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詩經/大雅

蕩之什 · 江漢

by 柳川 2019. 4. 22.

                                      蕩之什


江漢


江漢浮浮,武夫滔滔。                강수와 한수 유유히 흐르는데 병사들 물길따라 가도다.

匪安匪游,淮夷來求。                즐기러 온것도 놀러 온것도 아니고 회이를 찾으러 왔노라.

旣出我車,旣設我旟,                이미 우리 수레가 나갔는데 우리 깃발도 꽂았도다.

匪安匪舒,淮夷來鋪。                즐기며 느긋하게 가는 것 아니라 회이를 정벌하러 왔노라.


江漢湯湯,武夫洸洸。                강수 한수가 세차게 흐르고 병사들도 씩씩하도다.

經營四方,告成于王。                사방을 경영하여 왕에게 성공했음을 아뢰노라.

四方旣平,王國庶定。                사방이 이제 평정되어 왕국이 거의 안정되었도다.

時靡有爭,王心載寧。                이에 다툼이 없어 왕의 마음 편안하도다.


洸 : 물 용솟음할 광/황홀할 황. 물 용솟음하다. 성내는 모양. 사물의 형용. 황홀하다. 어렴풋한 모양. 희미한 모양,물이 깊고 넓은 모양.

     물이 솟다. 물이 흘러와 닿는 모양.


江漢之滸,王命召虎,                강수 한수의 물가에서 왕이 소호에게 명을 내렸노라.

式辟四方,徹我疆土。                사방을 개척하여 내 강토를 구획할지어다.

匪疚匪棘,王國來極。                괴롭힘도 아니고 위협함도 아니라 왕국을 바로잡으려 함이로다.

于疆于理,至于南海。                강토가 다스려져 남해에까지 이르렀도다.


王命召虎,來旬來宣;                왕이 소호에 명하여 두루 베풀라 

文武受命,召公維翰。                문무관원이 명을 받는데 소공은 기둥이로다.

無曰予小子,召公是似。             나를 소인이라고 하지 말지니 소공이 내 뜻을 이었도다.

肇敏戎,用錫爾祉。                네가 민첩하게 공을 도모하면 너에게 복을 내리리라.


爾圭瓚,秬鬯一卣,                너에게 규찬과 기장술 한 통을 내리고,     

告于文人, 錫山土田,                文王께 고하여  봉토를 내리노니,

于周受命,自召祖命。                기주에서 명을 받음은 소공의 조부가 명을 받은 것에 따르도다.

虎拜稽首,天子萬年。                소호가 절하고 머리를 조아려 천자께 만세를 기원하도다.


秬 : 검은 기장 거.               卣 : 술통 유. 술통.


虎拜稽首,對揚王休。                소호가 절하고 머리를 조아려 왕의 아름다움을 드높혀 답하도다.

作召公考,天子萬壽。                소공고를 지어 천자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도다.

明明天子,令聞不已;                영명하신 천자, 아름다운 명성이 그치지 않고,

矢其文德,洽此四國。                문덕을 베푸니 온 나라가 화합하도다.


考 : 고거 논증() 문장또는사체() 하나.


[註]


江漢浮浮,武夫滔滔。匪安匪游,淮夷來求。既出我車,既設我旟,匪安匪舒,淮夷來鋪。

강한부부, 무부도도。 비안비유, 회이래구。 기출아거, 기설아여, 비안비서, 회이래포。


강수와 한수가 유유히 흐르니 병사들이 물길 따라 내려가도다편안하며 놀려는 것이 아니라 회이를 와서 찾으려 함이니라

미 우리 수레를 냈으며 이미 우리 깃발을 설치했으니 편안하며 느긋하게 하려는 것이 아니라 회이를 와서 정벌하려 함이니라


賦也. 浮浮 水盛貌, 滔滔 順流貌. 淮夷 夷之在淮上者也.  陳也, 陳師以伐之也. 

