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中國歷史와文學/列國志

第二一回. 管夷吾智辨兪兒, 齊桓公兵定孤竹.

by 柳川 2021. 3. 22.

第二一回. 管夷吾智辨俞兒, 齊桓公兵定孤竹.

 

 

話說山戎乃北戎之一種,國於令支,亦曰離支。其西爲燕,其東南爲齊魯。令支界於三國之間,恃其地險兵强,不臣不貢,屢犯中國。先時曾侵齊界,爲鄭公子忽所敗。至是聞齊侯圖伯,遂統戎兵萬騎,侵擾燕國,欲絶其通齊之路。燕莊公抵敵不住,遣人走間道告急於齊。齊桓公問於管仲,管仲對曰:「方今爲患,南有楚,北有戎,西有狄。此皆中國之憂,盟主之責也。即戎不病燕,猶思膺之。況燕人被師,又求救乎?」 桓公乃率師救燕,師過濟水,魯莊公迎之於魯濟。桓公告以伐戎之事。魯侯曰:「君剪豺狼,以靖北方,敝邑均受其賜,豈惟燕人?寡人願索敝賦以從。」 桓公曰:「北方險遠之地,寡人不敢勞君玉趾。若遂有功,君之靈也。不然,而借兵於君未晚。」 魯侯曰:「敬諾。」 桓公別了魯侯,望西北進發。

 

索敝賦 : 흩어진 군사를 다 찾았다. (토벌했다.)  여기에서 賦는 兵(賦役).<論語 公冶長 第7章 注>

 

 

산융(山戎)은 북융(北戎)과 같은 종족으로 영지(令支)에 나라를 세웠는데 또 이지(離支)라고도 했다. 그 서쪽에는 연(燕)나라가 있고 동남쪽에는 제나라와 노나라가 있었다. 영지의 경계는 세 나라의 사이에 있었는데 그 지세가 험준하며 군대가 강한 것을 믿고 주나라에 신하라 칭하지도 않고 조공도 바치지 않았으며 누차 중원을 침범했다. 전에 제나라의 경계를 침범한 적이 있었는데 정(鄭)나라 공자 홀(忽)에게 패한 일이 있었다. 이때에 이르러 제후 환공이 패자(伯者)가 되고자 한다는 소문을 듣고 융병 일만의 기병을 통솔하여 연나라를 침공, 제나라로 통하는 길을 끊으려고 하였다.  연장공(燕莊公)은 막지 못하고 샛길로 사람을 달려보내 제나라에 급히 알린게 된 것이었다. 

제환공이 관중에게 묻자 관중이 대답했다. "지금의 걱정꺼리는 남쪽에는 초나라가 있고 북쪽에는 융(戎)이 있으며, 서쪽에는 적(狄)이 있는것인데 모두 중원의 근심꺼리이며 맹주가 책임지고 풀어나가야 할 일입니다.  융이 연나라를 괴롭히지 않았더라도 마땅히 융을 정벌하여야 하는데 하물며 연나라 사람들이 병화(兵禍)를 당하고 있으니 구원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마침내 환공이 연나라를 구원하기 위해 군대를 거느리고 출발하여 제수(濟水)에 도착하니 노나라 장공이 노제(魯濟)에서 영접했다.

환공이 융을 치러 가는 일을 고하니 노후가 말했다. "군주께서 시랑같은 무리들쳐서 북방을 안정시키고자 하십니다. 저희 나라도 똑같이 주왕실의 은혜를 받은 입장인데 융의 침입이 어찌 연나라만의 일이겠습니까?  과인도 토벌에 가담하고 싶습니다."

환공이 말했다. "북방은 험하고 멉니다. 과인이 감히 군주의 발걸음을 수고롭게 할 수 있습니까? 승리한다면 군주의 덕분인 것이고 패한다면 군주께 구원을 청해도 늦지 않을 것입니다."

노후가 말했다. "삼가 받들겠습니다."

환공은 노후와 작별하고 서북쪽을 향해 진발했다.

 

 

 

   

卻說令支子名密盧,蹂躪燕境,已及二月,擄掠子女,不可勝計。聞齊師大至,解圍而去。桓公兵至薊門關,燕莊公出迎,謝齊侯遠救之勞。管仲曰:「山戎得志而去,未經挫折,我兵若退,戎兵必然又來。不如乘此伐之,以除一方之患可也。」 桓公曰:「善。」 燕莊公請率本國之兵爲前隊。桓公曰:「燕方經兵困,何忍復令衝鋒?君姑將後軍,爲寡人聲勢足矣。」 燕莊公曰:「此去東八十里,國名無終,雖戎種,不附山戎,可以招致,使爲嚮導。」 桓公乃大出金帛,遣公孫隰朋召之。無終子即遣大將虎兒斑,率領騎兵二千,前來助戰。桓公復厚賞之,使爲前隊。約行將二百里,桓公見山路逼險,問於燕伯。燕伯曰:「此地名葵茲,乃北戎出入之要路也。」 桓公與管仲商議,將輜重資糧,分其一半,屯聚於葵茲。令士卒伐木築土爲關,留鮑叔牙把守,委以轉運之事。休兵三日,汰下疲病,只用精壯,兼程而進。

 

薊 : 삽주 계. 삽주. 마계(馬薊), 엉거싯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풀. 姓. 굳은 가시.

 

 

한편 영지(令支)의 군주는 작위가 자작(子爵)으로 이름은 밀로(密盧)라 하였는데 연나라 국경을 유린하고 2월이 되자 부녀자를 약탈하여 그 수가 헤아릴 수 없을 정도였다.  제나라의 대군이 이르렀다는 소식을 듣고 포위를 풀고 물러갔다. 환공의 군대가 계문관에 도착하자 연나라 장공이 마중을 나와 제후가 원정하여 연나라를 구원해준 노고를 사례했다.

관중이 말했다. "산융이 뜻을 이루고 철수했는데 이번에 우리 군대가 가서 꺾지 않고 물러난다면 융병은 반드시 또 올 것입니다. 이 기회를 이용하여 그들을 정벌하여 한쪽의 우환을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환공이 말했다. "좋소."

그러자 연장공은 연나라 군대를 거느리고 전대(前隊)가 되겠다고 하였다.

환공이 말했다. "연나라는 지금 군사들이 지쳐있는데 어찌 다시 적과 싸우는 것을 용인할 수 있겠습니까?  과인의 명성과 위세로 족하다고 봅니다."

연장공이 말했다. "여기에서 동쪽으로 80리를 가면 무종(無終)이라고 하는 나라가 있는데 융의 일족이지만 산융과 친하지 않습니다. 그들을 불러 길을 안내하게 할 수 있습니다."  

환공이 즉시 금과 비단을 후하게 내주고 공손 습붕(隰朋)을 보내 불러오게 하였다. 무종의 군주는 대장 호아반(虎兒斑)으로 하여금 기병 2천을 인솔하여 싸움을 돕도록 하였다. 환공이 호아반에게 다시 후하게 상을 내리고 전대를 삼았다. 대략 200리를 행군한 후 환공이 바라보니 산길이 좁고 험하여 연백에게 어딘지 물었다.

연백이 대답했다. "이곳의 지명은 규자(葵玆)라고 하는데 이곳이 바로 북융이 출입하는 요로입니다."

환공은 관중과 상의하여 치중과 군량등을 반으로 나누어 규자에 보관하도록 했다. 사졸들에게 영을 내려 나무를 베고 흙을 쌓아 관문을 짓고 포숙아에게 머물러 지키도록 하고 군량들의 운송을 맡겼다. 3일간 병사들을 휴식시킨 후 지치고 병이 있는 군사들을 남겨두고 정예군만을 골라 진격했다.

 

 

 

  

卻說令支子密盧聞齊兵來伐,召其將速買計議。速買曰:「彼兵遠來疲困,乘其安營未定,突然沖之,可獲全勝。」 密盧與之三千騎。速買傳下號令,四散埋伏於山谷之中,只等齊兵到來行事。虎兒斑前隊先到,速買只引百餘騎迎敵。虎兒斑奮勇,手持長柄鐵瓜鎚,望速買當頭便打。速買大叫:「且慢來!」 亦挺大桿刀相迎。略鬥數合,速買詐敗,引入林中,一聲呼哨,山谷皆應,把虎兒斑之兵,截爲二段。虎兒斑死戰,馬復被傷,束手待縛。恰遇齊侯大軍已到,王子成父大逞神威,殺散速買之兵,將虎兒斑救出。速買大敗而去。虎兒斑先領戎兵,多有損折,來見桓公,面有愧色。桓公曰:「勝負常事,將軍勿以爲意。」 乃以名馬賜之。虎兒斑感謝不已。大軍東進三十里,地名伏龍山,桓公和燕莊公結寨於山上。王子成父賓須無立二營於山下。皆以大車聯絡爲城,巡警甚嚴。次日,令支子密盧親自帶領速買,引著騎兵萬餘,前來挑戰。一連沖突數次,皆被車城隔住,不能得入。延至午後,管仲在山頭望見戎兵漸漸稀少,皆下馬臥地,口中謾罵。管仲撫虎兒斑之背曰:「將軍今日可雪恥也!」 虎兒斑應諾。車城開處,虎兒斑引本國人馬飛奔殺出。隰朋曰:「恐戎兵有計。」 管仲曰:「吾已料之矣!」 即命王子成父率一軍出左,賓須無率一軍出右,兩路接應,專殺伏兵。原來山戎慣用埋伏之計,見齊兵堅壁不動,乃伏兵於谷中,故意下馬謾罵,以誘齊兵。虎兒斑馬頭到處,戎兵皆棄馬而奔。虎兒斑正欲追趕,聞大寨鳴金,即時勒馬而回。密盧見虎兒斑不來追趕,一聲呼哨,招引谷中人馬,指望悉力來攻。卻被王子成父和賓須無兩路兵到,殺得七零八落,戎兵又大敗而回,乾折了許多馬匹。速買獻計曰:「齊欲進兵,必由黃臺山谷口而入。吾將木石擂斷,外面多掘坑塹,以重兵守之,雖有百萬之眾,不能飛越也。伏龍山二十餘里皆無水泉,必仰汲於濡水。若將濡流壩斷,彼軍中乏水飲,必亂,亂則必潰。吾因潰而乘之,無有不勝。一面再遣人求救於孤竹國,借兵助戰,此萬全之策也。」 密盧大喜,依計而行。

 

擂 : 갈 뢰. 갈다. 문지름. 치다북을 두드림. 돌을 굴리다.            壩 : 방죽 패(파)

 

 

한편 영지 군주 밀로는 제나라 군대가 정벌하러 왔다는 소식을 듣고 장수 속매(速買)를 불러 계책을 논의했다.

