 잎사귀가 무성하리로다. 지자의 시집감이여, 그 집안사람들을 마땅하게 하리로다.

 

○興也. 蓁蓁 葉之盛也. 家人 一家之人也. (桃夭三章)


○흥이라. 진진은 잎사귀의 성함이라. 가인은 일가의 사람이라.



'詩經 > 國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周南 · 芣苢  (0) 2019.02.10
周南 · 兎罝  (0) 2019.02.10
周南 · 螽斯  (0) 2019.02.08
周南 · 樛木  (0) 2019.02.08
周南 · 卷耳  (0) 2019.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