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漢詩/其他

子瞻謫海南 - 黃庭堅

by 柳川 2022. 2. 18.

                                                   

 

 

                                                                                                                黃庭堅

 

 

南、                                     자첨(소동파)이 해남으로 귀양간 것은,

時宰之。                                     당시 재상이 그를 죽이려고 하였기 때문이었다.

飽喫惠州飯、                                     혜주에서 배부르게 밥 먹고, 

詩。                                     도연명의 시에 세세히 화답했네. 

彭澤人、                                     팽택(도연명)은 천년에 한 번 날 인물이요,
士。                                     동파는 백세에 걸쳐 전해질 선비로다. 
同、                                     난 곳은 같지 않아도,
似。                                     기미(氣味)는 비슷하네.

 

 

瞻 : 소식의 字

時宰之。: 당시의 재상은 장돈(章惇).

彭澤 : 도연명을 지칭함.  (나라 때 도잠(陶潛)이 팽택령(彭澤令)이 되었다가독우(督郵)가 팽택현에 왔을 때 아전이 의당 큰 띠를

        띠고 독우를 뵈어야 한다고 하므로도잠이 탄식하기를 내가 오두미(五斗米때문에 허리를 굽혀 향리(鄕里)의 소인(小人)을 섬

        길 수 없다.” 하고는즉시 인끈을 풀어 던지고 팽택을 떠나버렸던 데서 온 말이다.  <진서(晉書) 卷九十四>

氣味 : 냄새. 성격. 성미. 기질. 성향. 기풍. 광경.         

 

 

 

 

謫은 좌천하여 멀리 있는 것이요 해남은 瓊州ㆍ崖州ㆍ儋州ㆍ萬州의 네 고을이니, 애주는 지금의 吉陽軍이요 담주는 지금의 南寧軍이요 만주는 지금의 萬安軍이다. 紹聖 갑술년에 東坡가 영원군 절도부사로 좌천되어 惠州에 안치되니, 동파는 羅浮山에 있으면서 詩를 짓기를 “선생에게 알리기를 봄잠이 아름답다 하니 도인은 오경에 종을 치지 말라.[報道先生春睡美 道人休打五更鍾]” 하였다. 이에 執政大臣이 노하여 다시 담주로 좌천되었으니, 당시의 재상은 章惇(子厚)이었다.

 

也, 也, 軍, 軍, 軍. , 使, 置, 浮,  「美, 鍾.」 之, 也. 也.

 

 

 

賞析

 

《山谷詩注》17권에 실려 있다. 본집에는 제목이 〈跋子瞻和陶詩〉로 되어 있는데, 그 주에 “동파가 도연명시에 화답하여 지은 것이 총 109편이다. 古人의 시에 화답한 것은 동파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였다. 스승인 소식이 도연명의 시에 화답하여 지은 시의 말미에 이 시를 붙임으로써 도연명과 소식을 아울러 존숭(尊崇)하는 마음을 표현하였다.

                                                                                                               [동양고전종합DB]

 

 

黃庭堅 (1045년~1105년)

 

중국 북송의 시인이다. 자는 노직(魯直), 호는 산곡(山谷) 또는 부옹이며 소식 문하인의 제1인자이다.

23세에 진사에 급제했으나, 국사원(國史院)의 편수관이 된 이외 관리생활은 불우했다. 소식의 시학을 계승하였으며, 그의 시는 소식의 작품보다 더욱 내향적이었다. 또한 왕안석, 소식보다 더욱 두보를 존경했다. 소식과 함께 소 · 황(蘇·黃)으로 칭해져서 북송 시인의 대표적 존재가 되었다. 12세기 전반은 황정견 일파의 시풍이 세상을 풍미하였는데, 황정견이 강서(江西) 출신이었기 때문에 ‘강서파’라 칭해졌다.                                            {위키백과]

 

李仁老의 破閑集에 황정견이 3차례 언급되었는데  『琢句之法』 제하의 글에서 "소식(蘇軾)과 황정견(黃庭堅)에 이르러서는 고사를 쓰는 것이 더욱 정밀하며 빼어난 기운이 마음대로 분출하였으니, 시의 구절을 다듬는 절묘함이 소릉과 함께 오를 만 하였다. [及至蘇黃, 則使事益精, 逸氣橫出, 琢句之妙, 可以與少陵幷駕。]"라고 극찬하였고(卷上 20. 琢句之法),

또  『堂弟尙書惟卿』 제하의 글에서는 "산곡(黃庭堅)이 시를 논하였는데, 옛 사람의 뜻을 바꾸지 않고, 자신의 문구(文句)를 짓는 것을 환골이라 하고, 옛 사람의 뜻을 모방하여 이를 형용한 것을 탈태라고 한다. [昔山谷論詩, 以謂不易古人之意, 而造其語謂之換骨, 規模古人之意, 而形容之謂之奪胎。]"고 하였다."고 썼다. (卷下 20. 堂弟尙書惟卿)

환골탈태(換骨奪胎)란 말의 기원이 황정견으로부터 유래되었다 한다.   

 

 

'중국의 漢詩 >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題破山寺後禪院 - 常建  (0) 2022.03.08
玉樹後庭花 - 陳叔寶  (0) 2022.03.03
離別 - 陸龜蒙  (0) 2022.02.18
蠶婦 - 無名氏  (0) 2022.02.08
靑靑水中蒲 - 韓愈  (0) 2022.01.30