속매가 말했다. "제나라 군대는 멀리서 온 까닭에 피로해 있을 것이며 그 틈을 타서 그들이 영채를 세우기 전에 갑자기 친다면 전승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밀로는 그에게 삼천의 기병을 주었다. 속매는 영을 내려 산골짜기 안에 네 곳으로 나누어 매복하게 하고 제나라 군대가 도착하기를 기다려 치기로 하였다. 호아반의 전대가 먼저 도착하자 속매는 다만 백여기만 이끌고 맞아 싸웠다. 호아반이 용기를 뽐내어 긴 자루가 달린 철과추(鐵瓜鎚)를 들고 속매의 머리를 향해 휘둘렀다. 

속매가 크게 외쳤다. "어서 오라!"

속매도 대간도(大桿刀)를 들고 맞았다.  대강 몇합 싸우고 나자 속매가 거짓 패하여 그를 유인하고는 숲속으로 휘파람을 한 번 불자 산골짜기에서 모두 응하여 호아반의 병사들을 치니 호아반의 군사들이 둘로 갈라졌다. 호아반은 죽기로 싸웠으나 말까지 부상을 당하여 꼼짝 못하고 잡히기만을 기다리는 처지가 되었으나, 때마침 제나라의 대군이 몰려와 왕자 성보(成父)가 신위를 크게 떨쳐 속매의 군사들을 재빨리 쫒아버리고 호아반을 구출하였으며, 속매의 군대는 대패하여 물러갔다.  호아반은 거느리던 융병을 많이 꺾이자, 제환공을 만나러 와서 부끄러워하는 기색을 보였다.

제환공이 말했다. "승부는 병가지상사이니 잔군은 마음에 두지 마시오."

그리고 명마 한 필을 내리니 호아반은 감사하여 마지않았다. 대군이 동쪽으로 30리를 나아가자 지명을 복룡산(伏龍山)이라 하였는데 환공은 연장공과 함께 산위에 영채를 세우고 왕자 성보와 빈수무는 산 아래에 영채를 따로 세웠다.  모두 큰 수레를 연결하여 성처럼 만들고 순찰과 경비를 매우 엄하게 했다.

다음 날 영지의 군주 밀로가 친히 속매를 거느리고 기병 만여기를 인솔하여 앞으로 나와 싸움을 걸었다. 연이어 수차례 격돌하려고 하였으나 수레로 만든 성에 막혀 돌입할 수가 없었다.  오후까지 시간을 끌다가 관중이 산 위에서 바라보니 융병이 점점 줄어들고 모두 말에서 내려 땅에 누운채 헐뜯고 욕설을 하였다. 

관중이 호아반의 등을 어루만지며 말했다. "장군은 오늘 설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호아반이 응락하고 수레로 만든 성을 연 후 본국의 인마를 이끌고 쇄도해 나갔다.

습붕이 말했다. "융병이 계책이 있을까 두렵습니다." 

관중이 듣고 말했다. "내가 이미 그 점을 헤아렸습니다."

바로 왕자 성보에게 명하여 일군을 이끌고 왼쪽으로 나가고, 빈수무는 일군을 이끌고 우측으로 나가 양로군이 접응하며 오로지 복병을 죽이라고 하였다. 원래 산융은 매복전에 능하여 제나라 군사들이 벽을 견고하게 쌓고 움직이지 않자 골짜기에 병사들을 잠복시키고 일부러 말에서 내려 욕하며 제나라 병사들을 유혹한 것이었다.  

그때 호아반의 기병이 도착하자 말머리가 이르는 곳마다 융병이 말을 버리고 도망쳤다. 호아반이 막 추격을 하려고 하는데 대채에서 금고소리가 울리는 소리를 듣고  즉시 말고삐를 돌려 회군하였다. 밀로는 호아반이 추격해 오지 않는 것을 보고 휘파람소리로 신호를 보내 골짜기 안의 인마를 불러낸 후 제나라 진영을 향해 모든 힘을 다해 치도록 했다. 

그러나 왕자 성보와 빈수무의 양로군이 몰려와 치니 융병은 괴멸당하고 대패하여 돌아갔는데 허다한 인마가 꺾였다. 

속매가 계책을 바쳤다. "제나라 군대가 진병하면 반드시 황대산(黃臺山) 골짜기 입구를 들어가야 합니다. 우리가 나무와 돌을 굴려 길을 끊고 밖에다 많은 구덩이를 파고 무장한 병사들이 지킨다면 백만대군이 몰려온다 할지라도 넘어올 수 없습니다. 또 복룡산은 20여리 사방에는 모두 물이나 샘이 없어 반드시 유수에서 물을 길어와야 합니다. 만약 유수의 흐름을 막아버린다면 제나라 군대는 마실 물이 부족하여 반드시 어지러워질 것이고 어지러워지면 반드시 궤멸될 것입니다. 우리가 그 틈을 타서 친다면 이기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한편으로 고죽국에 사람을 보내 구원병을 청해 싸움을 돕게한다면 이는 만전지책이 될 것입니다."

밀로가 크게 기뻐하고 그 계책을 따랐다.

 

 

 

  

卻說管仲見戎兵退後,一連三日不見動靜,心下懷疑。使諜者探聽。回言:「黃臺山大路已斷塞了!」管仲乃召虎兒斑問曰:「尙有別徑可入否?」 虎兒斑曰:「此去黃臺山不過十五里,便可以直擣其國。若要尋別徑,須從西南打大寬轉,由芝麻嶺抄出青山口,復轉東數里,方是令支巢穴。但山高路險,車馬不便轉動耳。」 正商議間,牙將連摯稟道:「戎主斷吾汲道,軍中乏水,如何?」 虎兒斑曰:「芝麻嶺一派都是山路,非數日不到。若無水攜載,亦自難往。」 桓公傳令,敎軍士鑿山取水,先得水者重賞。公孫隰朋進曰:「臣聞蟻穴居知水,當視蟻蛭處掘之。」 軍士各處搜尋,並無蟻蛭,又來稟復。隰朋曰:「蟻冬則就暖,居山之陽,夏則就涼,居山之陰。今冬月,必於山之陽,不可亂掘。」 軍士如其言,果於山腰掘得水泉,其味清洌。桓公曰:「隰朋可謂聖矣!」 因號其泉曰聖泉,伏龍山改爲龍泉山。

 

擣 : 찧을 도/모일 주. 찧다. 빻음. 찌르다. 공격함. 다듬이질하다. 두드림. 닿다. 접촉함. 근심하다. 괴로워함.  蛭 : 거머리 질. 거머리. 개미둑

 

 

 

관중은 융병이 물러난 후 3일동안 움직임을 보이지 않자 의심을 품었다.  첩자를 풀어탐지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회신이 있었다.

"황대산으로 가는 큰 길은 이미 막혔습니다."

관중은 호반아를 불러 물었다. "다른 길로 들어갈 수 있습니까?"

호아반이 대답했다. "이곳에서 황대산까지는 불과 15리밖에 떨어져 있지 않습니다. 곧 그 나라를 칠 수 있습니다. 만약 다른 길을 찾으려고 하신다면 모름지기 서남쪽에서 크게 우회하여 지마령(芝麻嶺)을 경유하여 청산(靑山)의 입구로 나간 후, 다시 동쪽으로 수 리를 돌아가면 바로 영지의 소굴이 나옵니다.  다만  산이 높고 길이 험하여 거마가 움직이기에는 불편합니다."

한참 상의 중인데 아장 연지(連摯)가 품하여 말했다. "융주(戎主)가 우리가 물길러 가는 길을 막아버렸습니다. 군중에 물이 부족한데 어찌합니까?"

호아반이 말했다. "지마령으로 가는 부대는 모두 산길로 가야 하는데 수일동안 가지 않으면 벗어날 수 없습니다. 물을 가지고 가지 않으면 가기 어렵습니다."  

환공이 영을 내려 군사들에게 산에 우물을 파서 물을 얻으라 지시하고 먼저 물을 찾는 자에게는 중상을 내리겠다고 하였다.

공손 습붕이 진언했다. "신이 듣기로 개미굴이 있으면 물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개미둑을 찾아 그곳을 파는 것이 마땅합니다."

군사들이 곳곳을 찾았는데도 개미둑이 없어 돌아와 보고했다.

습붕이 말했다. "개미가 겨울에는 따뜻한 곳으로 간다고 했으니 산의 남쪽에 살고 있을 것이고 여름에는 시원한 곳으로 가니 산의 북쪽에서 살 것입니다. 지금은 겨울이라 반드시 산의 남쪽에서 살 것이니 함부로 파면 안됩니다."

군사들이 그말대로 하였더니 과연 산 허리에 우물을 파서 물을 얻었는데 그 맛이 맑고 시원했다. 

환공이 말했다. "습붕은 성인이라 할만 하구나!"

그리하여 그 샘을 성천(聖泉)이라고 하였으며 복룡산을 용천산(龍泉山)이라고 이름을 바꿨다. 