宣王 命召穆公, 平淮南之夷, 詩人 美之. 此章 總序其事. 言行者 皆莫敢安徐而曰吾之來也, 惟淮夷是求是伐耳.


부라부부는 물이 많은 모양이고도도는 흐름에 순하는 모양이라회이는 이족 가운데 회수 물 위쪽에 있는 자라포는 진을 침이니진 쳐

  서 군사들을 치려는 것이라

선왕이 소목공에게 명하여 회수 남쪽의 이족을 평정하게 하니시인이 아름다이 여겼느니라이 장은 그 일을 총괄하여 서술함이라말하기를

  ‘가는 자들이 감히 편안하고 느긋하게 하지 아니하면서리가 온 것은 오직 회이를 이에 찾아서 정벌하려는 것일 뿐이라.’고 하니라.


江漢湯湯,武夫洸洸。經營四方,告成于王。四方既平,王國庶定。時靡有爭,王心載寧。

강한상상, 무부광광。 경영사방, 고성우왕。 사방기평, 왕국서정。 시미유쟁, 왕심재녕。


강수와 한수가 넘실거리니 병사들이 기세가 등등하도다사방을 경영하여 왕에게 성공했음을 아뢰도다사방이 이미 평정되었

으니 왕국이 거의 안정되었도다이에 다툼이 있지 아니하니 왕의 마음이 곧 평안하셨다.


賦也. 洸洸 武貌.  幸也. 

此章 言旣伐而成功也.


부라광광은 씩씩한 모양이라서는 다행이라

이 장은 이윽고 쳐서 공을 이룸을 말함이라.

 

江漢之滸,王命召虎,式辟四方,徹我疆土。匪疚匪棘,王國來極。于疆于理,至于南海。

강한지호, 왕명소호, 식벽사방, 철아강토。 비구비극, 왕국래극。 우강우리, 지우남해。


강수와 한수의 물가에서 왕이 소호에게 명하사 이에 사방을 개척하여 우리 강토를 두루 통하게 하심은 괴롭힘도 아니고 위협

함도 아니니라왕국에 다 이르도록 하셨으니 강토가 다스려져 남해까지 이르도다

 

[참고] 

여기에서 극이라 함은 書經』 洪範九疇에서 말하는 五皇極의 의미를 말한다

五皇極,  建其有極, 歛時五福, 用敷錫厥庶民, 惟時厥庶民, 于汝極, 錫汝保極. 厥庶民, 無有淫朋, 人無有比德, 惟皇作極. 無偏無陂, 

王之義, 無有作好, 遵王之道, 無有作惡, 遵王之路. 無偏無黨, 王道蕩蕩, 無黨無偏, 王道 平平, 無反無側, 王道 正直. 會其有極, 歸其有極.


다섯 번째황극은 임금이 그 유극을 세우심이니 이 오복을 거두어서 그 서민에게 주면 오직 이에 그 서민이 네 극에 너에게 극을 보존함을 

주리라무릇 그 서민이 邪黨을 두지 아니하며 사람이 사사로운 덕을 두지 아니함은오직 임금이 극을 짓기 때문이라 … 기울어짐도 없고 

언덕짐도 없어서 왕의 의리를 따르며사사로이 좋아함을 짓지 아니하여 왕의 도를 따르며사사로이 싫어함을 짓지 아니하여 왕의 길을 따

르라편도 없고 당도 없으면 왕도가 넓고 크며당도 없고 편도 없으면 왕도가 평평하며배반함도 기울어짐도 없으면 왕도가 정직하리니

그 유극에 모여서 그 유극으로 돌아가리라).” 


다시 말해 왕이 중정한 덕을 두고 중정한 정치를 펼치면 곧 온 나라가 잘 다스려져 진다는 皇極의 의미이고井田法의 이치이다.


賦也.  召穆公名也.   與闢, 同.  井其田也.  病,  急也.  中之表也, 居中而爲四方所取正也. 

言江漢旣平,  又命召公, 闢四方之侵地而治其疆界, 非以病之, 非以急之也.  但使其來取正於王國而已.  於是 遂疆理之, 盡南海而止也.


