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漢詩/其他

靑靑水中蒲 - 韓愈

by 柳川 2022. 1. 30.

                                                     靑

 

 

                                                                                                                    韓愈

 

 

蒲、魚。               푸르고 푸른 물 속의 부들, 그 아래에서는 한 쌍의 물고기가 놀고 있구나.
去、居?               님은 이제 농산(隴山)으로 떠나니 나는 누구와 함께 지내나?

 

蒲、居。               푸르고 푸른 물 속의 부들, 물 속에 오래도 있네.           

寄語浮萍草、如。               부평초에 말을 부치노니, 나는 서로 따르는 너만도 못하구나.       

 

蒲、水。               푸르고 푸른 물 속의 부들, 잎이 짧아 물 밖으로 나오지도 못하는구나.
堂、里。               부인은 당에서 내려가지 못하는 법인데, 길 떠난 그대 만리 밖에 계시네.

 

                                                                                                           <古文眞寶 前集 第 2卷>

 

寄語浮萍草 : 

浮萍草는 물 위에 떠돌아다니는 水草로 개구리밥이라고도 칭한다. 李德弘의 《艮齋集》續集 4권에 “蒲와 萍은 모두 물속에 함께 떠다니는 물건이다. 지금 부인이 남편을 따라갈 수 없음을 스스로 탄식하였다. 그리하여 부평초에 가탁하여 말하기를 ‘너는 부들[蒲]과 함께 서로 따라다니니, 나는 너만도 못하다.’ 라고 말한 것이다.” 하였다. 金隆의 《勿巖集》에도 이와 같은 내용이 보인다.

隴山 : 섬서성(陕西省) 농현(隴縣) 북서쪽에 있는 산.

변방에 수자리 가는 자는 반드시 이 곳을 경유하니, 수자리 가는 자들이 노래하기를 “농두(隴頭)의 흘러가는 물 울음소리 목이 메인다. 멀리 진천(秦川)을 바라보니 애간장이 끊어진다.” 하였다.

 

[해설]

興, 戍, 房, 中。, 出, , 隨,  , 體.

 

이 詩는 사물에 가탁하여 比興한 것이니, 征夫가 수자리 살러 가자 그의 아내가 홀로 규방에 있으니, 마치 부들이 물 속에 있는 것과 같음을 말한 것이다. 第一章은 夫君이 수자리 살러 감을 말하였고, 第二章은 서로 따라갈 수 없음을 말하였고, 末章은 君子(남편)에게 正道로써 권면하였으니, 風人(詩人)의 體를 얻었다.

 

이 시는《韓昌黎集》4권에 실려 있는 바, 韓愈의 청년기인 貞元 9년(793년)에 쓰여진 작품으로 그의 처 盧氏에게 준 것이라고 한다. 처에게 준 것인데도 도리어 처가 남편을 그리는 내용이라는 점이 독특하다. 이 시는 체제에 있어 《詩經》과 漢代 樂府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文選》에 실려 있는 古樂府인〈飮馬長城窟行〉시의 ‘靑靑河畔草’ 구, 〈長歌行〉시의 ‘靑靑園中葵’ 구와 표현이 흡사하며, 大義도 비슷하다. 淸代의 朱彛尊은 이 시를 평하여 “體制는 毛詩를 근원으로 하였고 語調는 漢ㆍ魏의 歌行이다.”라고 하였다. 民歌처럼 소박하고 자연스러운 詩語가 얼핏 보기에는 平淡한 듯하나 실제로는 의미가 매우 깊다.

 

[번역과 注는 동양고전종합DB 참조및 인용]

'중국의 漢詩 >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離別 - 陸龜蒙  (0) 2022.02.18
蠶婦 - 無名氏  (0) 2022.02.08
讀李斯傳 - 曹鄴  (0) 2022.01.30
猗蘭操 - 孔子/韓愈  (0) 2022.01.21
春江花月夜 - 張若虛  (0) 2022.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