 

 

 

 

軍中得水,歡呼相慶。密盧打聽得齊軍未嘗乏水,大駭曰:「中國豈有神助耶?」 速買曰:「齊兵雖然有水,然涉遠而來,糧必不繼。吾堅守不戰,彼糧盡自然退矣。」 密盧從之。管仲使賓須無假託轉回葵茲取糧,卻用虎兒斑領路,引一軍取芝麻嶺進發,以六日爲期。卻敎牙將連摯,日往黃臺山挑戰,以綴密盧之兵,使之不疑。如此六日,戎兵並不接戰。管仲曰:「以日計之,賓將軍西路將達矣。彼旣不戰,我不可以坐守。」 乃使士卒各負一囊,實土其中,先使人駕空車二百乘前探,遇塹坑處,即以土囊塡滿。大軍直至谷口,發聲喊,齊將木石搬運而進。密盧自以爲無患,日與速買飮酒爲樂。忽聞齊軍殺入,連忙跨馬迎敵。未及交鋒,戎兵報:「西路又有敵軍殺到!」 速買知小路有失,無心戀戰,保著密盧望東南而走。賓須無追趕數里,見山路崎嶇,戎人馳馬如飛,不及而還。馬匹器仗,牛羊帳幕之類,遺棄無算,俱爲齊有。奪還燕國子女,不可勝計。令支國人,從未見此兵威,無不簞食壺漿,迎降於馬首。桓公一一撫慰,吩咐不許殺戮降夷一人。戎人大悅。桓公召降戎問曰:「汝主此去,當投何國?」 降戎曰:「我國與孤竹爲鄰,素相親睦,近亦曾遣人乞師未到,此行必投孤竹也。」 桓公問孤竹强弱並路之遠近。降戎曰:「孤竹乃東南大國,自商朝便有城郭。從此去約百餘里,有溪名曰卑耳。過溪便是孤竹界內。但山路險峻難行耳。」 桓公曰:「孤竹黨山戎爲暴,旣在密邇,宜前討之。」 適鮑叔牙遣牙將高黑運乾糒五十車到,桓公即留高黑軍前聽用。於降戎中挑選精壯千人,付虎兒斑帳下,以補前損折之數。休兵三日,然後起程。

 

 

군중에서 물을 얻자 기뻐하며 서로 탄성을 올렸다.  밀로가 제나라 군의 소식을 알아보았더니 물 부족을 겪은 적이 없다고 하였다.

밀로가 크게 놀라 말했다. "중원의 나라에 어찌 신의 도움이 있는 것인가?"

속매가 말했다. "제나라 병사들이 물을 얻었다고는 하지만 먼 곳에서 와서 식량공급이 반드시 이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가 굳게 지키며 싸우지 않으면 제나라 군은 식량이 떨어져 자연히 물러갈 것입니다."

밀로가 그 말에 따랐다.  관중은 빈수무로 하여금 규자로 돌아가 군량을 가져온다고 핑계대게 하고 호아반이 길을 열도록 하여 일군을 이끌고 지마령으로 진발하여 6일을 그 기한으로 하였다. 그리고 안장 연지에게 매일 황대산으로 가서 싸움을 걸어 밀로의 군사들이 의심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렇게 6일이 지나도록 융병은 전혀 싸우려고 하지 않았다. 

관중이 말했다. "날을 헤아려 보니 빈장군이 서쪽 길로 가서 목적지에 도착할 때가 되었다. 저쪽이 싸우지 않는다면 우리가 앉아서 지키고만 있을 수 없다."

이리하여 사졸들로 하여금 각각 부대 하나씩을 가지고 가서 그 안에 흙을 채우게 하고는 먼저 군사들을 시켜 빈 수레 200대를 전에 탐지한 대로 구덩이에 놓고 흙을 담은 부대로 메우게 하였다. 대군이 바로 계곡 입구까지 가서 함성을 지르고 나무와 돌을 치우며 진격했다.

밀로는 스스로 걱정없다고 여기고 매일 속매와 더불어 술을 들이키며 즐겼다. 

홀연히 제나라군이 돌진해 들어왔다는 소식을 듣고 황망히 말에 올라타 적을 맞이하려고 하였다.

미처 싸우기도 전에 융병이 보고했다. "서로로 또 적군이 돌진해오고 있습니다."

속매는 소로가 이미 적의 손에 들어간 것을 알고 싸울 마음이 없어져 밀로를 바짝 붙어 보호하면서 동남쪽을 향하여 도망쳤다.

빈수무가 수 리를 추격하였으나 산길이 험한데도 융인들이 나는 듯이 달려가는 모습을 보고 따라가지 못하고 회군하였다.  마필과 병장기, 소와 양, 장막등속으로 버려진 것이 헤아릴 수 없이 많았는데 모두 제나라 소유로 하였다. 그리고 연나라에서 포로로 잡혀간 부녀자를 탈환한 인원이 헤아릴 수도 없이 많았다. 영지국 사람들은 이러한 군대의 위세를 본 적이 없어 음식과 마실 것을 바치지 않는 자가 없었고 기병은 말머리를 돌려 맞이하며 항복했다. 

환공은 일일이 어루만지며 위로하고는 분부를 내려 항복한 자들중 한 사람이라도 죽이는 것을 불허하니 융인들이 크게 기뻐했다. 

환공이 항복한 융병을 불러 물었다. "그대의 주인이 이렇게 떠났는데 어느 나라로 갔겠는가?"

항복한 융병이 대답했다. "우리나라와 고죽국은 이웃해 있어 평소에 친하게 지내왔으며 근래에도 사람을 보내 지원군을 청했는데 아직 도착하지 않았습니다. 이번에 떠났으니 반드시 고죽국으로 갔을 것입니다." 

환공이 고죽국의 강약과 아울러 거리가 얼마나 되는지를 물었다.

융병이 말했다. "고죽국은 동남쪽에 있는 대국으로 상왕조때부터 성곽이 있었습니다.  여기에서 100여리쯤 가면 비이(卑耳)라고 하는 시내가 나오는데 그 시냇물을 건너면 바로 고죽국 국경 안입니다. 다만 산길이 험해 가시기 어려울 것입니다."

환공이 말했다. "고죽국이 산융과 무리를 이루어 인접국을 해치면서 가깝게 지내고 있으니 내가 먼저 그들을 토벌하는 것이 마땅하다."

때마침 포숙아가 아장 고흑(高黑)을 보내 마른 식량 50수레를 보내와서 환공은 바로 고흑을 머무르게 하여 군전에서 일을 돕도록 하였다.

그리고 항복한 융병중에서 정예군 천명을 선발하여 호아반이 거느리게 하고 손실된 인원을 보충하게 했다. 

그리고 병사들을 3일간 쉬게 한 후 고죽국으로 향하기로 하였다.

 

 

 

  

再說密盧等行至孤竹,見其主答里呵,哭倒在地,備言:「齊兵恃强,侵奪我國,意欲乞兵報仇。」 答里呵曰:「俺這裏正欲起兵相助,因有小恙,遲這幾日,不意你吃了大虧。此處有卑耳之溪,深不可渡。俺這裏將竹筏盡行拘回港中,齊兵揷翅亦飛不過。俟他退兵之後,俺和你領兵殺去,恢復你的疆土,豈不穩便?」 大將黃花元帥曰:「恐彼造筏而渡,宜以兵守溪口,晝夜巡行,方保無事。」 答里呵曰:「彼若造筏,吾豈不知?」 遂不聽黃花之言。

 

再說齊桓公大軍起程,行不十里,望見頑山連路,怪石嵯峨,草木蒙茸,竹箐塞路。

 

有詩爲證:

盤盤曲曲接靑云,

怪石嵯岈路不分。

任是胡兒須下馬,

還愁石窟有山君。

 

呵 : 꾸짖을 가(하)/어조사 아. 꾸짖다책망함비난함. 웃다껄껄 웃음. 불다. 「」 하고 입김을 내붊. 어조사감탄·놀람의 뜻을 나타냄.

箐 : 작은 바구니 정/대숲 천/대이름 창. 작은 바구니.  [천]대숲. 

 

 

한편 밀로의 일행이 고죽국에 도착하여 고죽국의 군주 답리가(答里呵)를 만나자 땅에 엎드려 통곡하며 그간의 경위를 모두 고했다.

"제나라 군대가 강한 것을 믿고 우리나라를 침탈하였습니다. 귀국에 지원군을 청해 복수를 하고자 합니다."

답리가가 말했다. "내가 바로 군사를 일으켜 귀국을 도우려 하였으나 대수롭지 않은 병으로 기일을 지체하다가 뜻밖에 그대가 크게 패하였습니다. 이곳은 비이(卑耳)라는 시내가 있는데 물이 깊어 건널 수 없습니다.  내가 대나무 뗏목을 모두 거두어 포구에 묶어 놓으면 제나라 군대가 날개를 달아야만 날아갈 수 있지 않겠습니까. 그들이 물러날 때를 기다렸다가 나와 그대가 군사들을 거느리고 짓쳐간다면 그대의 강토를 회복할 것이니 어찌 온당하지 않겠습니까?"

대장 황화(黃花)원수가 말했다. "제나라 군사들이 뗏목을 만들어 건너올까 두렵습니다. 마땅히 군사들로 하여금 시내의 입구를 지키게 하고 주야로 순찰을 하여야 무사할 것입니다."

답리가가 말했다. "저들이 뗏목을 만든다면 내가 어찌 모르겠는가?"

마침내 황화의 의견을 묵살했다.

 

한편 제환공의 대군은 출발하여 십리도 가지 못한 즈음에, 산에 연이어져 있는 길을 바라보니 기암괴석으로 험한데 초목이 뒤덮여 있고 대나무 숲이 길을 막고 있다. 

 

그 모습을 말해주는 시가 있다. 

 

길은 꾸불꾸불 하늘에 닿았고,

기암괴석이 우뚝우뚝 험해 길이 보이지 않네.

이족(異族)의 동자(童子)에게 안내를 맡기니 말에서 내리라 하는데,

오히려 석굴(石屈) 속에 범이 있을까 근심하네.