부라호는 소목공의 이름이라벽은 열 벽과 같음이라철은 그 땅을 정전법으로 함이라구는 병이고극은 급함이라극은 가운데를 나타

  냄이니가운데에 거처하여 사방이 바름을 취한 바가 되었음이라

말하기를, ‘강수와 한수가 이미 평정되었거늘 왕이 또 소공에게 명하여 사방의 침탈된 땅을 개척하여 그 경계를 다스리시니 괴롭히려는 것

  도 아니고 위태롭게 하려는 것도 아니라 다만 그 왕국에 와서 바름을 취하게 하려는 것일 뿐이라.이에 마침내 경계를 다스려서 남해까지 다

  하고 그쳤다.’고 함이라.


王命召虎,來旬來宣;文武受命,召公維翰。無曰予小子,召公是似。肇敏戎公,用錫爾祉。

왕명소호, 내순내선 ; 문무수명, 소공유한。 무왈여소자, 소공시사。 조민융공, 용석이지。


왕이 소호에게 명하사 와서 두루 하며 와서 베풀게 하시다문무가 명을 받으셨을 때 소공이 기둥이셨더니 나를 부족한 사람이

라고 말하지 말지어다소공과 같이 할지니라네 공을 열어 민첩히 하면 너에게 복을 주리라.


賦也.  徧,  布也. 自江漢之滸言之.   曰來. 召公 召康公奭也.   榦也. 予小子 王自稱也.  肇  開,  女,  功也. 

又言王命召虎, 來此江漢之滸, 徧治其事, 以布王命而曰昔文武受命. 惟召公爲楨榦, 今女無曰以予小子之故也. 但自爲嗣女召公之事耳. 能開

  敏女功, 則我當錫女以祉福. 如下章所云也.


부라순은 두루함이고선은 폄이라강수와 한수의 물가로부터 말했으므로 왔다라고 말함이라소공은 소강공 석이라한은 줄기라여소자 

  는 왕이 스스로를 칭함이라조는 엶이고융은 너이고공은 공이라

또 말하기를, ‘왕이 소호에게 명하여 이 강수와 한수의 물가에 와서 그 일을 두루 다스려서 왕명을 펴게 하고옛날 문무가 명을 받을 때에 오 

  직 소공이 정간이 되었더니 이제 너는 내가 부족한 사람이기 때문이라고 말하지 말고 다만 스스로 네가 소공의 일을 잇도록 할 뿐이라능히 

  네 공을 열어 민첩히 한다면 나는 마땅히 너에게 복을 주리라.’고 하니아래 장에 이른 것과 같으니.


爾圭瓚,秬鬯一卣,告于文人。錫山土田,于周受命,自召祖命。虎拜稽首,天子萬年。

이이규찬, 거창일유, 고우문인。 석산토전, 우주수명, 자소조명。 호배계수, 천자만년。


너에게 규찬과 기장술 한 동이를 내려주며 문인에게 고하여 산과 토지를 내리노니 주나라의 명을 받아 소공 할아버지가 명을 

받았던 곳으로부터 하노라호가 절하고 머리를 조아리니천자여만세를 누리소서.


賦也.  賜,  尊也. 文人 先祖之有文德者, 謂文王也.   岐周也. 召祖, 穆公之祖康公也. 

 序王賜召公策命之詞. 言錫爾圭瓚秬鬯者, 使之以祀其先祖, 又告于文人, 而錫之山川土田, 以廣其封邑.  蓋古者爵人,  必於祖廟, 示不敢

  專也.  又使往受命於岐周, 從其祖康公受命於文王之所, 以寵異之,  而召公拜稽首, 以受王命之策書也. 人臣受恩, 無可以報謝者. 但言使君

  壽考而已.


