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詩經/國風

周南 · 汝墳

by 柳川 2019. 2. 10.

                                                             周南

 

 

 

汝墳

 

遵彼汝墳, 伐其條枚。                    저 여수 강둑에서  나뭇가지를 베어 왔네.

未見君子, 惄如調饑。                    군자를 뵙지 못해   밥 굶은 듯 허기지네.

 

枚 : 줄기 매/낱 매. 줄기, 나무줄기. 서까래. 채찍, 말채찍. 회초리. 널리, 광범하게. 희미하다. 장, 매. 하나하나 세는 단위. 낱낱이, 일일히.

惄 : 허출할 녁. 허출하다(허기지어 출출하다). 근심하다. (마음아프게)생각하다. 굶주려 허기진 모양.

 

遵彼汝墳, 伐其條肄。                    저 여수 강둑에서   새 나뭇가지를 베어 왔네.

旣見君子, 不我遐棄。                    군자를 뵈니   나를 버리지 않았도다.

 

肄 : 익힐 이. 익히다. 수구. 노력. 나머지. 움(나무를 베어낸 뿌리에서 나는 싹)

 

魴魚尾, 王室如燬。                    방어의 붉은 꼬리.  왕실이 불타듯 붉네.

雖則如燬, 父母孔邇。                    불타듯 붉으니  부모는 매우 가까이에 계시네.

 

魴 : 방어 방. 방어.     赪 : 붉을 정. 붉다. 붉은 빛.     雖 : 곧, 즉. 이, 발어사. 오직, 다만.

 

 

[註]

 

遵彼汝墳,伐其條枚。未見君子,惄如調饑。

준피여분, 벌기조매。 미견군자, 역여조기。

 

저 여수 언덕을 따라 가면서 그 가지의 줄기를 치노라. 남편을 보지 못하노라. 허전하여 계속 주린 것 같노라.

 

○賦也. 遵 循也. 汝水 出汝州天息山, 徑蔡頴州入淮,. 墳 大防也. 枝曰條, 榦曰枚. 惄 飢意也. 調 一作輖 重也. 

○汝旁之國, 亦先被文王之化者. 故 婦人 喜其君子行役而歸, 因記其未歸之時 思望之情 如此 而追賦之也.

輖 : 낮을 주. 낮다. 수레의 앞이 숙어서 낮다. 무겁다. 수레의 앞쪽이 무겁다.


○부라. 준은 따름이라. 여수는 여주 천식산에서 나와 채 땅의 영주를 지나서 회수로 들어감이라. 분은 큰 둑이라. 가지를 일러 조라 하고, 

   줄기를 일러 매라 하니라. 역은 시장기라. 調는 어떤 곳에서는 輖(주)로 지었으니 거듭이라. 

○여방의 나라가 또한 먼저 문왕의 덕화를 입었느니라. 그러므로 부인이 그 남편이 부역에 갔다가 돌아옴을 기뻐하고, 인하여 그 돌아오지 

   않았을 때에 (남편을) 생각하면서 그리는 정이 이와 같음을 기록하여 좇아 시를 지은 것이라. 



遵彼汝墳,伐其條肄。既見君子,不我遐棄。

준피여분, 벌기조이。 기견군자,  불아하기。

 

저 여수 둑을 따라가며 그 가지의 싹을 치노라. 이미 군자를 보니 나를 멀리 버리지 아니하였도다.

 

○賦也. 斬而復生曰肄. 遐 遠也. 

○伐其枚而又伐其肄, 則 踰年矣. 至是 乃見其君子之歸  而喜其不遠棄我也.

 

○부라. 베고서 다시 나오는 것을 肄라 하니라. 

○그 줄기를 치고 또 그 움을 치면 해가 넘음이라. 이에 이르러 그 군자가 돌아옴을 보고 그 나를 멀리 버리지 않음을 기뻐함이라.



魴魚赪尾,王室如。雖則如,父母孔邇。

방어정미, 왕실여훼。 수즉여훼, 부모공이。

 

방어의 꼬리가 붉거늘 왕실이 불타는 것과 같도다. 비록 불타는 것과 같으나 부모가 심히 가까우시니라.

 

○比也. 魴 魚名, 身廣而薄, 少力細鱗. 赬 赤也. 魚勞則尾赤, 魴尾 本白而今赤則勞甚矣. 王室 指紂所都也. 燬 焚也. 

  父母 指文王也. 孔 甚. 邇 近也. 

○是時 文王 三分天下, 有其二, 率商之叛國, 以事紂.  故 汝墳之人, 猶以文王之命, 供紂之役, 其家人, 見其勤苦而勞之, 曰汝之勞 旣如此, 

  而王室之政, 方酷烈而未已. 雖其酷然而未已, 然 文王之德, 如父母然, 望之甚近, 亦可以忘其勞矣. 此序 所謂婦人, 能閔其君子, 猶勉之以

  正者. 蓋曰雖其別離之久, 思念之深, 而其所以相告語者 猶有尊君 親上之意, 而無情愛狎昵之私, 則其德澤之深, 風化之美, 皆可見矣. 

  一說 父母 甚近, 不可以懈於王事而貽其憂, 亦通. (汝墳三章)

昵 : 친할 닐/先考 녜/ 풀 직. 친하다. 친숙해짐. 친하게 지내는 사람. 측근. [녜]아비의 사당. [직]풀. 아교. 접착제.

 

○비라. 방은 고기 이름이니 몸은 넓으며 얇고 힘이 작고 비늘이 가느니라. 정은 붉음이니 고기가 지치면 꼬리가 붉어지니 방어의 꼬리는 

  본래 흰데 지금 붉다면 매우 지쳤느니라. 왕실은 주의 도읍을 가리킴이라. 훼는 불탐이라. 부모는 문왕을 가리킴이라. 공은 심함이오, 

  이는 가까움이라. 

○이 때에 문왕이 천하를 삼분함에 그 둘을 두셨으되 상나라를 배반하는 나라를 이끌어서 써 주를 섬기셨느니라. 

  그러므로 여분의 사람들이 문왕의 명으로써 주의 부역에 이바지할 적에 그 집사람이 그 근고함을 보고 위로하며 말하기를 너의 수고로움

  이 이미 이와 같고 왕실의 정사는 바야흐로 혹독하고 매워서 마지 않으니라. 비록 그 혹렬하며 그치지 않으나 그러나 문왕의 덕이 부모와 

  같아서 바라봄에 심히 가까우니 또한 가히 써 그 수고로움을 잊을 것이라. 이 서에 이른바 부인이 능히 그 군자를 딱하게 여기되 오히려 

  힘을 써서 써 바르게 했느니라. 대개 가로대 비록 그 이별을 오래함에 생각이 깊으나 그 써한 바 서로 고하는 말이 오히려 인군을 높이고 

  위를 친하는 뜻이 있고, 정분과 애정으로 지나치게 친압하는 사사로움이 없으니, 그 덕택의 깊음과 풍화의 아름다움을 다 가히 보리로다.

  일설에 부모(문왕)가 심히 가까우니 가히 써 왕사를 게을리하여 그 근심을 끼칠 수 없다 하니 또한 통하니라. (여분 3장이라.)



'詩經 > 國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召南 · 鵲巢  (0) 2019.02.11
周南 · 麟之趾  (0) 2019.02.10
周南 · 漢廣  (0) 2019.02.10
周南 · 芣苢  (0) 2019.02.10
周南 · 兎罝  (0) 2019.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