 

 

 

 

管仲敎取硫黃焰硝引火之物,撒入草樹之間,放起火來。咇咇剝剝,燒得一片聲響。眞個草木無根,狐兎絶影,火光透天,五日夜不絶。火熄之後,命鑿山開道,以便進車。諸將稟稱:「山高且險,車行費力。」 管仲曰:「戎馬便於驅馳,惟車可以制之。」 乃製上山下山之歌,使軍人歌之。

 

《上山歌》曰:

山嵬嵬兮, 路盤盤。

木濯濯兮, 頑石如欄。

雲薄薄兮, 日生寒。

我驅車兮, 上巉岏。

風伯爲馭兮, 兪兒操竿。

如飛鳥兮, 生羽翰。

跋彼山巓兮, 不爲難。

 

《下山歌》曰:

上山難兮, 下山易。

輪如環兮, 蹄如墜。

聲轔轔兮, 人吐氣。

歷幾盤兮, 頃刻而平地。

擣彼戎廬兮, 消烽燧。

勒勳孤竹兮, 億萬世。

 

咇 : 향기로울 필. 향기방향(芳香) 있음. 슬피 울다.  巉 : 가파를 참. 가파르다. 산이 험함. 바위가 크다또는높다.  岏 : 가파를 완

 

 

관중은 군사들에게 유황과 염초등 인화물질을 가져오게 하여 숲에 뿌리도록 한 후 불을 질렀다.  매캐한 연기속에 불타는 소리가 요란했다. 그야말로 초목이 뿌리조차 남지 않았고 여우와 토끼들은 그림자조차 보이지 않았으며 불빛이 하늘을 찌르는 광경이 닷새동안 끊이지 않았다. 불이 꺼지자 군사들에게 명을 내려 산을 뚫어 길을 내게 한 후 수레를 나아가게 하였다. 

장수들이 칭송했다. "산이 높고 험한데 수레가 다니니 힘을 쓸 수 있게 되었습니다."

관중이 말했다. "융족의 기병이 달리기에 능해 오직 수레가 다닐 수 있어야 그들을 누를 수 있다고 본 것이오."

그리고 산을 올라갈 때 부르는 노래와 산을 내려갈 때 부르는 노래, 즉 상산가(上山歌)와 하산가(下山歌)를 지어 군인들이 부르게 하였다.

 

상산가는 다음과 같다.

 

높고 높은 산이여, 돌고도는 길이로다.

하나도 없는 나무여, 울타리처럼 둘러싼 돌이로다.

옅고 옅은 구름이여, 날씨가 나날이 추워지도다. 

우리가 수레를 달려 감이여, 오르는 길이 가파르도다.

풍백(風伯)이 몰아줌이여, 유아(兪兒)가 장대를 잡았도다.

새처럼 날아감이여, 날개가 돋았도다. 

산꼭대기를 올라감이여, 어렵지 않도다.

 

 

하산가는 다음과 같다.

 

어려운 것은 산을 오름이여, 내려가는 것은 쉽도다.

고리처럼 둥근 바퀴여, 말굽소리 같도다. 

덜커덕거리는 소리여, 숨소리 같도다. 

모두 몇번을 돌아왔나, 어느덧 평지로다. 

융군의 병영을 침이여, 봉화를 끄도다.

고죽국을 이겨 공을 세움이여, 영원히 빛나리라!

 

 

 

 

人夫唱起歌來,你唱我和,輪轉如飛。桓公與管仲隰朋等,登卑耳之巓,觀其上下之勢。桓公嘆曰:「寡人今日知人力可以歌取也。」 管仲對曰:「臣昔在檻車之時,恐魯人見追,亦作歌以敎軍夫,樂而忘倦,遂有兼程之功。」 桓公曰:「其故何也?」 對曰:「凡人勞其形者疲其神,悅其神者忘其形。」 桓公曰:「仲父通達人情,一至於此!」 於是催趲車徒,一齊進發。行過了幾處山頭,又上一嶺,只見前面大小車輛,俱壅塞不進。軍士稟稱:「兩邊天生石壁,中間一徑,止容單騎,不通車輛。」 桓公面有懼色,謂管仲曰:「此處倘有伏兵,吾必敗矣!」 正在躊躇,忽見山凹裏走出一件東西來。桓公睜眼看之,似人非人,似獸非獸,約長一尺有餘;朱衣玄冠,赤著兩腳,向桓公面前再三拱揖,如相迓之狀。然後以右手摳衣,竟向石壁中間疾馳而去。桓公大驚,問管仲曰:「卿有所見乎?」 管仲曰:「臣無所見。」 桓公述其形狀。管仲曰:「此正臣所製歌詞中 『兪兒』者是也。」 桓公曰:「兪兒若何?」 管仲曰:「臣聞北方有登山之神,名曰『兪兒』,有霸王之主則出見。君之所見,其殆是乎?拱揖相迓者,欲君往伐也。摳衣者,示前有水也。右手者,水右必深,教君以向左也。」

 

髯翁有詩論管仲識「兪兒」之事。詩云:

《春秋》典籍數而知,

仲父何從識「兪兒」?

豈有異人傳異事,

張華《博物》總堪疑。

 

迓 : 마중할 아. 

 

☞ 博物志

서진(西晉) 때의 저명한 학자이자 정치가인 장화(232 ~ 300)가 천하의 이문(異聞)과 신선(神仙) 및 고대 일화 등을 모아 지은 책. 자는 무선(茂先)이고 하북성 출신이다. 위(魏)나라 초에 태상박사(太常博士)가 되었고 정권이 사마염(司馬炎)에게 넘어가자 서진(西晉)을 섬겼다. 오(吳)나라 토벌에 공을 세워 벼슬이 사공(司空)에 이르고 장무군공(壯武郡公)에 봉해졌으나 서기 299년 팔왕(八王)의 란에 조왕(趙王) 사마윤(司馬倫)과 연루되어 그 일족과 함께 살해되었다. 시문에 능했고 저서로는 박물지(博物志)가 있는데 천하의 이문(異聞)과 신선(神仙) 및 고대 일화 등을 모았다. 10권으로 되어 있다. 그가 죽은 뒤에 그의 집에는 많은 책 외에 다른 재산은 아무 것도 없었다고 했다.

 

 

병사들이 노래를 부르며 가는데 앞에서 부르면 뒤에서 화답하니 수레바퀴가 나는듯이 굴러갔다. 환공과 관중, 습붕등은 비이산(卑耳山) 봉우리에 올라 주변의 지세를 살펴 보았다. 

환공이 탄식하며 말했다. "과인이 오늘에야 사람의 힘이 노래로부터 나올 수 있다는 것을 알았소."

관중이 대답했다. "신이 옛날 함거에 실려 올 때 노나라 사람들의 추격이 두려워 노래를 지어 군인들과 인부들에게 가르쳤었는데 즐거워하며 피로를 잊어 마침내 생명을 지키고 아울러 탈출에 성공하였습니다."

환공이 물었다. "그 까닭은 무엇입니까?"

관중이 대답했다. "무릇 사람은 육신을 수고롭게 하여도 정신이 피로해지는데, 그 정신을 즐겁게 하면 육신이 힘쓰는 것을 잊게 됩니다."

환공이 말했다. "중부는 사람의 마음에 통달하여 단숨에 여기까지 왔군요." 

이리하여 수레들 독려하여 일제히 진발하였다. 산봉우리 몇개를 행군하며 지나 또 산봉우리 하나를 오르는 중에 앞에 크고 작은 수레들이 길이 막혀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군사가 아뢰었다. "양쪽에 석벽이 있는데 가운데에 좁은 길 하나뿐이라 오로지 말 한 필만 들어갈 수 있을 뿐이며 수레는 통과할 수 없습니다."

환공의 얼굴에 두려운 빛을 띄고 관중에게 말했다. "이곳에 복병이 있다면 우리는 반드시 패할 것이오!"

그러면서 머칫하고 있는데 산의 우묵한 곳에서 한 물체가 달려나왔다. 환공이 눈을 부릅뜨고 바라보자 사람같은데 사람이 아니고 짐승같으면서도 짐승이 아니며 키가 대략 일척 남짓인데, 붉은 옷을 입고 검은 관을 썼으며 맨발을 드러내며 환공을 향해서 두손을 잡고 두세차례 읍하고는  마중나온 것같은 모습이었다.  그런 후에 오른 손으로 옷을 걷고는 마침내 석벽 가운데를 향해서 달려갔다. 

환공이 크게 놀라 관중에게 물었다. "경은 본 것이 있소?"

관중이 대답했다. "신은 본 것이 없습니다."

환공이 그 모습을 설명하자 관중이 말했다. "그것은 바로 신이 지은 노래 가사 중에 나왔던 유아(兪兒)라는 것입니다."

환공이 물었다. "유아는 무엇이오?"

관중이 대답했다. "신이 듣기에 북쪽 지방에 등산의 신이 있는데 그 이름을 유아라고 하며 패왕이 될 주인공이 있으면 나타난다고 합니다.  주군께서 유아를 보셨으니 그것은 반드시 패업을 이룬다는 징조가 아니겠습니까? 두 손을 맞잡고 읍하며 마중나온 것은 주군께서 고죽국에 가서 치라는 것이고 옷을 걷어올린 것은 앞에 물이 있다는 것이며 오른 손을 쓴 것은 물 오른쪽은 반드시 깊을 것이니 주군께서 왼쪽으로 향해 가시라는 것입니다."

 

염옹이 시를 지어 관중이 유아를 알아본 일을 논했다.

 

춘추시대 서적은 그 수량과 내용을 아는데,

중부는 어찌 유아를 알아보았던가?

어찌 이인(異人)이 있어야 기이한 일을 전하겠는가?

장화(張華)의 박물지(博物志)의 내용도 모두 의심스럽네. 