부라이는 줌이고유는 높임이라문인은 선조 가운데 문덕이 있는 자이니문왕을 이름이라주는 기주라.소조는 목공의 할아버지인 강공

  이라

이는 왕이 소공에게 책명을 내린 말을 서술함이라네게 규찬(初獻 전에 을 강림하게 한다는 뜻으로 향을 피우고 鬱鬯酒를 따를 때 사용

  하는 구기)과 기장술을 내려주는 것은 그 선조에게 제사를 드리고또 문인에게 고하여 산천과 토지를 내려주어서 그 봉읍을 넓히게 하려는

  것을 말함이라대개 옛날에 사람에게 벼슬을 줌에 반드시 조묘에서 하였으니 감히 멋대로 하지 못함을 보임이고또한 기주에 가서 명을 받게

  한 것은 그 할아버지인 강공이 문왕에게 명을 받았던 곳으로부터 하여 총애를 남다르게 한 것이므로 소공이 절하고 머리를 조아려서 왕명인 책

  서를 받았음이라신하가 은혜를 받음에 가히 감사로 보답할 것이 없고 다만 인군으로 하여금 수고를 누리시라고 말할 뿐이라.


虎拜稽首,對揚王休。作召公考,天子萬壽。明明天子,令聞不已;矢其文德,洽此四國。

호배계수, 대양왕휴。 작소공고, 천자만수。 명명천자, 영문불이 ; 시기문덕, 흡차사국。


가 절하고 머리를 조아려 왕의 아름다운 명에 답하여 칭송하여 소공의 이룸을 지었으니천자여만수무강하소서밝고 밝으신 

천자가 훌륭한 명성이 그치지 아니하시며 그 문덕을 베푸시어 이 사방의 나라를 무젖게 하소서.


賦也.  答,  稱,  美,  成,  陳也. 

言穆公 旣受賜, 遂答稱天子之美命, 作康公之廟器, 而勒王策命之詞, 以考其成, 且祝天子以萬壽也. 古器物銘, 弁阝拜稽首, 敢對揚天子

  休命, 用作朕皇考龔伯尊敦, 弁阝其眉壽, 萬年無疆, 語正相類. 但彼自祝其壽, 而此祝君壽耳.  旣又美其君之令聞, 而進之以不已, 勸其君

  以文德, 而不欲其極意於武功, 古人 愛君之心, 於此可見矣.


부라대는 답함이고양은 일컬음이고휴는 아름다움이고고는 이룸이고시는 베풂이라

목공이 이미 하사를 받고 마침내 천자의 아름다운 명에 답하여 칭송하여 강공의 종묘 그릇을 만들고 왕의 책명의 말을 새겨서 그 이룸을 

  밝혔으며또 천자에게 만수로 기원하였음이라고기물명(宋代 趙明誠 撰)에 이르기를 변이 절하고 머리를 조아려 감히 천자의 아름다

  운 명에 답하여 칭송하여 짐의 선친(皇考는 先考곧 돌아가신 아버지를 높임말)인 공백의 술동이와 제기그릇을 만드노니변은 미수를 누

  려  만년토록 무강하라.’ 하니말이 바로 서로 비슷하니라(行葦편 제4章 앞주 참조)다만 저기에서는 스스로 그 오래 살 것을 기원한 것이

  고여기서는 임금이 오래살기를 기원했을 뿐이라또한 그 임금의 훌륭한 명성을 아름다이 여겨 그치지 않음으로 나아가게 하고그 인군을 

  문덕으로 권하여 그 무공을 다하게 하려는 뜻이 없었으니옛 사람이 임금을 사랑하는 마음을 여기에서 가히 볼 수 있음이라.


弁阝’ 땅이름 변 龔 공손할 공받들 공 尊 높을 존, ‘술동이 준’ 敦 두터울 돈, ‘제기그릇 대

 

江漢六章  八句



'詩經 > 大雅' 카테고리의 다른 글

蕩之什 · 瞻卬  (0) 2019.04.22
蕩之什 · 常武  (0) 2019.04.22
蕩之什 · 韓奕  (0) 2019.04.22
蕩之什 · 烝民  (0) 2019.04.21
蕩之什 · 崧高  (0) 2019.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