 

 

 

 

管仲又曰:「旣有水阻,幸石壁可守。且屯軍山上,使人探明水勢,然後進兵。」 探水者去之良久,回報:「下山不五里,即卑耳溪,溪水大而且深,雖冬不竭。原有竹筏以渡,今被戎主拘收矣。右去水愈深,不啻丈餘。若從左而行,約去三里,水面雖闊而淺,涉之沒不及膝。」 桓公撫掌曰:「兪兒之兆驗矣!」 燕莊公曰:「卑耳溪不聞有淺處可涉,此殆神助君侯成功也!」 桓公曰:「此去孤竹城,有路多少?」 燕莊公曰:「過溪東去,先團子山,次馬鞭山,又次雙子山,三山連絡,約三十里。(此乃商朝孤竹三君之墓。)過了三山,更二十五里,便是無棣城,即孤竹國君之都也。」 虎兒斑請率本部兵先涉。管仲曰:「兵行一處,萬一遇敵,進退兩難,須分兩路而行。」 乃令軍人伐竹,以藤貫之,頃刻之間,成筏數百。留下車輛,以爲載筏,軍士牽之。下了山頭,將軍馬分爲兩隊,王子成父同高黑引著一軍,從右乘筏而渡爲正兵,公子開方豎貂,隨著齊桓公親自接應;賓須無同虎兒斑引著一軍,從左涉水而渡爲奇兵,管仲同連摯隨著燕莊公接應。俱於團子山下取齊。

  

 

 

관중이 또 말했다. "이미 물이 앞을 막고 있다고 하였고 다행하게도 석벽이 있어 지킬 수 있습니다. 잠시 산 위에 군을 주둔시키고 사람을 시켜 물의 형세를 살핀 후에 진병하십시오."

물의 형세를 탐지하러 간 자들이 한참 후에 돌아와 보고했다. "산을 내려가 오리를 가기 전에 비이라는 시내가 있는데 시냇물이 크고 깊어서 겨울철이 되어도 물이 줄지 않습니다. 원래 대나무 뗏목으로 건넜는데 이번에 융주가 모두 거두어 갔습니다. 오른 쪽으로 가면 물이 더욱 깊어지며 일장보다 더 깊습니다.  왼쪽으로 가면 대략 삼리 쯤 되는 거리에 수면이 넓고 얕아서 걸어서 건넌다 해도 무릎이 잠기지 않습니다."

환공이 손뼉을 치며 말했다. "유아가 나타난 징조가 효험이 있도다!"

연 장공이 말했다. "비이의 시내가 얕아서 걸어 건널 수 있는 곳이 있다고는 듣지 못했습니다. 이것은 반드시 신이 군후를 도와 일을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환공이 말했다. "여기에서 고죽성까지 가는데에는 거리가 얼마나 됩니까?"

연 장공이 대답했다. "시내를 건너 동쪽으로 가면 먼저 단자산(團子山) 있고 다음에는 마편산(馬鞭山)이 있으며 또 다음에는 상자산(雙子山)이 있는데 세 산이 연이어 있는 거리가 대략 삼십리쯤 됩니다. 이곳에 상조시대 고죽국 세 군주의 묘가 있습니다. 세 산을 지나 또 이십오리를 가면 바로 무체성(無棣城)이 나오는데 즉 고죽국의 군주가 있는 도읍입니다."

호아반이 본부병을 인솔하여 먼저 건너겠다고 청했다.

관중이 말했다. "병사들이 한 곳으로 가다가 만에 하나라도 적을 만나게 된다면 진퇴양난이 될 것이니 마땅히 두 길로 나누어 가야 할 것이오."

그리고는 군인들에게 영을 내려 대나무를 베어 등나무로 엮게 하니 순식간에 수백개의 뗏목이 만들어졌다. 수레를 내려다 놓고 뗏목을 실어 군사들이 끌게 하였다.  산봉우리를 내려가서 군마를 두 부대로 나누어, 왕자 성보와 고흑이 일 군을 이끌고 오른 쪽에서 뗏목을 타고 건너게 하여 정병으로 삼아, 공자 개방과 수초가 제환공을 따라 접응하게 하였으며, 빈수무는 호아반과 함께 일 군을 이끌고 왼 쪽에서 물을 걸어서 건너게 하여 기병(奇兵)으로 삼아, 관중과 연지가 연장공이 접응하게 하였다.  모두 시내를 건너 단자산 아래에서 집결하도록 하였다.

 

 

 

 

卻說答里呵在無棣城中,不知齊兵去來消息。差小番到溪中打聽,見滿溪俱是竹筏,兵馬紛紛而渡,慌忙報知城中。答里呵大驚,即令黃花元帥率兵五千拒敵。密盧曰:「俺在此無功,願引速買爲前部。」 黃花元帥曰:「屢敗之人,難與同事!」跨馬逕行。答里呵謂密盧曰:「西北團子山,乃東來要路,相煩賢君臣把守,就便接應;俺這裏隨後也到。」 密盧口雖應諾,卻怪黃花元帥輕薄了他,心中頗有不悅之意。卻說黃花元帥兵未到溪口,便遇了高黑前隊。兩下接住廝殺。高黑戰黃花不過,卻待要走。王子成父已到,黃花撇了高黑,便與王子成父廝殺。大戰五十餘合,不分勝負。後面齊侯大軍俱到,公子開方在右,豎貂在左,一齊捲上。黃花元帥心慌,棄軍而走。五千人馬,被齊兵掩殺大半,餘者盡降。黃花單騎奔逃,將近團子山,見兵馬如林,都打著齊、燕、無終三國旗號,乃是賓須無等涉水而渡,先據了團子山了。黃花不敢過山,棄了馬匹,扮作樵採之人,從小路爬山得脫。齊桓公大勝,進兵至團子山,與左路軍馬做一處列營,再議征進。

 

撇 : 닦을 별. 닦다. 훔침. 흔들다. 떪. 치다. 때림. 삐침서법(書法) 하나왼쪽으로의 삐침.

 

 

 

한편 고죽국 군주 답리가는 무체성 안에서 제나라 군대의 동정을 모르고 있었다. 병졸을 뽑아 시내에 가서 정탐하도록 하였더니 시내에 가득한 것들이 모두 대나무 뗏목이며 병마들이 잇달아 건너고 있어 황망히 성안에 가서 보고했다.

답리가가 크게 놀라 즉시 황화원수에게 명을 내려 군사 5천 명을 인솔하여 적을 막게 하였다.

밀로가 말했다. "내가 여기에서 공을 세운 바가 없으니 속매를 이끌고 나가 전부가 되겠습니다."

황화원수가 말했다. "누차에 걸쳐 패한 사람에게 일을 맡기기 어렵습니다." 그리고는 즉각 말을 달려 나갔다. 

답리가가 밀로에게 말했다. "서북쪽에 단자산이 있는데 동쪽에서 오는 중요한 길목입니다. 번거롭지만 군주와 신하가 함께 가서 지키며 접응하신다면 나는 이 안에서 뒤따라 가겠습니다."

밀로는 입으로는 응락하였어도 황화원수가 그를 경박하게 대한 것에 의심을 품고 매우 불쾌히 여겼다. 

황화원수의 병사들이 계곡의 입구에 도착하지도 않았는데 바로 고흑의 전대와 마주쳤다. 쌍방이 한참 싸우고 있던 중 고흑은 황화를 당해내지 못하고 달아나려고 하였다. 그 때 왕자 성보가 이미 도착하여 황화는 고흑을 제쳐놓고 왕자 성보와 싸웠다. 오십 여합을 싸웠으나 승부가 나지 않았다. 뒤에서는 제나라의 대군이 몰려오고 공자 개방은 오른 쪽에서 수초는 왼 쪽에서 일제히 좁혀왔다. 황화원수는 마음이 답급하여 군을 버리고 도주했다. 오천 인마는 제나라 군사들에게 태반이 엄살당했으며 나머지는 모두 항복했다. 황화는 단기필마로 단자산에 접근하자 병마가 나타났는데 숲같이 빽빽하고 모두 제나라, 연나라, 무종 세나라의 깃발이었다. 이들은 빈수무등이 강을 도보로 건너와 먼저 단자산을 점령하였었다. 황화는 감히 산을 지나가지 못하고 말을 버리고 나뭇꾼으로 변장하고 작은 길로 기어서 탈출했다. 

제환공이 대승을 거두고 단자산까지 진군하여 좌로군마와 더불어 한 곳에 영채를 늘어서 세우고 고죽국 칠 일을 논의했다. 

 

 

 

 

卻說密盧引軍剛到馬鞭山,前哨報道:「團子山已被齊兵所占。」 只得就馬鞭山屯札。黃花元帥逃命至馬鞭山,認做自家軍馬,投入營中,卻是密盧。密盧曰:「元帥屢勝之將,何以單身至此?」 黃花羞慚無極。索酒食不得,與以炒麥一升。又索馬騎,與之漏蹄。黃花大恨,回至無棣城,見答里呵,請兵報仇。答里呵曰:「吾不聽元帥之言,以至如此!」 黃花曰:「齊侯所恨,在於令支。今日之計,惟有斬密盧君臣之首,獻於齊君,與之講和,可不戰而退。」 答里呵曰:「密盧窮而歸我,何忍賣之?」 宰相兀律古進曰:「臣有一計,可以反敗為功。」 答里呵問:「何計?」 兀律古曰:「國之北有地名曰旱海,又謂之迷谷,乃砂磧之地,一望無水草。從來國人死者,棄之於此,白骨相望,白晝常見鬼。又時時發冷風,風過處,人馬俱不能存立,中人毛髮輒死。又風沙刮起,咫尺不辨。若誤入迷谷,谷路紆曲難認,急不能出,兼有毒蛇猛獸之患。誠得一人詐降,誘至彼地,不須廝殺,管取死亡八九。吾等整頓軍馬,坐待其敝,豈非妙計?」 答里呵曰:「齊兵安肯至彼乎?」 兀律古曰:「主公同宮眷暫伏陽山,令城中百姓,俱往山谷避兵,空其城市。然後使降人告於齊侯,只說:『吾主逃往砂磧借兵。』 彼必來追趕,墮吾計矣。」 黃花元帥欣然願往。更與騎兵千人,依計而行。黃花元帥在路思想:「不斬密盧之首,齊侯如何肯信?若使成功,主公亦必不加罪。」 遂至馬鞭山來見密盧。卻說密盧正與齊兵相持未決,且喜黃花救兵來到,欣然出迎。黃花出其不意,即於馬上斬密盧之首。速買大怒,綽刀上馬來鬥黃花。兩家軍兵,各助其主,自相擊鬥,互有殺傷。速買料不能勝,單刀獨馬,逕奔虎兒斑營中投降。虎兒斑不信,叱軍士縛而斬之。可憐令支國君臣,只因侵擾中原,一朝俱死於非命,豈不哀哉!

 

史官有詩云:

山有黃臺水有濡,

周圍百里令支居。

燕山鹵獲今何在?

國滅身亡可嘆吁!

 

磧 : 서덜 적. 서덜. 냇가강가  물가의 돌이 많은 . 물속에 모래가 많이 쌓여서 생긴 삼각주(三角洲). 여울. 사막.

 

 

 

한편 밀로는 단자산으로 향하여 가던 중 마편산에 막 도착했었는데 앞에 나갔던 초병이 보고했다. "단자산은 이미 제나라군이 점거하였습니다."

밀로는 할 수 없이 마편산에서 영채를 세웠다. 황화원수가 도망쳐 마편산에 이르렀는데 고죽국의 군영임을 알아보고 진영 안으로 들어갔으나 밀로의 군영 안이었다. 

밀로가 물었다. "원수는 누차에 걸쳐 승리한 장수인데 어찌 단신으로 이곳에 오셨소?"

황화는 수치심으로 부끄럽기 짝이 없었다.  술과 음식을 원했으나 얻지 못하고 볶은 보리 한되만을 얻었을 뿐이었다. 또 타고 갈 말을 구했으나 병든 말을 주었다.  황화는 크게 한을 품고 무체성에 돌아가 답리가를 만나 군대를 청하여 복수하려고 하였다. 

답리가가 말했다. "내가 원수의 말을 듣지 않아서 일이 이렇게 되었소!"

황화가 말했다. "제환공이 한을 품은 자는 영지에 있습니다. 금일의 계책은 오직 밀로의 군신을 참하여 그 수급을 제나라 군주에게 바치고 강화를 청한다면 싸우지 않고도 물리칠 수 있을 것입니다."

답리가가 말했다. "밀로가 궁하여 나에게 온 것인데 어찌 차마 그를 넘길 수 있겠소?"

재상 올률고(兀律古)가 진언했다. "신에게 하나의 계책이 있는데 오히려 패하고도 공을 세울 수 있습니다."

답리가가 물었다. "무슨 계책이오?"

올률고가 말했다. "우리나라의 북쪽에 한해(旱海)라는 곳이 있는데 또 미곡(迷谷)이라고도 합니다. 그곳은 바로 사막이라 물이나 초목을 찾아 볼 수도 없습니다.  옛날부터 사람이 죽으면 그곳에 버려 백골이 보이고 대낮에도 항상 귀신이 보인다고 합니다.  또 때때로 냉기가 일어 바람이 지나가는 곳은 사람도 말도 모두 서있을 수조차 없으며 그 안에서는 사람이 죽기도 합니다. 또 바람과 모래가 날려 지척간에도 판별할 수 없습니다.  만약 미곡에 잘못들어가게 되면 길이 얽히고 꾸불꾸불하여 길을 찾지 못해 나가지도 못하고 독사나 짐승의 화를 당하기도 합니다.  한 사람을 시켜 항복하게 한 후 그 곳으로 유인한다면 싸우지 않고도 그들 십중 팔구는 죽게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군마를 정돈하고 앉아서 그들이 무너지기를 기다리면 되니 어찌 묘책이 아니겠습니까?"

답리가가 물었다. "제나라 병사들이 어찌 그곳에 가려고 하겠소?" 

올률고가 말했다. "주공께서는 궁안의 권속과 함께 잠시 양산에 가서 숨으시고, 성안의 백성들에게 영을 내려 모두 산골짜기에 가서 병화를 피하게 하시어 성안을 비워두십시오. 그런 후에 사람을 시켜 항복하게 하고 제환공에게  다만 '우리 주군은 사막으로 도망하여 구원을 청하러 갔습니다.'라고 말하게 하신다면 그들은 반드시 추격해 올 것이니 우리의 계책에 빠지게 되는 것입니다."

황화원수가 흔연히 가기를 청했다. 다시 기병 천 명을 주어 계책대로 떠나게 하였다. 

황화원수는 가는 도중에 생각했다. "밀로를 참하여 그 수급을 가지고 가지 않는다면 제후가 어찌 믿겠는가? 만약 일을 성사시켜 공을 이룬다면 주공께서도 반드시 벌하지 않을 것이다."

마침내 마편산으로 가서 밀로를 만나러 갔다. 한편, 밀로는 제나라 군대와 마주 대하고 있는데 황화의 구원병이 온 것을 기뻐하며 흔연히 나가 맞이했다. 황화는 뜻밖에 그에게 손을 놀려 말 위에 있는 밀로를 참하여버렸다. 소매가 대노하여 작도(綽刀)를 들고 말에 올라 달려들어 황화와 싸웠다. 양쪽의 군사들이 각 그 주장을 도와 싸우다가 서로 많아 죽고 상했다. 속매는 이기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단기로 곧장 호아반의 진영으로 달려가 항복했다. 그러나 호아반은 그의 항복을 믿지 못하고 군사들을 꾸짖어 묶고 나가서 참하게 하였다.  가련하게도 영지국의 군신은 다만 중원을 침공한 일로 인하여 하루아침에 모두 비명에 죽었으니 어찌 애석하지 않겠는가! 

 

사관(史官)이 시를 지었다.

 

산에 황대산이 있다면 물에 유수(濡水)가 있어,

사방 백 리에 영지라는 나라가 있었도다.

연나라에서 산처럼 노획한 것들이 지금 어디에 있는가?

나라가 없어지고 몸도 망쳤으니 탄식할 뿐이로다.

 

 

 

 

黃花元帥並有密盧之眾,直奔齊軍,獻上密盧首級。備言:「國主傾國逃去砂磧,與外國借兵報仇。臣勸之投降不聽。今自斬密盧之首,投於帳下,乞收爲小卒。情願率本部兵馬爲嚮導,追趕國主,以效微勞。」 桓公見了密盧首級,不由不信。即用黃花爲前部,引大軍進發,直抵無棣,果是個空城,益信其言爲不謬。誠恐答里呵去遠,止留燕莊公兵一支守城,其餘盡發,連夜追襲。黃花請先行探路,桓公使高黑同之,大軍繼後。已到砂磧,桓公催軍速進。行了許久,不見黃花消息。看看天晚,但見白茫茫一片平沙,黑黯黯千重慘霧,冷淒淒數群啼鬼,亂颯颯幾陣悲風。寒氣逼人,毛骨俱悚,狂飆刮地,人馬俱驚,軍馬多有中惡而倒者。時桓公與管仲並馬而行。仲謂桓公曰:「臣久聞北方有旱海,是極厲害之處,恐此是也,不可前行。」 桓公急敎傳令收軍,前後隊已自相失。帶來火種,遇風即滅,吹之不燃。管仲保著桓公,帶轉馬頭急走。隨行軍士,各各敲金擊鼓,一來以屛陰氣,二來使各隊聞聲來集。只見天昏地慘,東西南北,茫然不辨。不知走了多少路,且喜風息霧散,空中現出半輪新月。眾將聞金鼓之聲,追隨而至,屯扎一處。挨至天曉,計點眾將不缺,止不見隰朋一人。其軍馬七斷八續,損折無數。幸而隆冬閉蟄,毒蛇不出,軍聲喧鬧,猛獸潛藏,不然,眞個不死帶傷,所存無幾矣。管仲見山谷險惡,絶無人行,急敎尋路出去。奈東沖西撞,盤盤曲曲,全無出路,桓公心下早已著忙。管仲進曰:「臣聞老馬識途,無終與山戎連界,其馬多從漠北而來,可使虎兒斑擇老馬數頭,觀其所往而隨之,宜可得路也。」 桓公依其言,取老馬數匹,縱之先行,委委曲曲,遂出谷口。

 

髯翁有詩云:

蟻能知水馬知途,

異類能將危困扶。

堪笑淺夫多自用,

誰能舍己聽忠謨?

 

黯 : 검을 암. 검다. 슬퍼하다슬픔.           黯黯 : 음침하다. 음산하다. 어둑컴컴하다.     著忙 : 초조해 하다. 마음을 졸이다. 당황하다.

挨 : 두들길 애. 두들기다. 등을 두들김. 밀치다. 가까이하다. 접근함.      七斷八續 : 끊겼다 이어졌다 하여 일관되지 않다.

 

 

 

황화원수는 밀로의 무리를 아우르고 바로 제군 군영으로 달려가  밀로의 수급을 바치고 준비한대로 말했다. 

"우리나라의 군주는 나라가 기울자 사막으로 도주하여 외국에 구원병을 청하여 원수를 갚으려고 합니다. 신이 항복을 권하였으나 듣지 않았습니다. 이제 몸소 밀로를 참하고 장하에 투신하오니 소졸로라도 거두어 주시기를 바랍니다. 진심으로 바라건대 본부병마를 거느리고 길잡이가 되어 저희나라 군주를 추격하는데 조금이라도 힘을 쓰게 된다면 보람으로 여기겠습니다."

환공이 바라보니 밀로의 수급이라 믿지 많을 까닭이 없었다. 바로 황화를 전부(前部)로 삼고 대군을 이끌고 진발하여 곧바로 무체성으로 갔는데 과연 무체성은 빈 성이라 그의 말에 틀림이 없음을 더욱 믿게 되었다.  사실 답리가가 멀리 간 것을 두려워 하여, 오직 연 장공의 일지군을 머무르게 하여 무체성을 지키게 하고 그 나머지는 모두 출발시켜 밤을 새워 답리가를 뒤쫒아 갔다.  

황하가 앞장서서 길을 찾겠다고 청하자 환공은 고흑으로 하여금 함께 가도록 하고 대군이 그 뒤를 이었다. 사막에 도착하자 환공은 길을 재촉하였다. 한참을 행군해도 황화의 소식이 없었다.  날이 저물자 보이는 것이라고는 흰 모래로 뒤덮인 한없이 넓은 사막뿐이인데 어둡고 음산하며 천겹의 깜깜한 안개가 몰려왔다.  그리고 싸늘하고 오싹한 기운이 일며  수많은 귀신들의 울음소리가 들리더니 쓸쓸하고 애잔한  바람이 쏴 - 하고 몇 차례 어지러이 세차게 불었다. 차가운 기운이 몰아닥치자 모골이 송연하고 거센 회오리바람이 불어 땅을 파헤치니 인마가 모두 놀라고 많은 군마가 두려움에 빠져 쓰러졌다. 

그때 관중은 환공과 더불어 말에 올라 행군중이었다. 

관중이 환공에게 말했다. "신이 오래전에 들은 바로는 북방에 한해(旱海)라는 곳이 있는데 그곳은 매우 험하고 위험한 곳이라고 하였습니다.  아마도 이곳인 것 같으니 앞으로 나가서는 안되겠습니다."

환공이 급히 영을 내려 군을 수습하였는데 전대와 후대가 이미 연락이 끊겼다. 불씨를 가져오게 하였으나 바람에 꺼져버렸고 입으로 불어봐도 불이 살아나지 않았다. 관중은 환공에게 바짝 붙어 환공을 보호하면서 말머리를 돌려 급히 달렸다. 뒤따르는 군사들이 각각 금고를 울리고 북을 치게 하였는데 그것은 첫째, 음기를 물리치고, 둘째로  각 부대가 소리를 듣고 달려와 모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다만 보이는 것은 밤이라 깜깜하고 동서남북이 막막하여 판별할 수가 없었다.  작은 길이 많아 어느 길로 왔는지조차 모르는데 다행하게도 바람이 멎고 안개가 흩어지면서 하늘에 반달이 새로이 드러났다. 장수들은 금고소리를 듣고 좇아와 한 곳에서 주둔하게 되었다.  

날이 밝아지기를 기다려 장수들을 점고해본 결과 빠진 사람이 없었으나 다만 습붕 한 사람만 보이지 않았다. 군마들도 끊어졌다가 이어졌다가 하는등 일정치가 않았으나 무수히 꺾였다. 다행하게도 한겨울이라 겨울잠을 자느라 독사들이 출현하지 않았으며 군사들의 함성소리에 맹수들이 숨어버렸다. 그러나 죽지않고 부상당한 자는 매우 적었다. 

관중은 산골짜기가 험악하여 사람이 통행할만한 길이 없는 것을 보고 급히 나갈 길을 찾도록 했다.  동쪽서쪽 모든 곳을 찾아 보았지만 나갈 길이 없었다. 환공은 이미 안절부절이었다.

관중이 진언했다. "신이 듣기로 늙은 말이 길을 안다고 하였으며, 무종과 산융은 국경이 붙어있어 그곳의 말들은 사막 북쪽을 여러차례 왕래하였을 것입니다. 호아반으로 하여금 늙은 말 몇마리를 고르게 하고 그 말들이 가는 곳을 따라가면 거의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환공이 그 말에 따라 늙은 말 몇 마리를 골라 그 말을 앞세우고 따라가니 돌고 돌아서 마침내 계곡을 벗어났다.

 

염옹이 시를 지었다. 

 

개미는 물있는 곳을 알고,  말은 길을 알아서,

짐승이 오히려 위난을 도울 수 있었구나.

어리석은 자는 잔꾀를 많이 부려 웃음거리가 되지만,

누가 고집을 버리고 충언을 들을 수 있을까.

 

 

 

 

再說黃花元帥引齊將高黑先行,逕走陽山一路。高黑不見後隊大軍來到,敎黃花暫住,等候一齊進發。黃花只顧催趲。高黑心疑,勒馬不行,被黃花執之,來見孤竹主答里呵。黃花瞞過殺密盧之事,只說:「密盧在馬鞭山兵敗被殺,臣用詐降之計,已誘齊侯大軍,陷於旱海。又擒得齊將高黑在此,聽憑發落。」 答里呵謂高黑曰:「汝若投降,吾當重用。」 高黑睜目大罵曰:「吾世受齊恩,安肯臣汝犬羊哉?」 又罵黃花:「汝誘吾至此,我一身死不足惜,吾主兵到,汝君臣國亡身死,只在早晩,敎你悔之無及!」 黃花大怒,拔劍親斬其首。眞忠臣也!答里呵再整軍容,來奪無棣城。燕莊公因兵少城空,不能固守,令人四面放火,  乘亂殺出。直退回團子山下寨。

 

發落 : 처리하다. 처벌하다. 결정하다. 

 

 

한편 황화원수는 제나라 장수 고흑을 인솔하여 앞장서 나가면서 곧장 양산으로 갔다. 고흑은 후대의 대군이 따라오지 않는 것을 보고  황화에게 잠시 머물러 후대를 기다렸다가 일제히 진발하자고 하였다. 그러나 황화는 오히려 더욱 독촉할 뿐이었다.  고흑은 의혹이 일어  말을 멈추고 행군하지 않았는데 황화가 그를 사로잡아 고죽주 답리가에게 갔다. 

황화는 밀로를 죽인 일을 속이고  말했다. "밀로는 마편산에서 싸우다가 패하여 피살당했습니다. 신은 사항계(詐降計)를 써서 이미 제후의 대군을 유인하여 한해(旱海)로 몰아넣었습니다.  또 제장 고흑을 사로잡아 이리 데려왔습니다.  처리해 주시기 바랍니다."

답리가가 고흑에게 말했다. "네가 항복한다면 내가 중용하리라."

그러자 고흑은 눈을 부릅뜨고 꾸짖었다. "내가 대대로 제나라의 은혜를 입었는데 어찌 너의 신하가 되어 개와 양노릇을 하겠느냐?"

또 황화를 꾸짖었다. "너는 나를 여기까지 유인해 왔는데 내 한 몸이 죽는 것은 애석하지 않으나 우리 주군의 군대가 도착하면 너희 군신은 나라를 잃고 몸도 망치게 될 것이다.  조만간에 겪게 되겠지만 너는 후회막급일 것이다."

황화가 대노하여 칼을 뽑아 고흑을 참해버렸다. 참으로 충신이로다! 답리가는 군의 진용을 재정비하고 무체성을 탈환하였다. 

연장공은 거느린 병사 수도 적어 성이 빈성이나 다름없어 지키지 못하고 사람을 시켜 사방에 불을 놓아 어지러워진 틈을 타서 재빠르게 탈출했다. 그리고 곧장 단자산으로 물러가 하채하였다.

  

 

 

再說齊桓公大軍出了迷谷,行不十里,遇見一枝軍馬,使人探之,乃公孫隰朋也。於是合兵一處,逕奔無棣城來。一路看見百姓扶老攜幼,紛紛行走。管仲使人問之,答曰:「孤竹主逐去燕兵,已回城中,吾等向避山谷,今亦歸井里耳。」 管仲曰:「吾有計破之矣!」 乃使虎兒斑選心腹軍士數人,假扮做城中百姓,隨著眾人,混入城中,只待夜半擧火爲應。虎兒斑依計去後,管仲使豎貂攻打南門,連摯攻打西門,公子開方攻打東門,只留北門與他做走路。卻敎王子成父和隰朋分作兩路,埋伏於北門之外,只等答里呵出城,截住擒殺。管仲與齊桓公離城十里下寨。時答里呵方救滅城中之火,招回百姓復業。一面使黃花整頓兵馬,以備廝殺。是夜黃昏時候,忽聞炮聲四擧,報言:「齊兵已到,將城門圍住。」 黃花不意齊兵即至,大喫一驚,驅率軍民,登城守望。延至半夜,城中四五路火起,黃花使人搜索放火之人。虎兒斑率十餘人,逕至南門,將城門砍開,放豎貂軍馬入來。黃花知事不濟,扶答里呵上馬,覓路奔走,聞北路無兵,乃開北門而去。行不二里,但見火把縱橫,鼓聲震地,王子成父和隰朋兩路軍馬殺來。開方、豎貂、虎兒斑得了城池,亦各統兵追襲。黃花元帥死戰良久,力盡被殺。答里呵爲王子成父所獲。兀律古死於亂兵之中。至天明,迎接桓公入城。桓公數答里呵助惡之罪,親斬其首,懸之北門,以警戎夷,安撫百姓。戎人言高黑不屈被殺之事,桓公十分嘆息,即命錄其忠節,待回國再議恤典。

  

 

한편 제환공의 대군은 미곡을 빠져나와 십리도 채 가지 못했는데 일지군마가 나타났다.  군사를 시켜 알아보니 바로 공손습붕이라 군사를 합쳐 바로 무체성으로 달려갔다.  가면서 보니 백성들이 노인들을 부축하고 아이들의 손을 잡고 줄이어 가고 있었다. 

관중이 알아보게 한즉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고죽국의 군주가 연나라 군사를 쫒아내고 이미 성안으로 돌아와 우리들은 접때 산골짜기로 피난갔다가 지금 성안으로 돌아가고 있는 중입니다." 

관중이 말했다. "나에게 고죽국을 깨뜨릴 계책이 있노라."

그리하여 호아반으로 하여금 심복군사 몇명을 골라 성안의 백성으로 분장시킨 후 사람들을 따라 성안으로 들어가 밤이 되기를 기다려 불을 질러 내응하게 하였다. 호아반이 계책을 받고 떠나자, 관중은 수초로 하여금 남문을 치게 하고, 연지는 서문을 공자 개방은 동문을 치게 하며 다만 북문은 그들의 퇴로로 남겨두었다.  다시 왕자 성보와 습붕을 양로로 나누어 북문 밖에 매복시켜 답리가가 성을 나오기를 기다려 사로잡아 죽이게 하였다. 관중은 환공과 더불어 성에서 십리 떨어진 곳에 하채하였다.  

그때 답리가는 성안의 불을 모두 끄고 돌아온 백성들을 불러 생업에 복귀하도록 했다.  또 한편으로는 황화를 시켜 병마를 정돈하게 하여 싸움에 대비했다. 

이날 밤, 해질 무렵 갑자기 사방에서 포성이 들리더니 병사가 보고했다. "제나라 군사들이 이미 도착하여 성문을 에워싸고 있습니다."

황화는 뜻밖에 제나라 군사들이 이르렀다는 소리를 듣고 깜짝 놀라 군민을 이끌고 성위로 올라가 망을 보았다.  밤이 깊어지자 성안 너댓 군데에서 불이 났는데 황화가 사람을 시켜 불낸 자들을 찾게 하였다.  호아반이 10여명의 군사들을 인솔하고 곧장 남문으로 가서 성문을 부수고 열자마자 수초의 군마가 거리낌없이 밀려들어왔다.  황화는 일이 돌이킬 수 없음을 알고 답리가를 부축하여 말에 태우고 탈로를 찾아 도망치려고 하는데 북문쪽에 제나라 군사가 없다고 하여 북문을 열고 나갔다. 그러나 2리도 가지 못했는데 여기저기에서 불이 일어나며 북소리가 진동하더니 왕자 성보와 습붕의 양로군이 쏟아져 나왔다. 개방, 수초, 호아반등은 성지를 점령하고 각 병사들을 이끌고 답리가의 일행을 뒤쫒았다. 황화원수는 한동안 죽을 힘을 다해 싸웠으나 힘이 탈진되어 피살당하고 말았다. 답리가는 왕자 성보에게 사로잡히고 올률고는 병사들이 싸우는 도중에 죽었다. 

날이 밝아지자 장수들이 환공을 영접하여 성안으로 들어오게 하였다.  환공은 답리가가 밀로의 악행을 도운 죄를 일일이 거론하며 꾸짖어 직접 참수하고 그 수급을 북문에 걸어 융병에게 경고하고 백성을 안정시켰다. 융인(戎人)이 고흑이 굽히지 않다가 죽임을 당한 일을 알리자 환공은 매우 탄식하며 즉시 그의 충절을 기록하게 하고 귀국하기를 기다려 다시 상의하여 은전을 내리기로 하였다.

 

 

 

燕莊公聞齊侯兵勝入城,亦自團子山飛馬來會。稱賀已畢,桓公曰:「寡人赴君之急,跋涉千里,幸而成功。令支孤竹,一朝殄滅,闢地五百里,然寡人非能越國而有之也,請以益君之封。」 燕莊公曰:「寡人藉君之靈,得保宗社足矣,敢望益地?惟君建置之。」 桓公曰:「北陲僻遠,若更立夷種,必然復叛,君其勿辭。東道已通,勉脩先召公之業,貢獻於周,長爲北藩,寡人與有榮施矣。」 燕伯乃不敢辭。桓公即無棣城大賞三軍,以無終國有助戰之功,命以小泉山下之田畀之。虎兒斑拜謝先歸。桓公休兵五日而行,再渡卑耳之溪,於石壁取下車輛,整頓停當,緩緩而行。見令支一路荒煙餘燼,不覺慘然謂燕伯曰:「戎主無道,殃及草木,不可不戒!」 鮑叔牙自葵茲關來迎,桓公曰:「餉饋不乏,皆大夫之功也。」 又吩咐燕伯設戍葵茲關,遂將齊兵撤回。燕伯送桓公出境,戀戀不舍,不覺送入齊界,去燕界五十餘里。桓公曰:「自古諸侯相送,不出境外。寡人不可無禮於燕君。」 乃割地至所送之處畀燕,以為謝過之意。燕伯苦辭不允,只得受地而還。在其地築城,名曰燕留,言留齊侯之德於燕也。燕自此西北增地五百里,東增地五十餘里,始爲北方大國。諸侯因桓公救燕,又不貪其地,莫不畏齊之威,感齊之德。

 

史官有詩云:

千里提兵治犬羊,

要將職貢達周王。

休言黷武非良策,

尊攘須知定一匡。

 

陲 : 변방 수. 변방변경. 위태롭다.   燼 : 깜부기불 신. 깜부기불. 타다가 남은 . 재난을 겪고 살아 남은 백성. 망한 나라의 유민.

黷 : 더럽힐 독. 더럽히다. 더러워짐. 욕을 당하다. 친압하다. 검다. 검게 되다. 검푸른 모양.   尊攘 : 尊王攘夷. 

 

 

 

연 장공은 제환공이 승리하여 성안에 들어갔다는 보고를 받고 단자산에서 나는듯이 달려와 환공을 만났다.

연장공이 칭하하기를 마치자 환공이 말했다. "과인이 군주의 위급을 구하려고 천리나 되는 먼 길을 달려와 다행스럽게도 성공하였습니다. 영지와 고죽이 하루아침에 없어져 500리의 땅이 개척되었으나 과인은 우리나라와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다스릴 수가 없습니다. 군주께서 봉지에 더하여 다스리기 바랍니다."

연장공이 말했다. "과인은 군주의 덕택으로 종사를 보존할 수 있었던 것으로 족한데 감히 봉지를 늘어나기를 바라겠습니까? 오직 군주께서 치소(治所)를 설치하여 다스리셔야 합니다."

환공이 말했다. "북쪽 변방은 외지고 멀어 또 오랑캐의 종족이 서게 되면 반드시 또 배반할 것이니 군주께서는 사양하지 마십시오. 동쪽 길은 이미 소통하게 되었으니 선군이신 소공(召公)의 업을 힘써 닦아 주 왕실에 공헌하시고 오래도록 북쪽을 막아주신다면 과인에게 다시없는 영광이 될 것입니다."   

연백은 감히 더이상 사양하지 못했다. 환공은 즉시 무체성에서 삼군에 크게 상을 내리고 무종국에는 전쟁을 도운 공으로 소천산 아래의 땅을 주었다. 호아반이 절하여 사례하고 먼저 떠났다. 환공은 5일동안 쉰 후 행군하여 다시 비이(卑耳)의 시내를 건너 석벽에 도달하자 거량을 수습하여 정돈하고 천천히 행군하였다.

영지를 가는 길에 땅이 황폐해지고 타다 남은 재에서 연기가 피어오르는 모습을 보고 무심결에 비감한 마음이 일어 연백에게 말했다.

"융주(戎主)가 무도하여 재앙이 초목에까지 미쳤으니 스스로 경계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포숙아가 규자관(葵玆關)에서 영접을 나오자 환공이 말했다. "군량이 부족하지 않았던 것은 모두 대부의 공이오."

또 연장공에게 분부를 내려 규자관에 병사(兵舍)를 설치하여 수비하게 하고, 마침내 제나라 군사들을 통솔하여 제나라로 돌아갔다.

연백이 환공을 전송하기 위하여 국경까지 나갔으나 고마운 마음을 버리지 못하고 무심코 제나라 경계를 넘어 오십여리나  들어갔다.

환공이 말했다. "옛날부터 제후끼리 배웅함에 있어서 자신의 국경 밖에는 나가지 않았습니다. 과인은 연나라 군주를 무례한 사람으로 만들 수 없습니다." 

그리고 연백이 전송하러 간 곳까지 연나라에 땅을 잘라 주었다. 연백이 고사하며 받지 않으려 하였으나 어쩔 수 없이 땅을 받고 돌아갔다. 

그리고 그곳에 성을 쌓아 이름을 연류(燕留)라 하여 제후(齊侯 : 환공)의 덕이 연나라 땅에 머무르고 있음을 말하였다. 

연나라는 이때부터 서북쪽으로 500리의 땅이 늘고 동쪽으로 50리의 땅이 더해져 비로소 북쪽의 대국이 되었다. 

제후들은 환공이 연나라를 구원하고도 땅을 탐하지 않는 모습에 제나라의 위엄을 두려워하지 않는 자가 없었으며, 제나라의 덕행에 감동하였다. 

 

사관이 그 일을 시로 지었다.

 

군대를 이끌고 천리를 원정하여 적도(賊盜)를 쳐서

주 왕실에 제후의 직분을 다해 바치려고 하였도다.

무력을 남용하였으니 좋은 계책이 아니라 말하지 말라.

존왕양이(尊王攘夷)야말로 천하를 바로잡는 일이로다. 

 

 

 

 

桓公還至魯濟,魯莊公迎勞於水次,設饗稱賀。桓公以莊公親厚,特分二戎鹵獲之半以贈魯。莊公知管仲有采邑,名曰小穀,在魯界首,乃發丁夫代爲築城,以悅管仲之意。時魯莊公三十二年,周惠王之十五年也。是年秋八月,魯莊公薨,魯國大亂。

 

 

환공이 돌아가는 길에 노제(魯濟)에 도착하자 노나라 장공이 제수(濟水) 물가까지 영접을 나가 그간의 노고를 위로하고 잔치를 베풀어 칭하했다. 환공은 노장공의 마음이 매우 친근하고 두터운 모습을 보고 특별히 융으로부터 노획한 재물을 반으로 나누어 노장공에게 주었다.

노장공은 관중의 채읍인 소곡(小穀)이 노나라와의 경계 가까이에 있음을 알고 장정들을 보내 성을 쌓게 하여 관중을 기쁘게 하였다.

때는 노장공 32년이며, 주 혜왕 15년이었다.  이해 8월에 노장공이 죽자 노나라는 크게 어지러워졌다.

 

 

 

欲知魯事如何,且看下回分解。

 

 

노나라의 사정이 어떤지 알려면 다음 회를 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